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일본에서 8세기 전반에 재위한 문무·원명·원정·성무는 황위 계승자로서 자신의 정통성과 황권의 정당성을 피력하기 위해 기존의 통치자들이 내세웠던 천손강림신화만으로는 불충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18999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5-200(4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대 일본에서 8세기 전반에 재위한 문무·원명·원정·성무는 황위 계승자로서 자신의 정통성과 황권의 정당성을 피력하기 위해 기존의 통치자들이 내세웠던 천손강림신화만으로는 불충분�...
고대 일본에서 8세기 전반에 재위한 문무·원명·원정·성무는 황위 계승자로서 자신의 정통성과 황권의 정당성을 피력하기 위해 기존의 통치자들이 내세웠던 천손강림신화만으로는 불충분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선황의 遺志, 특히 천지가 장자인 대우황자에게 황위를 물려주기 위해 제정한 ‘不改常典’ 법을 황위 계승의 논리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논리가 즉위 선명을 통해 군신들 앞에서 선포된 것은 지통천황의 구상에서 출발한 소위 초벽-문무-성무로 이어지는 초벽계 황통을 성립시키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奈良시대 후기 성무의 뒤를 이어 즉위한 효겸에 이르러 황위 계승의 논리는 변화되기 시작했다. 초벽계 적자로 황통을 잇기 위해 원명 이후 황위 계승의 논리로 사용된 ‘不改常典’ 법은 덜 강조되었다. 그리고 이를 대신해 황위를 황태자에게 물려주려는 선황의 유지가 이전보다 더욱 중요시되었고, 그 결과 양위 선명이 성립되었다.
환무는 자신만의 새로운 황권을 창출하는 데 즉위 선명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환무는 황위 계승자로서 자신의 정통성이 천무에서 시작된 초벽계가 아닌 천지계에 있다고 생각했다. 이에 천지계 황통의 시발점인 부친 광인천황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리고 조정 내에서 자신의 권위를 세워 황권을 강화하기 위해 부친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분이 낮은 모친 高野부인의 신분을 황태부인으로 승격시켰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mperor Monmu, Genmyo and Syomu has thought that the myth with which predecessors had been authorized becomes insufficient for making their eligibilities clear. They thus have utilized the unchanging principle which the emperor Tenji described whe...
The emperor Monmu, Genmyo and Syomu has thought that the myth with which predecessors had been authorized becomes insufficient for making their eligibilities clear. They thus have utilized the unchanging principle which the emperor Tenji described when he intended to nominate his oldest son the prince Otomo as the next sovereign. They have announced it to servants in the ceremony of coronation and attempted to ensure eligibilities of the prince Kusakabe’s descendants.
However, the emperor Koken, successor of the emperor Syomu, has not followed this method. Instead of it, she chooses to declare name of successor and new method, announcement of succession, has been formed. In contrast, the emperor Kanmu announces coronation as he intends to make clear that he is the emperor Tenji’s descendant. On one hand, he describes his father’s name, the emperor of Konin, in it and prepares for another announcement for positioning his mother, Takano no Niigasa who came from Korean peninsula higher lank on the other han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令集解"
2 "令義解"
3 佐藤長門, "歷史讀本(特集ワイド 古代女帝の謎" 新人物往來社 2012
4 義江明子, "歷史讀本" 新人物往來社 2012
5 水谷千秋, "女帝と讓位の古代史" 理想社 2003
6 연민수, "역주 일본서기3" 동북아역사재단 2013
7 林陸朗, "長岡·平安京と郊社圓丘" 財團法人古代學協會 26 (26): 1974
8 直木孝次郞, "講談社學術文庫" 講談社 1990
9 "西宮記"
10 "續日本紀"
1 "令集解"
2 "令義解"
3 佐藤長門, "歷史讀本(特集ワイド 古代女帝の謎" 新人物往來社 2012
4 義江明子, "歷史讀本" 新人物往來社 2012
5 水谷千秋, "女帝と讓位の古代史" 理想社 2003
6 연민수, "역주 일본서기3" 동북아역사재단 2013
7 林陸朗, "長岡·平安京と郊社圓丘" 財團法人古代學協會 26 (26): 1974
8 直木孝次郞, "講談社學術文庫" 講談社 1990
9 "西宮記"
10 "續日本紀"
11 池浩三, "祭儀の空間-その民俗現象の諸相と原型" 相模書房 1979
12 大坪秀敏, "百濟王氏と古代日本" 雄山閣 2008
13 林睦朗, "桓武朝論(古代史選書7)" 雄山閣出版 1994
14 二星祐哉, "桓武朝における天智系皇統意識の成立" 大阪歷史學會 215 : 2009
15 宮永廣美, "桓武天皇と外戚―渡來系氏族優遇說の再檢討―" 續日本紀硏究會 352 : 2004
16 西本昌弘, "桓武天皇(日本史リブレット人011)" 山川出版社 2013
17 村尾次郎, "桓武天皇(人物叢書 新装版 112)" 吉川弘文館 1987
18 大津透, "東アジアの古代文化" 寺小屋出版社 2004
19 "日本書紀"
20 瀧浪貞子, "日本古代宮廷社會の硏究" 思文閣出版 1991
21 義江明子, "日本古代女帝論" 塙書房 2017
22 井上光貞, "日本古代國家の硏究" 岩波書店 1965
23 加茂正典, "日本古代卽位儀禮史の成立" 1999
24 吉村武彦, "日本古代の社會と國家" 岩波書店 1996
25 荒木敏夫, "日本古代の皇太子" 吉川弘文館 1985
26 井上光貞, "日本古代の王權と祭祀" 東京大學出版會 1984
27 志村佳名子, "日本古代の王宮構造と政務·儀禮" 塙書房 2015
28 遠藤みどり, "日本古代の女帝と譲位" 塙書房 2015
29 井上亘, "日本古代の天皇と祭儀" 吉川弘文館 1998
30 和田萃, "日本古代の儀禮と祭祀․ 信仰 上" 塙書房 1995
31 仁藤敦史, "文字と古代日本1 支配と文字" 吉川弘文館 2004
32 김은정, "持統천황의 즉위와 그 의미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고대학회 (55) : 405-434, 2019
33 直木孝次郞, "持統天皇" 吉川弘文館 1970
34 熊谷公男, "持統の即位儀と「治天下大王」の即位儀禮" 日本史硏究會 474 : 2002
35 "懷風藻"
36 "延喜式"
37 김은정, "平城宮 朝堂을 통해 본 고대 일본의 천황" 백제연구소 (69) : 105-143, 2019
38 千田稔, "平城京(別冊太陽 日本のこころ165)" 平城京 2010
39 義江明子, "岩波講座 天皇と王權を考える7 ジェンダーと差別" 岩波書店 2002
40 吉田孝, "岩波講座 日本歷史 第2巻 古代 2" 岩波書店 1975
41 遠藤みどり, "女帝卽位の歷史的意義" 大阪歷史學會 241 : 2013
42 義江明子, "天武天皇と持統天皇(日本史ブレット人006)" 山川出版社 2014
43 森田悌, "天武·持統天皇と律令國家" 同成社 2010
44 熊谷公男, "大王から天皇へ(日本の歷史03)" 講談社 2001
45 荒木敏夫, "可能性としての女帝" 靑木書店 1999
46 小林敏男, "古代女帝の時代" 校倉書房 1987
47 岡田精司, "古代祭祀の史的硏究" 塙書房 1992
48 岡田精司, "古代王權の祭祀と神話" 塙書房 1970
49 溝口睦子, "古代王權と祭儀" 吉川弘文館 1990
50 仁藤敦史, "古代王權と支配構造" 吉川弘文館 2012
51 小林敏男, "古代天皇制の基礎的硏究" 校倉書房 1994
52 藤森健太郞, "古代天皇の卽位儀禮" 吉川弘文館 2000
53 大津透, "古代の天皇制" 岩波書店 1999
54 "古事記"
55 熊谷公男, "卽位宣命の論理と「不改常典」法" 東北學院大學學術硏究會 2010
56 "北山抄"
57 "內裏儀式"
58 中嶋治代, "元正女帝の登極とその背景-皇位繼承と古代天皇制の一考察として" 北海道敎育大學史學會 25 : 1984
59 "儀式"
60 瀧川政次郞, "京制並に都城制の硏究" 角川書店 1967
61 遠藤みどり, "七, 八世紀皇位繼承における讓位の意義" 大阪歷史學會 209 : 2008
62 楊永民, "『天皇卽位儀』と朝賀儀" 明治大學大學院 21 (21): 1984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에서 이혼법의 변화 - 한중일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2-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9-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호서사학외국어명 : HO-SUH SAHAK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6 | 0.95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