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충청지역에 조성된 樓亭은, 대체로 淸州·淸風·公州·天安 등 주요지역의 官衙, 客舍, 驛院 주변에 지방관 주도로 지역민을 동원하여 조성한 官立 누정들이었다. 이러한 누정들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18995
2020
Korean
누정 ; 별업 ; 거주처 ; 관료층 ; 충청지역 ; Nu-jeong(樓亭) ; Byeol-up(別業) ; residence ; Bureaucrats ; Chungcheong(忠淸) area
KCI등재
학술저널
5-34(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시대 충청지역에 조성된 樓亭은, 대체로 淸州·淸風·公州·天安 등 주요지역의 官衙, 客舍, 驛院 주변에 지방관 주도로 지역민을 동원하여 조성한 官立 누정들이었다. 이러한 누정들은 �...
고려시대 충청지역에 조성된 樓亭은, 대체로 淸州·淸風·公州·天安 등 주요지역의 官衙, 客舍, 驛院 주변에 지방관 주도로 지역민을 동원하여 조성한 官立 누정들이었다. 이러한 누정들은 경관이 수려한 장소에 위치하여, 국왕, 지방관 혹은 타지로 이동 중에 있던 관료들이 머물며 풍광을 통해 휴식을 취하던 장소로 이용되었다. 혹은 농사 관련 제사를 거행하고, 한해의 중요한 행사를 거행하며, 지역 사정을 살펴보는 상징적 장소로 이용되는 등 지역사회의 운영과 관련해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하였다.
또한 고려후기에는 충청지역에 관료 혹은 그들의 후손들에 의해 民立 누정이 조성되는 사례가 증가하여 나타나기 시작했다. 고려후기 이래 정치변동과정에서 관직에서 물러난 관료가 가문의 別業 등 기반이 있던 本貫地나 妻家·外家 등에 거주처를 마련하고 누정을 조성한 경우를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여말선초시기에는 관료층이 충청지역으로 거주처를 이주한 이래, 그 후손들이 지역 내에 정착하는 과정과 관련하여 누정이 조성되고 있는 모습도 살펴볼 수 있어 주목된다. 이와 같은 경향은 여말선초시기 관료층이 충청지역으로 이주하여 거주처를 마련하고, 이후 후손들에 의해 점차 정착기반이 조성되어 나가는 사정을 반영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d Nu-jeong(樓亭) built in Chungcheong(忠淸) area during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local government established Nu-jeong(樓亭) in important places such as government offices and transportation centers in ...
This paper studied Nu-jeong(樓亭) built in Chungcheong(忠淸) area during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local government established Nu-jeong(樓亭) in important places such as government offices and transportation centers in Chungcheong area. It was located in a scenic place and used as a place for officials to interact and relax. It was also used as an important place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to run local communities.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re were increased cases in which officials and their descendants built Nu-jeong(樓亭) in Chungcheong area. Some government officials who resigned from central office during the political upheaval of the late Goryeo Dynasty established a residence in Bon-gwan-ji(本貫地), Cheo-ga(妻家), and Wö-ga(外家), and established Nu-jeong(樓亭).
Meanwhile,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some resigned government officials moved to Chungcheong area, and it is also noteworthy that Nu-jeong(樓亭) is being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process of their descendants settling in the region. This trend reflects the situation in which the some government officials moved to Chungcheong area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to establish a residence, and their settlement base was gradually established by their descenda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충북향토문화연구소, "충북의 누정"
2 허경진, "충남지역 누정문학연구" 태학사 2000
3 허경진, "충남지역 누정문학연구" 태학사 2000
4 강민식, "청주한씨의 연원과 시조 전승" 한국학중앙연구원 (30) : 322-341, 2013
5 조창열, "천안의 누정기와 한시" 한국학술정보 2008
6 이정우, "조선시기 충청도 회덕현 世居姓氏의 형성과 동향" 대전광역시사편찬위원회 6 : 1997
7 제천문화원, "제천의 누정과 의림지"
8 제천문화원, "제천의 누정과 시문"
9 이정호, "여말선초 京第 · 別墅 · 鄕第의 조성과 생활공간의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25) : 89-116, 2008
10 이동재, "서천의 樓亭 題詠詩攷" 근역한문학회 38 : 391-426, 2014
1 충북향토문화연구소, "충북의 누정"
2 허경진, "충남지역 누정문학연구" 태학사 2000
3 허경진, "충남지역 누정문학연구" 태학사 2000
4 강민식, "청주한씨의 연원과 시조 전승" 한국학중앙연구원 (30) : 322-341, 2013
5 조창열, "천안의 누정기와 한시" 한국학술정보 2008
6 이정우, "조선시기 충청도 회덕현 世居姓氏의 형성과 동향" 대전광역시사편찬위원회 6 : 1997
7 제천문화원, "제천의 누정과 의림지"
8 제천문화원, "제천의 누정과 시문"
9 이정호, "여말선초 京第 · 別墅 · 鄕第의 조성과 생활공간의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25) : 89-116, 2008
10 이동재, "서천의 樓亭 題詠詩攷" 근역한문학회 38 : 391-426, 2014
11 허경진, "대전지역 누정문학연구" 태학사 1998
12 이정우, "대전의 성씨와 인물 1-회덕현 회덕황씨의 재지내 위상변화와 가문의 사람들-" 대전광역시사편찬위원회 8 : 1999
13 韓基範, "대전문화 2" 대전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3
14 김갑동, "나말려초 천안부의 성립과 그 동향" 117 : 2002
15 충남향토연구회, "금강의 누정 문화"
16 정진영, "고려시대의 안동" 예문서원 2006
17 이병희, "고려시대 청주곽씨 가문" 2006
18 김아네스, "고려시대 지방제의 운영과 천안부" 한국중세사학회 (48) : 45-82, 2017
19 윤용혁, "고려시대 서해 연안해로의 객관과 안흥정" 부산경남사학회 (74) : 29-57, 2010
20 이창업, "고려시대 별서건축에 관한 연구-고문헌 분석을 통하여-" 24 (24): 2004
21 정용범, "고려 중・후기 別墅의 운영과 도시근교농업의 발달" 부산경남사학회 (99) : 75-103, 2016
22 이정호, "高麗後期 別墅의 조성과 기능" 고려사학회 (27) : 215-242, 2007
23 문화재청, "淸風寒碧樓 實測調査報告書" 2003
24 林東喆, "淸原의 樓亭" 淸原文化院 1997
25 이용범, "東文選의 樓亭記에서 본 高麗 中·後期의 樓亭建築考" 한국건축역사학회 2 (2): 1993
26 黃相旭, "懷德黃氏大同世譜" 회덕황씨종중 1977
27 김미선, "忠北 題詠詩의 樣相" 한국한문고전학회 24 (24): 73-101, 2012
28 대전서구문화원, "大田廣域市 西區史, 제2권 서구의 문화"
29 大田直轄市史編纂委員會, "大田市史, 卷4"
30 문경호, "1123년 서긍의 고려 항로에 대한 재검토- 夾界山~馬島 安興亭 구간을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78) : 71-105, 2016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에서 이혼법의 변화 - 한중일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2-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9-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호서사학외국어명 : HO-SUH SAHAK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6 | 0.95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