하나의 음악적 경험을 통해 개념이 형성되면 그 개념은 다음 경험을 더 풍부하게 만들며, 처음 학습되어진 개념을 변화하고 확대시킨다. 이러한 학습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음악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38704
대전 :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 전공 , 2009. 8
2009
한국어
780 판사항(22)
대전
Teaching Plan for Music Education Utilizing Conceptual Approach
48p. : 악보 ; 26cm.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전정임
참고문헌: p.44-4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하나의 음악적 경험을 통해 개념이 형성되면 그 개념은 다음 경험을 더 풍부하게 만들며, 처음 학습되어진 개념을 변화하고 확대시킨다. 이러한 학습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음악의 ...
하나의 음악적 경험을 통해 개념이 형성되면 그 개념은 다음 경험을 더 풍부하게 만들며, 처음 학습되어진 개념을 변화하고 확대시킨다. 이러한 학습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음악의 기본적인 ‘구조’, 즉 ‘개념'의 이해이다.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접근 방법’, 즉 모든 음악적 활동의 기초가 되는 음악 개념의 이해를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음악에서의 개념은 음악의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음악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견해를 달리하고 있으나,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영역에서는 음악의 개념을 리듬,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의 7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음악 개념들은 또한 하위에 세부적인 음악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에 ‘개념적 접근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음악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이를 통해 하나의 음악적 개념을 다른 모든 작품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음악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개념적 접근 방법’을 음악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다루는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적 접근 방법’의 의미와 중요성을 고찰하고, ‘개념적 접근 방법’을 적용한 예로 지적 발달 과정에 따른 개념의 형성 과정과 나선형 교육과정, 직관적 사고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개념적 접근 방법’을 음악 교육에 적용한 예를 고찰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지도안을 구상하기 위해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영역에서 제시한 음악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음악의 개념 중 리듬, 협주곡, 빠르기의 세 가지 개념을 선정하여 학습 방안을 모색하였다.
선정한 음악 개념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음악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악곡들을 다양하게 제시하여야 하고, 해당 개념을 학생 자신들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표현하는 창의적 표현학습이 병행되어야 하며, 학습한 음악 개념에 대해 정의적 진술을 내리는 방안을 통해 음악 개념에 대한 이해를 더욱 뚜렷이 정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