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этот/тот and the Choice of Anaphoric Expressions = based on discourse coher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56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러시아어 지시대명사 этот/тот이 대용지시표현으로 어떤 변별성을 보이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접발화차원과 비인접발화 차원모두에서 작용하는 담화응집성이...

      본 연구는 러시아어 지시대명사 этот/тот이 대용지시표현으로 어떤 변별성을 보이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접발화차원과 비인접발화 차원모두에서 작용하는 담화응집성이 이들의 대용사 용법에 어떻게 관여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화제 전환과 지속이 뚜렷한 네러티브 문어텍스트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아울러 대용지시표현 선택의 차원에서 그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인접발화차원에서 담화응집성은 중심화 이론의 중심전이상태에 준해 세분화된다. 이와 관련해서 Cb(Un)의 тот은 중심의 완전환에 집중되어 나타남으로써 화제의 전환 시 선호되는 대용지시표현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Cb(Un)의 этот은 중심의 지속, 유지, 완전환 급전환 모두에 다 나타남으로써 특정 담화응집성의 전형적인 지시표현으로 작용하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이 지시사들의 구문적 특성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 특히 тот이 Cb(Un-1), Cp(Un-1)이 아니면서 항상 Cp(Un)라는 사실은 선행사 결정의 투명성을 위해 그것이 어떻게 관여하는 가를 잘 보여준다. 이는 담화단위 간 담화응집성 층위에서 тот이 통상 명사나 형용사를 동반하지 않는 형태적 특성도 잘 설명해준다. 이에 비해 этот은 담화간 담화응집성의 모든 유형에서 Cb(Un)으로 나타나되, 지속과 완전환 전이에서는 인칭대명사와 тот에 비해 낮은 선호도를 보인다. 특히 этот은 유지와 급전환에서 Cb(Un)으로 나타남으로써 최선의 중심후보(Cp(Un))가 아닌 대상의 한정성 표지로 작용함을 보인다. 담화내(‘Intralevel’) 응집성 차원에서는 종속절의 대용사로 지시사가 선택되는 경우, тот이 этот보다 더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비인접발화에서 두 지시사는 모두 지시체의 정체확인이 용이하도록 이전 맥락과의 연결성을 보이는데 기여한다. 단 선행사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기 때문에 선행사 결정이 애매할 수 있어, 항상 명사나 형용사, 혹은 명사구가 반복되어 나타남으로써 인접발화에서의 대용적 지시사와 차별화된다. 대용지시표현의 선택 차원에서 тот은 완전환, 담화내 응집성 차원과 대조//비대조 맥락의 return-pop에서 [-empathy]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этот은 모든 유형의 담화 응집성에서 사용 가능하되 중심의 완전환, 담화내 응집성차원, 대조맥락에서 인칭대명사나 тот보다 선호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этот이 특정한 담화응집성 유형의 전형적 표지라기 보다는 한정성 표지로 모든 유형의 담화응집성 유형에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Overview
      • 2. Syntactic usage
      • 3. Discourse coherence
      • 4. A comparative analysis
      • 5. For the future
      • 1. Overview
      • 2. Syntactic usage
      • 3. Discourse coherence
      • 4. A comparative analysis
      • 5. For the future
      • 참고문헌
      • 국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숙희, "영어의 복합문에 대한 센터링이론적 접근" 2003

      2 박철우, "국어 서사문 담화에서의 중심 전이 과정과 응집성에 관한 고찰" 언어교육원 38 (38): 851-878, 2002

      3 심재기, "『의미론서설』" 1984

      4 장경희, "“지시사 ‘이, 그, 저’의 의미분석,”" 1980

      5 Strauss Susan, "“Why this and that are not complete without it,”" 1993

      6 Nichols Johanna, "“The Grammatical Marking of Theme in Literary Russian.”" 1985

      7 Webber Bonnie Lynn, "“Structure and Ostension in the Interpretation of Discourse Deixis,”" 1991

      8 Van Dijk Teun A, "“Semantic Discourse Analysis,”" 1985

      9 Clancy Patricia M, "“Referential Choice in English and Japanese Narrative Discourse,” in Wallace Chafe(ed.)" 1980

      10 Naylor Kenneth E, "“On Expressing Definiteness in Slavic Language and English,”" 1983

      1 채숙희, "영어의 복합문에 대한 센터링이론적 접근" 2003

      2 박철우, "국어 서사문 담화에서의 중심 전이 과정과 응집성에 관한 고찰" 언어교육원 38 (38): 851-878, 2002

      3 심재기, "『의미론서설』" 1984

      4 장경희, "“지시사 ‘이, 그, 저’의 의미분석,”" 1980

      5 Strauss Susan, "“Why this and that are not complete without it,”" 1993

      6 Nichols Johanna, "“The Grammatical Marking of Theme in Literary Russian.”" 1985

      7 Webber Bonnie Lynn, "“Structure and Ostension in the Interpretation of Discourse Deixis,”" 1991

      8 Van Dijk Teun A, "“Semantic Discourse Analysis,”" 1985

      9 Clancy Patricia M, "“Referential Choice in English and Japanese Narrative Discourse,” in Wallace Chafe(ed.)" 1980

      10 Naylor Kenneth E, "“On Expressing Definiteness in Slavic Language and English,”" 1983

      11 Linde Charlotte, "“Focus on Attention and the Choice of Pronouns in Discourse,”" 1979

      12 Kim Myungja, "“A study on anaphoric usage of тот based on discourse coherence" 25 : 2007

      13 Brennan Susan E, "“A Ccntering Approach to Pro-nouns,”" 1987

      14 Нариняни А.С, "Упрощенная модель анафоры в рамках системы по- нимания текста" 1983

      15 Шведова Н.Ю., "Система местомиений как исход смысло-вого строе-ния языки и его смысловых категорий" 1995

      16 Падучева Е.В, "Референциальные аспекты высказывания" 1982

      17 Демидов Д.Г, "О переходе дейк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сей-тот-оный к системе этот-тот," 1989

      18 Givon Talmy, "Topic Continuity in Discourse" 1983

      19 Givon Talmy, "The grammar of referential coherence as mental processing instructions" 1992

      20 Gr?ning Andr?, "Modeling Referential Choice in Discourse: A Cogni-tive Calculative Approach and a Neural Network Approach" Anaphoric Processing ,John Benjamins 2005

      21 Kameyama Megumi, "Intrasentential Centering: A Case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2 Sidner C.L, "Focusing for Interpretation of Pronouns" 1983

      23 Poesio Massimi, "Focus, Activation, and This-Noun Precess: An Empirical Study" John Benjamins 2005

      24 Diessel Holger, "Demonstratives: Form, Function and Grammaticalization" John Benjamins 1999

      25 Himmelmann Nikolaus P, "Demonstratives in Narrative Discourse: A Taxonomy of Universal Uses" John Benjamins 1996

      26 Halliday M.A.K., "Cohesion in English" 1976

      27 Gundel Jenette, "Cognitive Status and the Form of Refer-ring Expressions in Discourse" 1993

      28 Walker Marylin A, "Centering, Anaphora Resolution, and Discourse Stru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9 Gundel Jenette K, "Centering Theory and the Givenness Hierarchy: Towards a Synthesis" Clarendon press 1998

      30 Kibrik Andrej A, "Anaphora in Russian Narrative Prose: A Cognitive Calculative Account" John Benjamins 1996

      31 Kim Myungja, "A Revisited Study on Russian Adnominal Demonstratives этот/тот" 18 (18): 2003

      32 Kim Myungja, "A Comparative Analysis of Demonstratives: based on Korean, English, Spanish and Russian text" 15 (15):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9-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슬라브학회 ->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of Slavic-Eurasian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5 0.58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