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공공시설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정책을 중심으로 - = The Efficient Management of Public Facilities in Local Governments - Focusing on the policies of Korea and Japa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1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도 대다수의 OECD 국가들처럼 인구 감소 및 인구 구조의 변화가 나타나고 공공시설의 노후화가 도래되고 있으며, 경제의 저성장과 복지 예산의 증대로 공공시설의 유지관리 대한 투자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공시설의 사용상 불편함뿐만 아니라 시설물 파손에 따른 사고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공공시설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지 않아 신설 위주의 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나 인구감소에 따른 공공시설의 수요 변화는 필연적이다. 한국은 2020년대 후반부터 총인구가 감소하고 같은 행정구역내에서도 읍·면·동간 인구감소의 차이가 많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인구 및 경제 성장기에 건설된 공공 건축물은 향후 20년을 전후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인구감소 및 고령화 등 인구변화에 따른 공공시설의 수요변화에 대한 관리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공공시설의 관리 정책 및 실태를 분석하고 한국보다 먼저 인구변화와 공공시설의 노후화 등을 맞은 일본의 공공시설 관리 정책을 분석하여 공공시설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일본의 공공시설 관리 정책의 핵심 변화는 신설에서 유지관리로의 정책 전환으로 기존 안전관리와 자산관리 측면에서 공공시설을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한국도 대다수의 OECD 국가들처럼 인구 감소 및 인구 구조의 변화가 나타나고 공공시설의 노후화가 도래되고 있으며, 경제의 저성장과 복지 예산의 증대로 공공시설의 유지관리 대한 투자에 ...

      한국도 대다수의 OECD 국가들처럼 인구 감소 및 인구 구조의 변화가 나타나고 공공시설의 노후화가 도래되고 있으며, 경제의 저성장과 복지 예산의 증대로 공공시설의 유지관리 대한 투자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공시설의 사용상 불편함뿐만 아니라 시설물 파손에 따른 사고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공공시설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지 않아 신설 위주의 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나 인구감소에 따른 공공시설의 수요 변화는 필연적이다. 한국은 2020년대 후반부터 총인구가 감소하고 같은 행정구역내에서도 읍·면·동간 인구감소의 차이가 많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인구 및 경제 성장기에 건설된 공공 건축물은 향후 20년을 전후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인구감소 및 고령화 등 인구변화에 따른 공공시설의 수요변화에 대한 관리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공공시설의 관리 정책 및 실태를 분석하고 한국보다 먼저 인구변화와 공공시설의 노후화 등을 맞은 일본의 공공시설 관리 정책을 분석하여 공공시설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일본의 공공시설 관리 정책의 핵심 변화는 신설에서 유지관리로의 정책 전환으로 기존 안전관리와 자산관리 측면에서 공공시설을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ke most OECD countries, Korea is experiencing a decline in population and demographic changes, deterioration of public facilities, and limited investment in public facilities maintenance due to low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welfare budgets. In this case, not only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public facilities can lead to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due to the damage of the facilities. However, as the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of public facilities has not been recognized yet, new policies are being promoted. Korea is expected to reduce the total population since the late 2020s, and there will be a large difference in population reduction between the cities, towns, and towns within the same administrative distri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anagement policy regarding the change in demand of public facilities due to population change such as population decrease and aging.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management policies and actual conditions of public facilities in Korea, and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public facilities management by analyzing Japan's public facilities management policies that faced population change and deterioration of public facilities before Korea. The key change in Japan's public facilities management policy is the transition from new to maintenance, which has managed public facilities in terms of existing safety management and asset management.
      번역하기

      Like most OECD countries, Korea is experiencing a decline in population and demographic changes, deterioration of public facilities, and limited investment in public facilities maintenance due to low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welfare budgets. In t...

      Like most OECD countries, Korea is experiencing a decline in population and demographic changes, deterioration of public facilities, and limited investment in public facilities maintenance due to low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welfare budgets. In this case, not only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public facilities can lead to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due to the damage of the facilities. However, as the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of public facilities has not been recognized yet, new policies are being promoted. Korea is expected to reduce the total population since the late 2020s, and there will be a large difference in population reduction between the cities, towns, and towns within the same administrative distri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anagement policy regarding the change in demand of public facilities due to population change such as population decrease and aging.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management policies and actual conditions of public facilities in Korea, and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public facilities management by analyzing Japan's public facilities management policies that faced population change and deterioration of public facilities before Korea. The key change in Japan's public facilities management policy is the transition from new to maintenance, which has managed public facilities in terms of existing safety management and asset manag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21世紀政策硏究所(21st Century Policy Ultimate ), "超高齢・人口減少社会のインフラをデザインする"

      2 日本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National Institute of Population and Social Security Research), "日本の将来推計人口:2016~ 2065年"

      3 Hiroshima Prefecture, "広島県公共施設等マネジメント方策"

      4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公共施設等総合管理計画策定指針"

      5 Ahn, JongWuk, "Strengthening Public-Private Partnership for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7

      6 Kong, Jeongsik, "Research on institutionalization of infrastructure maintenanc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7 Lee, Sng-Lin, "Regional Population Crisis and Migration Perpectives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28-129, 2018

      8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Public facilities operation"

      9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National Major Facilities Aging Status and Implications"

      10 Lee, Sang-Ho, "Korea's regional extinction 2018(2013-2018trend and non-metropolitan population migration)"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8

      1 21世紀政策硏究所(21st Century Policy Ultimate ), "超高齢・人口減少社会のインフラをデザインする"

      2 日本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National Institute of Population and Social Security Research), "日本の将来推計人口:2016~ 2065年"

      3 Hiroshima Prefecture, "広島県公共施設等マネジメント方策"

      4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公共施設等総合管理計画策定指針"

      5 Ahn, JongWuk, "Strengthening Public-Private Partnership for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7

      6 Kong, Jeongsik, "Research on institutionalization of infrastructure maintenanc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7 Lee, Sng-Lin, "Regional Population Crisis and Migration Perpectives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28-129, 2018

      8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Public facilities operation"

      9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National Major Facilities Aging Status and Implications"

      10 Lee, Sang-Ho, "Korea's regional extinction 2018(2013-2018trend and non-metropolitan population migration)"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8

      11 Statistics Korea, "Future Population Estimation: 2017~2067"

      12 Yeo, Hae-Jin, "An Initial Research on the Asset Management Plan for the Local Public Facilities"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33-,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2-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6 1.002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