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충북지역 매장문화재 보존조치 유적의 현황 및 보존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Conservation Measures for Buried Cultural Heritages in Chungbuk Area and Preservation Pl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28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ervation measures for excavated and surveyed buried cultural heritages are decid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ir scientific and historic values. However, management, preservation, and use after relocation and restoration remain unsystematic. An issue regarding preservation plan and use has arisen due to the damage of preserved heritages and protective facilities.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lan for preservation and use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preserved heritages in the Chungbuk area.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43 preserved heritages in Chungbuk, most of which remain unmanaged systematically irrespective of the managing body. Remainder and protective facilities have been damaged due to wrong preservation treatments and selection of materials, and a problem also rises in terms of utilization, such as exhibition, education, and experience of preserved heritages. To improve such problems, a medium and long-term plan shall be established for the improve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instruments, securing of budget, increase in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ment of standardization and inspection manuals, continuous monitoring, preventive preservation, research on relocation methods and materials, listing, and the creation of specialized museum and complex theme park. If a preservation plan suited to the investigated heritages can be developed, heritages can be preserved and managed mor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and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like education, exhibition, public relations, etc.
      번역하기

      Conservation measures for excavated and surveyed buried cultural heritages are decid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ir scientific and historic values. However, management, preservation, and use after rel...

      Conservation measures for excavated and surveyed buried cultural heritages are decid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ir scientific and historic values. However, management, preservation, and use after relocation and restoration remain unsystematic. An issue regarding preservation plan and use has arisen due to the damage of preserved heritages and protective facilities.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lan for preservation and use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preserved heritages in the Chungbuk area.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43 preserved heritages in Chungbuk, most of which remain unmanaged systematically irrespective of the managing body. Remainder and protective facilities have been damaged due to wrong preservation treatments and selection of materials, and a problem also rises in terms of utilization, such as exhibition, education, and experience of preserved heritages. To improve such problems, a medium and long-term plan shall be established for the improve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instruments, securing of budget, increase in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ment of standardization and inspection manuals, continuous monitoring, preventive preservation, research on relocation methods and materials, listing, and the creation of specialized museum and complex theme park. If a preservation plan suited to the investigated heritages can be developed, heritages can be preserved and managed mor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and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like education, exhibition, public relations,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발굴 조사 된 매장문화재는 학술적, 역사적 가치에 따라 문화재청장이 보존조치를 결정하 지만, 이전⋅복원 후 관리, 보존, 활용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보존유적 및 보호시설의 손상으로 보존방안과 활용도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충북 지역 보존유적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보존방안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충북에는 총 43개의 보존유적이 있었으며, 관리주체의 명확성 여부를 떠나 대부분 체계적인 관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잘못된 보존처리와 재료의 선정 등으로 인해 유구 및 보호시설이 훼손되어지고 있는 상태로 확인되었으며, 보존유적의 훼손으로 전시, 교육, 체험 등 활용성에서도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에는 법적⋅제도적 장치의 개선, 예산⋅전문 인력 확보. 표준화 매뉴얼 개발 및 적용, 지속적 모니터링, 예방보존, 이전 지료 및 방법 연구, 목록화 작업, 전문 박물관 및 복합 테마 파크 조성 등 중⋅장기적인 계획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또한 조사된 보존유적에 맞는 보존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존⋅관리가 이루어지면 보다 체계적⋅과학적으로 보존⋅관리되고 교육, 전시, 홍보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발굴 조사 된 매장문화재는 학술적, 역사적 가치에 따라 문화재청장이 보존조치를 결정하 지만, 이전⋅복원 후 관리, 보존, 활용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보존유적 및...

      발굴 조사 된 매장문화재는 학술적, 역사적 가치에 따라 문화재청장이 보존조치를 결정하 지만, 이전⋅복원 후 관리, 보존, 활용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보존유적 및 보호시설의 손상으로 보존방안과 활용도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충북 지역 보존유적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보존방안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충북에는 총 43개의 보존유적이 있었으며, 관리주체의 명확성 여부를 떠나 대부분 체계적인 관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잘못된 보존처리와 재료의 선정 등으로 인해 유구 및 보호시설이 훼손되어지고 있는 상태로 확인되었으며, 보존유적의 훼손으로 전시, 교육, 체험 등 활용성에서도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에는 법적⋅제도적 장치의 개선, 예산⋅전문 인력 확보. 표준화 매뉴얼 개발 및 적용, 지속적 모니터링, 예방보존, 이전 지료 및 방법 연구, 목록화 작업, 전문 박물관 및 복합 테마 파크 조성 등 중⋅장기적인 계획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또한 조사된 보존유적에 맞는 보존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존⋅관리가 이루어지면 보다 체계적⋅과학적으로 보존⋅관리되고 교육, 전시, 홍보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위광철, "충청남도 발굴유구 보존현황 및 보존방안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3 (33): 541-552, 2017

      2 위광철, "유구 보존방법론 중 토층전사에 관한 고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341-348, 2010

      3 위광철, "서울지역 發掘 遺構 保存現況 및 保存方法에 관한 檢討" 한국문화사학회 (40) : 219-235, 2013

      4 최민정, "매장문화재 보호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5) : 75-99, 2016

      5 위광철, "發掘遺構 轉寫用 合成樹脂 開發 및 適用에 관한 硏究"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6 ENGUARD, "Restoration of cultural sites in Dongdaemun history and culture park"

      7 YTN, "Property data analysis of ancient burial sites"

      8 Lee, H. J., "Planning for archaeological relics excavated in city center - A case study of seven redevelopment projects in Seoul city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Maintenance for preservation measures archeological site of buried cultural heritage"

      10 Wi, K. C., "Improvement direction and techniques of preservation for preservation of urban ruins" 45-48, 2018

      1 위광철, "충청남도 발굴유구 보존현황 및 보존방안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3 (33): 541-552, 2017

      2 위광철, "유구 보존방법론 중 토층전사에 관한 고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341-348, 2010

      3 위광철, "서울지역 發掘 遺構 保存現況 및 保存方法에 관한 檢討" 한국문화사학회 (40) : 219-235, 2013

      4 최민정, "매장문화재 보호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5) : 75-99, 2016

      5 위광철, "發掘遺構 轉寫用 合成樹脂 開發 및 適用에 관한 硏究"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6 ENGUARD, "Restoration of cultural sites in Dongdaemun history and culture park"

      7 YTN, "Property data analysis of ancient burial sites"

      8 Lee, H. J., "Planning for archaeological relics excavated in city center - A case study of seven redevelopment projects in Seoul city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Maintenance for preservation measures archeological site of buried cultural heritage"

      10 Wi, K. C., "Improvement direction and techniques of preservation for preservation of urban ruins" 45-48, 2018

      11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terminology"

      12 Park, G. J., "A study on the relocation and restoration of shop structure and its protective facility" 6 : 27-40, 2009

      13 Yang, T. G., "A study for systematic improvement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uried cultural heritage"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67-75, 2018

      14 Yang, T. G., "A study for systematic improvement on the measures for preserva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excavated"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23-28,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7 0.4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