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 안내서이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문학의 핵심 학문들이 던지는 여러 가지 질문들을 청소년들 스스로가 생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0728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책은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 안내서이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문학의 핵심 학문들이 던지는 여러 가지 질문들을 청소년들 스스로가 생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
이 책은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 안내서이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문학의 핵심 학문들이 던지는 여러 가지 질문들을 청소년들 스스로가 생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서론인 제1장에서는 인문학이란 무엇인지, 청소년 시기에 인문학을 왜 공부해야하는가 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인문학은 “인간에 대한 학문”으로 정의된다. “인간과 삶, 그리고 세상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는 인문학은 세상을 보는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상상하는 법을 가르쳐 주기 때문에 청소년들에게 인문학을 권한다.
제2장은 문학이란 어떤 학문인지, 어떻게 공부할 것인지, 청소년들이 문학을 공부함으로써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문학은 삶이 제공하는 사실과 경험 등의 원재료를 작가의 감수성과 상상력을 이용하여 언어를 수단으로 구성한 예술로 규정된다.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고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작품이라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문학이 주는 고유한 자유로움이다. 문학을 읽는 가장 중요한 자세는 자신을 등장인물의 입장에 놓고 생각하고 느끼는 것이며, 이런 과정을 통하여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되며, 이런 이해와 수용의 경험은 자신을 바꾸고 나아가서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제3장은 역사의 개념과 역사를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역사학은 사료를 기반으로 과거의 사실을 다루는 학문이다. 그렇지만 사료 자체가 반드시 객관적이지만은 않기 때문에 생겨나는 사관의 차이점과 더불어, 대중문화에서 만들어지는 역사적 이미지의 재생산에 대해서도 짚어준다. 역사를 손쉽게 접하게 되는 통로인 사극 영상물을 통해서 역사공부를 할 때 주의해야 할 점과 그림을 통해 역사를 바라보고 분석하는 법에 대해서도 함께 이야기한다. 역사는 단순한 암기과목이 아니라 과거의 사실을 여러 관점에서 생각해 보고, 역사적인 사건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서 생각하는 힘을 길러줄 수 있는 학문으로 생각하도록 조언한다.
제4장은 어렵게만 생각되는 철학이 사실은 일상적인 질문에서 시작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으려고 하는 노력이 바로 철학적인 사고의 시작이다. 자신이 생각한 답의 정당성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는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찾을 수 있으며, 상상력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도 발달한다.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철학적 사고의 방식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삶의 모든 단계에서 철학적 사고가 왜 중요한지를 청소년들에게 일깨우고 있다.
제5장이 청소년들에게 던지는 핵심 질문은 신화의 주인공들을 통하여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이다. 저자는 신화가 우리에게 세상이 어떻게 창조되어 발전하였고,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우리가 만나게 되는 위험을 어떻게 넘어야 하는가를 보여준다고 말하며 구체적 예로 시련에 맞서나가는 신화 속의 주인공, 테세우스와 이카루스, 그리고 프쉬케를 든다. 테세우스와 프시케를 통해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노력이 중요함을 깨닫고 미지의 세계로 나아가는 용기를 배우게 되며, 이카루스를 통해서도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하는 개척정신을 배울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제6장은 인간의 첫 번째 특징인 언어가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가를 소개한다. 고대에 이미 시작된 언어연구가 19세기의 과학적 방법론으로 체계화되는 과정을 간략히 정리하고 그간 다루어졌던 중요 주제 중 언어의 기원, 인간 언어의 특징, 언어의 습득, 남성과 여성언어의 차이,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자연스럽게 언어학의 주요 연구 분야에 흥미를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인간은 언어를 통하여 다른 동물들에게는 없는 공감과 유대의 사회관계를 이루어나간다는 점에서 언어가 단순한 소통의 수단을 넘어 인간다움을 완성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함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