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혜석의 탈주 욕망과 헤테로토피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4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나혜석을 근대로 향해가는 격동기 조선에서 문제적 위치에 처해 있었던 경계인이라 보고 지금/여기가 아닌 다른 곳에 대한 동경을 가지고 있었던 나혜석의 탈주욕망과 공간과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나혜석의 삶은 당시의 보통 사람들의 경우와는 큰 차이가 있었고, 그 진보적인 이념을 기반으로 하여 생산된 예술과 용감한 행동의 추동력이 남다른 공간의 체험을 통해서 발현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신여성 나혜석의 진보적 활동은 이질적인 공간이 충돌하는 접점에서 경계를 밟고 서 있던 경계인이라는 그녀의 지위와 관련되어 있고 그 그림과 문학은 거기서 산출된 예술적 결과물이라는 관점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하나의 공간이 개인에게 힘을 행사하는 크기와 방향을 고려할 때 나혜석에게 유독 새로운 공간의 체험이 많았다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동경, 안동, 유럽 등 당시의 여성에게는 매우 특별한 공간인 외국을 비롯해서 국내에서는 학교, 신혼여행지인 묘지, 양로원과 거리 등 다양한 공간을 헤테로토피아라는 관점에서 통합하고, 그 공간들이 나혜석의 인생사에 어떻게 배치되어 힘을 행사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나혜석의 삶은 공간과 사건이 한 편의 작품처럼 연결되어 극적 구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각각의 단계를 중시하였다. 나혜석은 평생에 걸쳐 사건을 일으키면서 통제와 억압에 저항했고 그러한 저항의 결과로 새로운 공간을 끝없이 탄생시킨 인물이었고 그것은 결국 타자에 불과한 식민지/여성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주체로 변모시켰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나혜석을 근대로 향해가는 격동기 조선에서 문제적 위치에 처해 있었던 경계인이라 보고 지금/여기가 아닌 다른 곳에 대한 동경을 가지고 있었던 나혜석의 탈주욕망과 공간과의...

      본고에서는 나혜석을 근대로 향해가는 격동기 조선에서 문제적 위치에 처해 있었던 경계인이라 보고 지금/여기가 아닌 다른 곳에 대한 동경을 가지고 있었던 나혜석의 탈주욕망과 공간과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나혜석의 삶은 당시의 보통 사람들의 경우와는 큰 차이가 있었고, 그 진보적인 이념을 기반으로 하여 생산된 예술과 용감한 행동의 추동력이 남다른 공간의 체험을 통해서 발현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신여성 나혜석의 진보적 활동은 이질적인 공간이 충돌하는 접점에서 경계를 밟고 서 있던 경계인이라는 그녀의 지위와 관련되어 있고 그 그림과 문학은 거기서 산출된 예술적 결과물이라는 관점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하나의 공간이 개인에게 힘을 행사하는 크기와 방향을 고려할 때 나혜석에게 유독 새로운 공간의 체험이 많았다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동경, 안동, 유럽 등 당시의 여성에게는 매우 특별한 공간인 외국을 비롯해서 국내에서는 학교, 신혼여행지인 묘지, 양로원과 거리 등 다양한 공간을 헤테로토피아라는 관점에서 통합하고, 그 공간들이 나혜석의 인생사에 어떻게 배치되어 힘을 행사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나혜석의 삶은 공간과 사건이 한 편의 작품처럼 연결되어 극적 구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각각의 단계를 중시하였다. 나혜석은 평생에 걸쳐 사건을 일으키면서 통제와 억압에 저항했고 그러한 저항의 결과로 새로운 공간을 끝없이 탄생시킨 인물이었고 그것은 결국 타자에 불과한 식민지/여성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주체로 변모시켰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ha Hye Suk was a boundary and a problematic person in Chosun changed into modern society. I studi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aces and Rha Hye Suk"s escape desire who had nostalgia not for here now but for somewhere. There were lots of differences between Rha Hye Suk"s life and any other persons. The arts came from progressive idea and the force of brave act came from special experience of unique spaces. The progressive achievement of new woman Rha Hye Suk was concerned with the status of boundary who stood on the borderline to conflict with hetero spaces. Her literature and arts were artistic fruits from it.
      Especially there were lots of new spaces experiences in Rha Hye Suk"s life. A space influences on a person in many way. There were Tokyo, Dandong, Europe as foreign spaces and Kyungsung, Kumkangsan, nursing homes and streets in Chosun. I integrated the lots of spaces into the viewpoint of heterotopia and I analyzed how the spaces placed and influenced into the time in Rha Hye Suk"s life.
      번역하기

      Rha Hye Suk was a boundary and a problematic person in Chosun changed into modern society. I studi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aces and Rha Hye Suk"s escape desire who had nostalgia not for here now but for somewhere. There were lots of differences...

      Rha Hye Suk was a boundary and a problematic person in Chosun changed into modern society. I studi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aces and Rha Hye Suk"s escape desire who had nostalgia not for here now but for somewhere. There were lots of differences between Rha Hye Suk"s life and any other persons. The arts came from progressive idea and the force of brave act came from special experience of unique spaces. The progressive achievement of new woman Rha Hye Suk was concerned with the status of boundary who stood on the borderline to conflict with hetero spaces. Her literature and arts were artistic fruits from it.
      Especially there were lots of new spaces experiences in Rha Hye Suk"s life. A space influences on a person in many way. There were Tokyo, Dandong, Europe as foreign spaces and Kyungsung, Kumkangsan, nursing homes and streets in Chosun. I integrated the lots of spaces into the viewpoint of heterotopia and I analyzed how the spaces placed and influenced into the time in Rha Hye Suk"s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탈주욕망과 헤테로토피아
      • 3.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서론
      • 2. 탈주욕망과 헤테로토피아
      • 3.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진월, "희곡강의실" 한울 2007

      2 유진월, "한국희곡과 여성주의비평" 집문당 2007

      3 최영, "푸코와 페미니즘" 동문선 1998

      4 김현미, "페미니스트 지리학, In 여/성이론, In 여/성이론 19" 여이연 276-293, 2008

      5 배정희, "카프카와 혼종공간의 내러티브 - 『국도 위의 아이들』과 헤테로토피아" 한국카프카학회 (22) : 43-60, 2009

      6 이진경, "카프카" 동문선 2001

      7 서정자, "정월 라혜석 전집" 국학자료원 2001

      8 정병언, "저항적 여성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 ―마샤 노먼의 Getting Out"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 (20): 133-152, 2007

      9 이상경, "인간으로 살고 싶다" 한길사 2000

      10 김애령, "이방인의 언어와 환대의 윤리, In 젠더와 탈경계의 지형" 지형 2009

      1 유진월, "희곡강의실" 한울 2007

      2 유진월, "한국희곡과 여성주의비평" 집문당 2007

      3 최영, "푸코와 페미니즘" 동문선 1998

      4 김현미, "페미니스트 지리학, In 여/성이론, In 여/성이론 19" 여이연 276-293, 2008

      5 배정희, "카프카와 혼종공간의 내러티브 - 『국도 위의 아이들』과 헤테로토피아" 한국카프카학회 (22) : 43-60, 2009

      6 이진경, "카프카" 동문선 2001

      7 서정자, "정월 라혜석 전집" 국학자료원 2001

      8 정병언, "저항적 여성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 ―마샤 노먼의 Getting Out"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 (20): 133-152, 2007

      9 이상경, "인간으로 살고 싶다" 한길사 2000

      10 김애령, "이방인의 언어와 환대의 윤리, In 젠더와 탈경계의 지형" 지형 2009

      11 유진월, "유진월희곡집1 불꽃의 여자 나혜석" 평민사 2003

      12 이수안, "서울 도심의 공간 표상에 대한 젠더문화론적 독해, In 경계짓기와 젠더의식의 형성" 이화여대출판부 2010

      13 양운덕, "미셸 푸코" 살림 2003

      14 최진석, "문화정치학의 영토들. 현대문화론 강의" 서울: 그린비 2007

      15 이규현, "말과 사물" 민음사 2012

      16 한정헌, "들뢰즈 이해하기" 그린비 2007

      17 박영택, "나혜석, 한국 근대사를 거닐다" 푸른사상 2011

      18 이상경, "나혜석 전집" 태학사 2000

      19 이진경,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소명출판 2000

      20 나병철, "근대문학의 기원과 주체의 계보학" 15 : 79-110, 2001

      21 김수환, "경계 개념에 대한 문화기호학적 접근, In 지구지역시대 의 문화경계" 이화여대 출판부 2009

      22 오태영, "‘조선’ 로컬리티와 (탈)식민 상상력" 4 : 229-259,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