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하일 불가꼬프의 신화시학 - 『거장과 마르가리따』에 나타난 거울모티프를 중심으로 = The Mythpoetics of Mikhail Bulgakov - focusing on the Mirror Motif in 『Master and Margari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824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하일 불가꼬프의 소설 『거장과 마르가리따』는 20세기 러시아문학에서 가장 의미 있는 작품들 중 하나이다. 이 소설은 작가의 소설 문법에서 상징주의 소설 시학의 영향이 가장 잘 드러...

      미하일 불가꼬프의 소설 『거장과 마르가리따』는 20세기 러시아문학에서 가장 의미 있는 작품들 중 하나이다. 이 소설은 작가의 소설 문법에서 상징주의 소설 시학의 영향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작품에 가득 찬 신화적 요소들은 보리스 가스파로프가 정의하듯이이 작품을 신화소설로 만든다. 작품 속의 내밀한 고대와 기독교 신화들은 텍스트 내부 구조에서 독자적 의미층을 형성하면서 당시 현실에 대한 비밀스런 의미를 설명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신화로 채색된 불가꼬프의 환상적 텍스트는 그렇게 해서 현실에 대한 구체성 대신 일반성을 획득하게 되면서 그만의 독특한 아우라를 부여받게 된다. 『거장과 마르가리따』의 가장 기본적인 예술 장치는 라이트모티프로 서사를 건축하는 것이다. 상징주의 소설과 20세기 초 러시아소설의 서사구조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들 중 하나는 전통적 플롯구조의 약화와 그 플롯구조를 대체하게 되는 모티프구조이다. 세기 초 산문에서 플롯의 다의미성과 의미의 유동성을 만드는 가장 중요한 수단은 라이트모티프 시스템의 사용이었다. 『거장과 마르가리따』는 작가의 신화시학과 라이트모티프구조가 최고의 완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따라서 그의 작품에서 라이트모티프구조가 만들어내는 다면성과 의미의 다층성은 연구자들에게 항상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 소설은 공간과 시간의 구조에서 모스크바와 예루살렘, 그리고 현실의 모스크바와 2천년 전의 예루살렘이라는 두 세계의 평행과 대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중요한 상징이나 이미지들은 전 소설에 걸쳐 등장하면서 그 두 세계와 두 시간을 하나로 묶어주는 라이트모티프가 된다. 그런 모티프들 중의 하나가 거울이다. 신화적 은유를 작품의 의미구조에 도입하는 수많은 라이트모티프 중에서 거울의 모티프는 그 본래의 속성 상 경계와 관문의 역할을 하는데 공간과 시간이라는 면에서 극명한 대립구조를 보여주는 이 작품에서 경계와 관문은 매우 의미로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구조적인 면에서 이 소설은 두 개의 소설, 즉 거장의 소설과 거장에 대한 소설이 서로 거울처럼 향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반영과 평행의 놀이는 전설과 인간 역사의 일상을 함께 연결시켜 하나의 예술적 전일체를 만든다. 그리고 이 두 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것이 거울이다. 따라서 거울의 모티프는 이 소설에 해석의 한 열쇠를 제공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ikhail Bulgakov``s novel Master and Margarita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works of Russian literature in the 20-th century. This novel is influenced by symbolism poetics in his novel grammar. Full of mythological elements in this text make Boris G...

      Mikhail Bulgakov``s novel Master and Margarita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works of Russian literature in the 20-th century. This novel is influenced by symbolism poetics in his novel grammar. Full of mythological elements in this text make Boris Gasparov to define this novel as myth-novel. Ancient and Christian mythologies inside text form a unique meaning structure and it will serve to explain the secret meaning of reality at the time. Fantastic text colored by mythologies acquired the generality instead of concreteness of reality and his own aura. The most basic device of Master and Margarita is to build a narrative by leitmotif structure. The most characteristic things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Russian novels of the early 20th century is that motif structure replace the traditional plot structure. Master and Margarita show the highest completion in the use of mythpoetics and leitmotif structure. The novel are in parallel between Moscow and Jerusalem in space and time. An important symbols and images appeared in this parallel structure serve as leitmotives that binds the two worlds and two hours. One of the motives is the mirr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아지자, "문학의 상징, 주제 사전" 청하 1989

      2 미란다 브루스 미트포트, "기호와 상징: 그 기원과 의미를 찾아서" 21세기북스 2010

      3 홍대화, "거장과 마르가리따" 열린책들 2009

      4 장정희, "거울 모티프와 주체 분열 양상 — 이상과 이승훈 시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42) : 349-375, 2011

      5 "Энциклопедия суеверий" Миф, Локид 2000

      6 Чугаев А.А., "Филологические этюды. Вып. 9" Научная книга 2006

      7 Посадская Л.А., "Труды Педагогическогоинститута Сарат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им. Н.Г. Чернышевского. Вып. 4" ИЦ “Наука” 2006

      8 Булгаков М.А.,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Худож. лит 1990

      9 Керлот Х. Э., "Словарь символов" REFL-book 1994

      10 Скороспелова Е., "Русская проза ХХ века: от А.Белого (“Петербурга”) доБ.Пастернака (“Доктор Живаго”)" ТЕИС 2003

      1 아지자, "문학의 상징, 주제 사전" 청하 1989

      2 미란다 브루스 미트포트, "기호와 상징: 그 기원과 의미를 찾아서" 21세기북스 2010

      3 홍대화, "거장과 마르가리따" 열린책들 2009

      4 장정희, "거울 모티프와 주체 분열 양상 — 이상과 이승훈 시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42) : 349-375, 2011

      5 "Энциклопедия суеверий" Миф, Локид 2000

      6 Чугаев А.А., "Филологические этюды. Вып. 9" Научная книга 2006

      7 Посадская Л.А., "Труды Педагогическогоинститута Сарат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им. Н.Г. Чернышевского. Вып. 4" ИЦ “Наука” 2006

      8 Булгаков М.А.,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Худож. лит 1990

      9 Керлот Х. Э., "Словарь символов" REFL-book 1994

      10 Скороспелова Е., "Русская проза ХХ века: от А.Белого (“Петербурга”) доБ.Пастернака (“Доктор Живаго”)" ТЕИС 2003

      11 Злочевская А., "Парадоксы зазеркалья в романах" (2) : 2008

      12 Гаспаров Б.М., "Очеркипо 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е ХХ века" Наука 1993

      13 Белобровцева И., "Мастер и Маргарита" Книжный клуб 36 (36): 2007

      14 Вулис А.З., "Литературные зеркала" Советский писатель 1991

      15 "К семиотике зеркала и зеркальности" Тарту XXII : 1988

      16 Левин Ю.И., "Зеркало как потенциальный семиотический объект" Тартур XXII : 1988

      17 Галай К. Моти, "Зеркало" Личность в межкультур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2007

      18 Вулис А.З., ""Мастер и Маргарита" Худож. лит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2 0.58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