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3·1운동 당시 대전에서는 3월 16일의 유성장터 시위를 시작으로 4월 1일까지 군내에서 8회의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대전의 3․1운동은 현상적 사실조차 제대로 정리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18996
2020
Korean
3·1운동 ; 대전 ; 독립선언서 ; 유성장터 ; 인동장터 ; 김정철 ; 이상수 ;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 Daejeon ;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 Yuseong marketplace ; Indong marketplace ; Kim ; Jeongchol ; Lee ; Sangsoo
KCI등재
학술저널
35-68(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19년 3·1운동 당시 대전에서는 3월 16일의 유성장터 시위를 시작으로 4월 1일까지 군내에서 8회의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대전의 3․1운동은 현상적 사실조차 제대로 정리되�...
1919년 3·1운동 당시 대전에서는 3월 16일의 유성장터 시위를 시작으로 4월 1일까지 군내에서 8회의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대전의 3․1운동은 현상적 사실조차 제대로 정리되지 못한 채 부정확한 전문과 사실이 혼재되어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전지역은 천도교와 기독교 등 종교 조직이 강하지 않았고, 민족대표와 직접 연계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초기 계획단계에 참여한 지역 출신 학생이 없었기 때문에 종교 조직을 통한 독립선언서 배포계선에서는 제외되어 있었다. 따라서 대전은 교통의 요지임에도 독립선언서 지방 배포 담당자들이 단순 경유하는 데 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립선언서는 만세시위 촉발의 주요 동인이 되어 산내면 출신 서울 유학생 김정철은 독립선언서 등 문서를 지니고 귀향하여 인동장터의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또한 이상수와 이권수는 중앙 지도체와 연계하여 독립선언서를 전달하며 유성장터의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만세시위는 유성장터와 인동장터 장날을 이용하여 장터에서 전개되었다. 장터에서는 장날이 아닌 날 전개되는 경우도 있었다. 3월 27일 인동장터 시위는 시장 상인들이 중심이 되어 전개하였으나, 유성장터처럼 인근 지역 주민이 몰려와 전개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장터 시위치고 그리 큰 규모는 아니어서, 많을 경우는 200~400명 규모였고, 대개 수십 명 정도의 규모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시위 양상은 격렬하였다. 유성과 인동장터에서는 격렬한 시위가 전개되어 일제측 부상자가 발생할 정도였고, 일제의 발포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한편 가수원에서는 일제와 직접 충돌을 피하기 위해 야간에 산위에서 불을 피우고 만세를 외치는 이른바 봉화만세운동도 전개되었다. 대전 3·1운동 주도자 김정철과 홍병두는 3․1운동 참여자의 이후 독립운동 추향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studies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Daejeon area. In this area, starting with a Yuseong marketplace uprising on March 17th, 1919, there were 8 uprisings until April 1st. However, the Marc...
This thesis studies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Daejeon area. In this area, starting with a Yuseong marketplace uprising on March 17th, 1919, there were 8 uprisings until April 1st. Howev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Daejeon area has been still unorganized and discussed with mixed inaccurate stories and facts.
Daejeon area didn"t have a strong religious organization network, like the Cheondogyo, Christianity, etc.,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and students who joined the early stag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So this area was apart from the delivery list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via religious organizations. Therefore, some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other parts of the country, such as Kim, Jeongchol of Sannae-myon, went home with the Declaration and it triggered an Indong marketplace uprising. And some Confucian students like Lee, Sangsoo and Lee, kwonsoo, who led the Yuseong marketplace uprising, were supposed to be related to the central organization. Uprisings took place on a market day at Yuseong and Indong marketplace and sometimes, even ordinary days. For example, most of the people who joined the Indong uprising on May 27th were market dealers. But as for the Yuseong uprising, most of the demonstrators were local people nearby. These marketplace uprisings were not that big, so usually dozens of people and sometimes 200 to 400 participated in them. Nevertheless, they were very passionate and enthusiastic, so that in Yuseong and Indong, some Japanese soldiers were injured. Because of that, they fired shots into the demonstrators so may of them were injured and died. Meanwhile, in Gasuwon, to avoid a direct conflict, so-called a beacon uprising took place. It means to raise a beacon fire on the mountaintop and shout “Hurray!”at night. Kim, Jeongchol and Hong, Byongdu are good exampl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Daejeon a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호, "충남지방 3·1운동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2 김상기, "애국지사 강산 김용원" 경인문화사 2004
3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4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제3권" 1972
5 국가기록원, "독립운동관련 판결문"
6 大韓民國臨時政府,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7 김상기, "대전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사상적 배경과 전개 – 慶州金氏‘松崖公派’ 一家의 事例-" 6 : 1997
8 김진호, "대전지역 3․1운동 연구 현황과 과제"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3 : 2009
9 박걸순, "기록으로 듣는 100년 전의 함성, 3․1운동" 국가기록원 2018
10 金秉祚, "韓國獨立運動史略 上編" 宣言社 1921
1 김진호, "충남지방 3·1운동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2 김상기, "애국지사 강산 김용원" 경인문화사 2004
3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4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제3권" 1972
5 국가기록원, "독립운동관련 판결문"
6 大韓民國臨時政府,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7 김상기, "대전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사상적 배경과 전개 – 慶州金氏‘松崖公派’ 一家의 事例-" 6 : 1997
8 김진호, "대전지역 3․1운동 연구 현황과 과제"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3 : 2009
9 박걸순, "기록으로 듣는 100년 전의 함성, 3․1운동" 국가기록원 2018
10 金秉祚, "韓國獨立運動史略 上編" 宣言社 1921
11 朴殷植, "韓國獨立運動之血史" 維新社 1920
12 박걸순, "義兵將 韓鳳洙의 抗日鬪爭" 10 : 1996
13 "每日申報"
14 "東京朝日新聞"
15 朝鮮憲兵隊司令部, "朝鮮騷擾事件狀況"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6 : 1973
16 金正明編, "朝鮮獨立運動Ⅰ" 原書房 1967
17 朝鮮憲兵隊司令部, "朝鮮3․1獨立騷擾事件"
18 "忠淸南道長官報告" 1919
19 "大阪朝日新聞"
20 대전시지편찬위원, "大田市誌, 上卷" 1984
21 대전직할시, "大田市史, 제1권" 1992
22 김진호, "大田100年史" 大田光域市史編纂委員會 2002
23 朝鮮總督府警務局, "國外ニ於ケル容疑朝鮮人名簿"
24 李炳憲, "三一運動祕史" 時事時報社 1959
25 "THE JAPAN ADVERTISER"
26 박걸순, "3․1봉화만세운동과 趙東植"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 : 2013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에서 이혼법의 변화 - 한중일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2-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9-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호서사학외국어명 : HO-SUH SAHAK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6 | 0.95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