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수학학습에서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13종의 함수 단원에 제시된 스토리텔링의 내용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그 내용을 다시 수학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89279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7-304(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수학학습에서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13종의 함수 단원에 제시된 스토리텔링의 내용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그 내용을 다시 수학학...
본 연구에서는 수학학습에서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13종의 함수 단원에 제시된 스토리텔링의 내용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그 내용을 다시 수학학습으로써 개발될 수 있는 요소 및 수업 적용 시점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토리텔링의 유형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실생활 연계형(85.8%)이었고, 수학사 탐구형과 학문 융합형은 거의 활용되지 못하였다. 스토리텔링의 요소에서는 수학사 탐구형, 실생활 연계형, 학문 융합형 모두 동기·흥미 유발 요소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원리 탐구와 타학문 이해 요소는 거의 활용되지 못하였다. 스토리텔링의 수업 적용 시점에서는 유형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도입 시점(38.4%)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알고리듬 이해, 알고리듬 연습, 학습 과제 시점에서는 거의 활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을 통해 교수·학습에 균형을 가져오고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생활 연계형뿐만 아니라 수학사 탐구형과 학문 융합형의 활용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새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서에 반영되어야 하고, 스토리텔링의 유형별로 한 가지 유형이 다양한 스토리텔링 요소와 수업 적용 시점에 활용될 수 있는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contents of the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function unit of 1st grade in middle school 13 mathematics textbooks and again atomize the contents of the storytelling as the factors developed as a m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contents of the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function unit of 1st grade in middle school 13 mathematics textbooks and again atomize the contents of the storytelling as the factors developed as a mathematics learning and the class time to apply contents of the storytelling. As results, what is most often used in the type of storytelling was life connected(85.8%), but the history of mathematics type and academic fused type did not take advantage. In the factors of the storytelling, the factor of motivation is extensively used but the exploration and other factors of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was hardly used. In the class time to apply contents of the storytelling, the most often used in the introduction point(38.4%) but the others were hardly used.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teaching-learning effect and the development of new education mathematics textbooks, we need to study the life connected as well as the history of mathematics type and academic fused type. Also, we need to research that the each type of contents of the storytelling contains a variety of the factors and the class time to apply contents of the storytell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상담전공 학부생이 수업 중 집단상담에서 경험한 치료적 요인 분석
태권도 지도자를 위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심상이 교육도구로써 교양무용수업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