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상황에서 지도자동기는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으며, 선수와 팀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스포츠 지도자에 대한 연구가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7371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스포츠 상황에서 지도자동기는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으며, 선수와 팀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스포츠 지도자에 대한 연구가 지...
스포츠 상황에서 지도자동기는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으며, 선수와 팀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스포츠 지도자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동안 스포츠 지도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어 온 연구들은 주로 거시적이고, 행정적(지도자의 자질, 리더십, 코칭 능력 및 방법 등)인 접근만 추함으로써 코칭과 관련하여 지도자가 가지고 있는 동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전문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를 의식하여 스포츠 지도자들의 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일환으로 현재 동기이론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 되어있는 개념인 자기결정성을 스포츠 지도자의 코칭상황에 적용하여 스포츠 지도자의 동기요인과 수준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①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근거하여 스포츠 지도자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하고, ②다양한 집단에 지도자동기 검사지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검증 한 후, ③스포츠 지도자와 SDT(Self-determination Theory) 전문가 관점으로 지도자동기 문항의 기술적 요소와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 지도자들의 동기를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고, 코칭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적 요소를 개선시켜, 보다 효율적인 지도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