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심성교육을 위한 한국무용 교육내용의 구조화 = Structuring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Dance for Spiri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73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회는 ‘마음(心)’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로 얼룩져 있으며, 이는 교과교육을 통한 심성교육을 요청한다. 본 연구는 심성교육을 위한 한국무용 교육내용을 탐색하고 구조화함으로써, ...

      우리 사회는 ‘마음(心)’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로 얼룩져 있으며, 이는 교과교육을 통한 심성교육을 요청한다. 본 연구는 심성교육을 위한 한국무용 교육내용을 탐색하고 구조화함으로써, 한국무용을 통한 심성교육을 실현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질적연구방법에 근거하여, 궁중·종교·민속무용 영역의 교수자 9명과 학습자 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문헌분석, 심층면담, 비참여관찰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심성교육을 위한 한국무용의 교육내용은 크게 지성, 감성, 덕성, 영성적 차원으로 범주화되며,각 차원에는 2가지 내용요소, 그리고 이를 이루는 세부내용요소가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지성적차원은 ‘춤을 관통하는 사상관과 심미관을 이해하고, 나아가 이러한 관점으로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고 판단하는 것’으로, ‘사상관(思想觀)’과 ‘심미관(審美觀)’의 교육내용으로 세분화된다. 둘째, 감성적 차원은 ‘춤을 출때 자신의 감정을 감지하고 다스리며, 나아가 삶에서 자신의 감정을 감지하고 다스릴 수 있는 것’으로, ‘유정(有情)’과 ‘무정(無情)’의 교육내용으로 세분화된다. 셋째, 덕성적 차원은 ‘춤에서 지향하는 사덕과 공덕을 내면화하고, 나아가 인간적인 삶의 문제에서 이러한 태도를 견지하는 것’으로 ‘사덕(私德)’과 ‘공덕(公德)’의 교육내용으로 세분화된다. 넷째, 영성적 차원은 ‘모든 것을 초월하고 자신만의 춤을 추며, 나아가 삶에서 자유를 만끽하고 자신의 참 모습을 드러내는 것’으로 ‘초월(超越)’과 ‘실현(實現)’의 교육내용으로 세분화된다. 이는 한국무용을 통한 심성교육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공하며, 장르와 작품에 따라서 교육내용이 선정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나아가 한국무용을 통한 심성교육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se days, our society has many problems resulted from ‘spirit’ of human beings. It requires spirit education through subject matter educatio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structuraliz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D...

      These days, our society has many problems resulted from ‘spirit’ of human beings. It requires spirit education through subject matter educatio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structuraliz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Dance for spirit education. Ba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 implemented the study with participants, 9 teachers and 9 students of three genres(Court Dance, Religion Dance, Folk Dance). For data collection, I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in-depth interview, non-participant observation. As a result,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Dance for spirit education are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and each dimension is included two educational contents. First, the intellectual dimension means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and beauty of Korean Dance, moreover,understanding and judging various phenomenon of life by this perspective. Second, the emotional dimension means sensing and controling own emotion through Korean Dance, moreover, sensing and controling own emotion in their life. Third, the moral dimension means internalizing the private and public virtues expressed Korean Dance, moreover, keeping this attitude about problem of life. Fourth, the spiritual dimension means transcending everything and dancing own style, moreover, enjoying freedom fully and exposing who they really are in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강길, "화이트헤드와 새로운 민중신학" 한국기독교연구소 2006

      2 채희완, "한국춤의 정신은 무엇인가" 명경 2000

      3 정병호, "한국의 전통춤" 집문당 1999

      4 최선, "한국무용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성 검증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1 (21): 129-143, 2010

      5 정병호, "한국무용의 미학" 집문당 2004

      6 박혜연, "한국무용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 기능의 차원과 정신의 차원" 무용역사기록학회 24 : 59-74, 2012

      7 박혜연, "한국무용에서 심성 가르치기 : 한국무용 교수학습과정의 심성교육적 차원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이병옥, "한국무용민속학개론" 노리 2003

      9 최의창, "한국무용 잘 가르치기 - 무용정신의 교수방법 탐색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 (20): 39-61, 2013

      10 신봉희, "한국 춤에서의 흥에 대한 경험지각 탐색" 한국여성체육학회 25 (25): 55-68, 2011

      1 정강길, "화이트헤드와 새로운 민중신학" 한국기독교연구소 2006

      2 채희완, "한국춤의 정신은 무엇인가" 명경 2000

      3 정병호, "한국의 전통춤" 집문당 1999

      4 최선, "한국무용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성 검증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1 (21): 129-143, 2010

      5 정병호, "한국무용의 미학" 집문당 2004

      6 박혜연, "한국무용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 기능의 차원과 정신의 차원" 무용역사기록학회 24 : 59-74, 2012

      7 박혜연, "한국무용에서 심성 가르치기 : 한국무용 교수학습과정의 심성교육적 차원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이병옥, "한국무용민속학개론" 노리 2003

      9 최의창, "한국무용 잘 가르치기 - 무용정신의 교수방법 탐색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 (20): 39-61, 2013

      10 신봉희, "한국 춤에서의 흥에 대한 경험지각 탐색" 한국여성체육학회 25 (25): 55-68, 2011

      11 정병호, "한국 전통춤의 원형과 재창조" 민속원 2011

      12 황경숙, "한국 전통춤에 내재된 사상과 의미" 한국체육철학회 10 (10): 289-310, 2002

      13 성기숙, "한국 전통춤 연구" 현대미학사 1999

      14 강봉수, "한국 전통 도덕교육론" 한국학술정보(주) 2006

      15 이종만, "한국 장단 및 춤사위 학습이 아동의 무용 표현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1 (1): 77-90, 1996

      16 강병재, "한국 민속 무용과 발레가 유아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405-435, 2005

      17 박정준, "통합적 스포츠맨십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중등 학교체육에서의 가능성과 한계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8 조동일, "카타르시스, 라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1997

      19 최의창, "체육전문인 전문성의 재검토 - 심성적 차원의 역할과 그 교육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8 (18): 1-25, 2011

      20 유정애, "체육과 교육과정 총론" 대한미디어 2012

      21 김화숙, "창의성과 즉흥무용 교육의 관계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 18 (18): 1-18, 2007

      22 신재영,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23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8

      24 차옥수, "진주검무의 무용학적 이해와 교육적 의미" 한국체육철학회 11 (11): 223-246, 2003

      25 김경재, "종교다원시대의 기독교 영성" 다산글방 1992

      26 성기숙, "정재의 예악론과 공연미학(조선후기 궁중연향과 정재의 양상)-단행본" 민속원 2005

      27 최의창,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레인보우 북스 2010

      28 정범모, "인간의 자아실현" 나남 1997

      29 이애주, "우리춤의 미의식 체계: 한국춤의 아름다움" 197-207, 2001

      30 신정근, "소요유, 장자의 미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31 이루지, "생활무용참여자들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몰입행동 및 심리적 행복감"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357-366, 2005

      32 이숙재,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목표성향,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 관계 검증" 한국체육학회 47 (47): 621-632, 2008

      33 조영주, "무용몰입의 개념구조 탐색 및 척도 개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0

      34 정희자, "무용과 정서 지능의 하위요인별 분석 연구" 11 (11): 125-138, 2000

      35 류분순, "무용, 동작치료학" 민중사 2000

      36 Csikszentmihalyi, M.,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한울림 2004

      37 정용하, "동양인은 왜 몸을 닦는가" 한국학술정보 2011

      38 차주환, "동양심신수련법" 한국학술정보 2007

      39 유중하,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2012

      40 박병기, "동양 도덕교육론의 현대적 해석" 인간사랑 2009

      41 오강남, "도덕경" 현암사 1996

      42 최의창, "껍데기와 알맹이 - 교육내용으로서 한국무용정신의 구성요소 탐색" 무용역사기록학회 26 : 135-161, 2012

      43 홍은숙, "교육의 개념: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교육과학사 2007

      44 이홍우, "교육과정이론" 교육과학사 2003

      45 Snowber, C. N., "The soul moves: dance and spirituality in educative practice, In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arts education" Springer 1449-1458, 2007

      46 Hanna, J. L., "The power of dance : Health and healing" 1 (1): 323-331, 1995

      47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Standards for K-12 model program"

      48 Gould, D., "Life skills development through sport :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1 (1): 58-78, 2008

      49 Bresler, L., "Knowing bodies, moving minds: Towards embodied teaching and learning" Kluwer 2004

      50 Goetz, J.,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Academin Press 1984

      51 H' Doubler, M. N., "Dance: A Creative Art Experience" University Press 59-, 1957

      52 Harris, M., "Dance of the Spirit: The Seven Stages of Women's Spirituality" Bantam 2009

      53 Brinson, M., "Dance as Education Towards a National Dance Culture" The Falmer Press 1991

      54 Chappell, L., "Creativity within late primary age dance education: Unlocking expert specialist dance teachers conceptions and approaches" university of Kent 2006

      55 Chappell, L., "Creativity in primary level dance education : Moving beyond assumption" 8 (8): 27-52, 2007

      56 Gilbert, A. G., "Creative Dance" AAHPERD 1992

      57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1 1.91 1.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9 2.03 2.01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