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학번역을 위한 소고 = Gedanken zur Übersetzung von literarischen Text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2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 Rahmen der vorliegenden Arbeit sollen einige Gedanken zur Übersetzung von literarischen Texten präsentiert werden, indem die übersetzerischen Tätigkeiten einiger deutschsprachiger literarischer Werke analysiert werden. Eine Übersetzung sollte nicht auf der Analyse der Sprachstrukturen im AS-Text, sondern auf der Analyse ihrer Handlungsfunktionen basieren. Dafür muss der Übersetzer neben den sprachlichen, auch die kulturellen und pragmatischen Komponenten im AS-Text beachten. Die Aufgabe des Übersetzers ist es, Funktionen der Sprechakte im Text zu erfassen und diese möglichst vollständig durch Sprechakte im ZS-Text widerzuspiegeln. Streng genommen besteht m.E. keine Äquivalenz zwischen beiden Sprachen, sondern nur die Relation der ‘Metasprache’.
      In diesem Sinne sollte die Übersetzung eines literarischen Texts darauf gerichtet sein, angemessene Äußerungsformen der Metasprache, die wichtige kulturelle und pragmatische Komponenten aus dem AS-Text widerspiegeln und zugleich dem ZS-Empfänger als zugänglich erscheinen, auszumachen.
      번역하기

      Im Rahmen der vorliegenden Arbeit sollen einige Gedanken zur Übersetzung von literarischen Texten präsentiert werden, indem die übersetzerischen Tätigkeiten einiger deutschsprachiger literarischer Werke analysiert werden. Eine Übersetzung sollte ...

      Im Rahmen der vorliegenden Arbeit sollen einige Gedanken zur Übersetzung von literarischen Texten präsentiert werden, indem die übersetzerischen Tätigkeiten einiger deutschsprachiger literarischer Werke analysiert werden. Eine Übersetzung sollte nicht auf der Analyse der Sprachstrukturen im AS-Text, sondern auf der Analyse ihrer Handlungsfunktionen basieren. Dafür muss der Übersetzer neben den sprachlichen, auch die kulturellen und pragmatischen Komponenten im AS-Text beachten. Die Aufgabe des Übersetzers ist es, Funktionen der Sprechakte im Text zu erfassen und diese möglichst vollständig durch Sprechakte im ZS-Text widerzuspiegeln. Streng genommen besteht m.E. keine Äquivalenz zwischen beiden Sprachen, sondern nur die Relation der ‘Metasprache’.
      In diesem Sinne sollte die Übersetzung eines literarischen Texts darauf gerichtet sein, angemessene Äußerungsformen der Metasprache, die wichtige kulturelle und pragmatische Komponenten aus dem AS-Text widerspiegeln und zugleich dem ZS-Empfänger als zugänglich erscheinen, auszumach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주지하다시피, 번역은 원본의 의미를 목표언어의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행위이다. 그래서 ‘좋은’ 번역은 우선 원본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을 전제한다. 번역가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원본의 의미파악만이 ‘좋은’ 번역을 결정하는 기준은 될 수 없다. 목표언어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는 것도 중요한 기준일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좋은’ 번역은 원본의 의미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목표언어의 독자들에게 익숙한 표현형식을 지녀야 하겠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기존의 논쟁점인 원어에 충실할 것인가, 아니면 목표언어에 충실한 것인가는 더 이상 논의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다. 원어와 목표언어 그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고 둘 사이를 상황에 적절히 조율하는 것이 ‘좋은’ 번역의 토대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우선 원본의 의미에 어떻게 부합할 수 있는가? 원본의 문법적 형식과 특징을 철저히 따르는 것이 원본의 의미를 온전히 반영하는 길이라는 견해가 있다(ex. 비교문체론). 하지만 언어형식에 집중된 번역은 간접화행 등의 내포의미를 가진 화행을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언어형식이 아니라 언어사용, 즉 화행의 기능에 초점을 두어 원본을 분석하는 것이 번역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모든 화행은 기능과 언어형식으로 분석된다. 화행의 기능은 발화의 소통기능으로서 원문의 화자나 저자가 의도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실제적 의미이고, 이런 의미는 개별언어의 특정한 언어형식을 통해 실현된다.
      아울러 화행의 기능인 ‘발화수반력 Illokution’은 기존처럼 큰 틀의 행위개념(ex. 부탁, 지시)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상황과 문화맥락을 반영하는 부수적인 세부기능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래서 예컨대 독일어 표현 Könnte ich vielleicht von diesem Dokument drei Kopien haben?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이 표현의 단순한 행위기능(ex. 부탁)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상황과 결부된 공손성의 기능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원본 화행의 발화수반력에 온전히 도달하는 길이다.
      다음으로 원본의 의미에 상응하는 등가의 목표언어 표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의 견해로는 완전한 등가의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물론 텍스트유형에 따라 예외는 있다. 예컨대 단순하고 분명한 화행기능을 가진 실용텍스트(ex. 제품사용설명서)의 경우 등가의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몇몇 텍스트유형들, 특히 문학텍스트의 경우에는 원본의 의미에 완전히 부합하는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문학텍스트의 화행들은 대개 특정문화에서만 통용될 수 있는 복잡한 문화적 맥락들을 담고 있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3) 일례로 문학작품 ‘심청전’을 들 수 있다. 이 소설의 주제는 효이고 문화적 상황맥락은 유교와 불교, 샤머니즘이다. 그러나 독일어 번역본에서는 이런 맥락이 무시된 채 단순히 용왕과 심청의 러브스토리라는 내용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있다. 출발언어가 갖는 문화적 맥락의 결손이 낳은 결과이다(박용삼 2007, 271 재인용).
      따라서 문학텍스트를 번역할 경우 완전한 등가의 목표언어가 아니라, 원본의 의미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는 목표언어를 찾는 것이 현실적인 번역방법이라고 본다. 이런 면에서 필자는 번역어를 일종의 ‘메타언어’라고 본다. 왜냐하면 번역어는 엄격한 의미에서 원본 ...
      번역하기

      주지하다시피, 번역은 원본의 의미를 목표언어의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행위이다. 그래서 ‘좋은’ 번역은 우선 원본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을 전제한다. 번역가의 역할이 중요한 이...

      주지하다시피, 번역은 원본의 의미를 목표언어의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행위이다. 그래서 ‘좋은’ 번역은 우선 원본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을 전제한다. 번역가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원본의 의미파악만이 ‘좋은’ 번역을 결정하는 기준은 될 수 없다. 목표언어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는 것도 중요한 기준일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좋은’ 번역은 원본의 의미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목표언어의 독자들에게 익숙한 표현형식을 지녀야 하겠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기존의 논쟁점인 원어에 충실할 것인가, 아니면 목표언어에 충실한 것인가는 더 이상 논의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다. 원어와 목표언어 그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고 둘 사이를 상황에 적절히 조율하는 것이 ‘좋은’ 번역의 토대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우선 원본의 의미에 어떻게 부합할 수 있는가? 원본의 문법적 형식과 특징을 철저히 따르는 것이 원본의 의미를 온전히 반영하는 길이라는 견해가 있다(ex. 비교문체론). 하지만 언어형식에 집중된 번역은 간접화행 등의 내포의미를 가진 화행을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언어형식이 아니라 언어사용, 즉 화행의 기능에 초점을 두어 원본을 분석하는 것이 번역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모든 화행은 기능과 언어형식으로 분석된다. 화행의 기능은 발화의 소통기능으로서 원문의 화자나 저자가 의도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실제적 의미이고, 이런 의미는 개별언어의 특정한 언어형식을 통해 실현된다.
      아울러 화행의 기능인 ‘발화수반력 Illokution’은 기존처럼 큰 틀의 행위개념(ex. 부탁, 지시)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상황과 문화맥락을 반영하는 부수적인 세부기능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래서 예컨대 독일어 표현 Könnte ich vielleicht von diesem Dokument drei Kopien haben?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이 표현의 단순한 행위기능(ex. 부탁)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상황과 결부된 공손성의 기능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원본 화행의 발화수반력에 온전히 도달하는 길이다.
      다음으로 원본의 의미에 상응하는 등가의 목표언어 표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의 견해로는 완전한 등가의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물론 텍스트유형에 따라 예외는 있다. 예컨대 단순하고 분명한 화행기능을 가진 실용텍스트(ex. 제품사용설명서)의 경우 등가의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몇몇 텍스트유형들, 특히 문학텍스트의 경우에는 원본의 의미에 완전히 부합하는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문학텍스트의 화행들은 대개 특정문화에서만 통용될 수 있는 복잡한 문화적 맥락들을 담고 있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3) 일례로 문학작품 ‘심청전’을 들 수 있다. 이 소설의 주제는 효이고 문화적 상황맥락은 유교와 불교, 샤머니즘이다. 그러나 독일어 번역본에서는 이런 맥락이 무시된 채 단순히 용왕과 심청의 러브스토리라는 내용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있다. 출발언어가 갖는 문화적 맥락의 결손이 낳은 결과이다(박용삼 2007, 271 재인용).
      따라서 문학텍스트를 번역할 경우 완전한 등가의 목표언어가 아니라, 원본의 의미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는 목표언어를 찾는 것이 현실적인 번역방법이라고 본다. 이런 면에서 필자는 번역어를 일종의 ‘메타언어’라고 본다. 왜냐하면 번역어는 엄격한 의미에서 원본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빅셀, "이용숙" 예담 2001

      2 뇌스틀링거, "언니가 가출했다" 우리교육 2007

      3 박용삼, "번역에서 문화.화용적 등가문제" 한국독어독문학회 48 (48): 266-285, 2007

      4 박용삼, "번역과정에서 기능적 문장관점과 초점화" 한국독일어문학회 16 (16): 249-270, 2008

      5 이창수, "문학번역에서의 화행 번역: 문제점과 시사점" 3 : 147-164, 2001

      6 캐스트너, "로테와 루이제" 시공주니어 2000

      7 Gutt, Ernst-August, "Translation and Relevance. Cognition and Context" St. Jerome 2000

      8 Reiß, K., "Grundlegung einer allgemeinen Translationstheorie" Tübingen 1984

      9 Koller, W., "Einführung in die Übersetzungswissenschaft" 1992

      10 Koller, W., "Einführung in die Übersetzungswissenschaft" A.Francke 2011

      1 빅셀, "이용숙" 예담 2001

      2 뇌스틀링거, "언니가 가출했다" 우리교육 2007

      3 박용삼, "번역에서 문화.화용적 등가문제" 한국독어독문학회 48 (48): 266-285, 2007

      4 박용삼, "번역과정에서 기능적 문장관점과 초점화" 한국독일어문학회 16 (16): 249-270, 2008

      5 이창수, "문학번역에서의 화행 번역: 문제점과 시사점" 3 : 147-164, 2001

      6 캐스트너, "로테와 루이제" 시공주니어 2000

      7 Gutt, Ernst-August, "Translation and Relevance. Cognition and Context" St. Jerome 2000

      8 Reiß, K., "Grundlegung einer allgemeinen Translationstheorie" Tübingen 1984

      9 Koller, W., "Einführung in die Übersetzungswissenschaft" 1992

      10 Koller, W., "Einführung in die Übersetzungswissenschaft" A.Francke 2011

      11 Stolze, R., "Eine Einführung" Narr 2011

      12 Hönig, H., "Ein Lehr-und Arbeitsbuch" Narr 1996

      13 Cho, Yong-Kil, "Direktive Handlungsspiele des Bittens, des Aufforderns und des Anweisens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Niemeyer 2005

      14 Weigand, E, "Dialoganalyse V" 155-174, 1997

      15 Reiß, K., "Der operative Text" Kronberg 1976

      16 Koschmieder, E., "Beiträge zur allgemeinen Syntax" Heidelberg 1965

      17 Seale, J.,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9 0.2 0.425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