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규보의 <南行月日記>에 나타난 고대사 사료검토 -普德, 元曉, 眞表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count of Lee GyuBo's jouney in South region(남행월일기) -especially examine about three Buddhist monk,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94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 GyuBo's journey in south region(南行月日記) described Jeonju territory and include many ancient records about unique things and special buddhist monk.
      His main interest is un-precedented phenomenon, so he watch with deep concern to unique things, especially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Boduk fleed from his own country, Koguryo(高句麗) for religious persecution to Jeonju(全州) in Baekje(百濟) territory. His exile is by flying small Buddhist temple(飛來方丈), so it became know to miraculously thing. Then, Lee GyuBo visit that temple and write about that. When he visited to Beonsan(邊山), he seek for Wonhyobang(元曉房), which Wonhyo(元曉) and Sabok(蛇福) dwelling. Wonhyo(元曉) and Sabok(蛇福) stand as a symbol for the guidance of afterlife in Shilla(新羅). For this reason, I think that their presence in Beonsan connected to Baekje resistance.
      He also went on a visit to Jinpyo(眞表)'s Buddhist hermitage, it named miraculous hermitage(不思義方丈). It posited very highly the edge of precipice. so Lee GyuBo climb up a ladder. He also write about Jinpyo(眞表)'s portrait, and so on. In his write about three Buddhist monk,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had unique record and described another points.
      And he visited dolmen in Gumma(金馬) and decribed that it made by pre historical age people and it represent holy site.
      So his writings are not only account of a trip but also historical record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번역하기

      Lee GyuBo's journey in south region(南行月日記) described Jeonju territory and include many ancient records about unique things and special buddhist monk. His main interest is un-precedented phenomenon, so he watch with deep concern to unique thi...

      Lee GyuBo's journey in south region(南行月日記) described Jeonju territory and include many ancient records about unique things and special buddhist monk.
      His main interest is un-precedented phenomenon, so he watch with deep concern to unique things, especially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Boduk fleed from his own country, Koguryo(高句麗) for religious persecution to Jeonju(全州) in Baekje(百濟) territory. His exile is by flying small Buddhist temple(飛來方丈), so it became know to miraculously thing. Then, Lee GyuBo visit that temple and write about that. When he visited to Beonsan(邊山), he seek for Wonhyobang(元曉房), which Wonhyo(元曉) and Sabok(蛇福) dwelling. Wonhyo(元曉) and Sabok(蛇福) stand as a symbol for the guidance of afterlife in Shilla(新羅). For this reason, I think that their presence in Beonsan connected to Baekje resistance.
      He also went on a visit to Jinpyo(眞表)'s Buddhist hermitage, it named miraculous hermitage(不思義方丈). It posited very highly the edge of precipice. so Lee GyuBo climb up a ladder. He also write about Jinpyo(眞表)'s portrait, and so on. In his write about three Buddhist monk,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had unique record and described another points.
      And he visited dolmen in Gumma(金馬) and decribed that it made by pre historical age people and it represent holy site.
      So his writings are not only account of a trip but also historical record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東半島石棚" 遼寧科學技術出版社 1994

      2 이영문, "한국 지석묘사회 연구" 학연문화사 2002

      3 이융조, "한국 고인돌의 다른 유형에 관한 연구—「제단고인돌」형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63) : 1989

      4 곽승훈, "통일신라시대 승전의 저술과 그 의의" (69) : 1992

      5 김상현, "원효의 진영에 관하여" (14) : 1993

      6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 미륵사지 유물전시관, "완주 경복사지. in: 전북의 옛 절터 출토유물" 대광출판사 2005

      7 김상현, "신라화엄사상사연구" 민족사 1991

      8 한기문, "신라 하대 흥륜사와 金堂 十聖의 성격" 동국대신라문화연구소 (20) : 2002

      9 신동하, "신라 興輪寺의 창건과 변천" 동덕여대 (6) : 1999

      10 전북대전라문화연구소, "보덕화상과 경북사지" 신아출판사 2003

      1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東半島石棚" 遼寧科學技術出版社 1994

      2 이영문, "한국 지석묘사회 연구" 학연문화사 2002

      3 이융조, "한국 고인돌의 다른 유형에 관한 연구—「제단고인돌」형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63) : 1989

      4 곽승훈, "통일신라시대 승전의 저술과 그 의의" (69) : 1992

      5 김상현, "원효의 진영에 관하여" (14) : 1993

      6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 미륵사지 유물전시관, "완주 경복사지. in: 전북의 옛 절터 출토유물" 대광출판사 2005

      7 김상현, "신라화엄사상사연구" 민족사 1991

      8 한기문, "신라 하대 흥륜사와 金堂 十聖의 성격" 동국대신라문화연구소 (20) : 2002

      9 신동하, "신라 興輪寺의 창건과 변천" 동덕여대 (6) : 1999

      10 전북대전라문화연구소, "보덕화상과 경북사지" 신아출판사 2003

      11 김주성, "보덕전의 검토와 보덕의 고달산이주" 한국사연구회 (121) : 1-26, 2003

      12 노용필, "보덕의 사상과 활동" 2 : 1989

      13 정병삼, "보덕의 불교와 7세기 삼국사회. in: 보덕화상과 경복사지" 신아출판사 2003

      14 노도양, "백제주류성고" 충남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4) : 1983

      15 김영관, "백제부흥운동연구" 서경 2005

      16 노중국, "백제부흥운동사" 일조각 2003

      17 변인석, "백강구전쟁과 백제·왜관계" 한울 1994

      18 김상현, "고려시대의 원효인식" 17 (17): 1994

      19 나희라, "고대 한국의 저승관과 지옥관념의 이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8) : 169-191, 2006

      20 鄭善如, "고구려 불교사 연구" 서경문화사 2007

      21 이선복, "고고학개론" 이론과 실천 223-, 1998

      22 국립중앙박물관, "경주 황남동 출토 신라 토우, 영원을 꿈꾸다" 국립중앙박물관 2009

      23 李佑成, "高麗 武臣政權과 李奎報. in: 韓國의 歷史像 上" 創批新書 41-, 1982

      24 崔英成, "譯註 崔致遠全集. in: 第1卷 四山碑銘" 아세아문화사 1998

      25 김헌선, "蛇福불언 설화이해의 층위" (31) : 1999

      26 김상현, "蛇福說話의 佛敎的 意味" (16) : 1982

      27 李基白, "眞表의 彌勒信仰. in: 新羅佛敎史硏究" 一潮閣 1986

      28 박광연, "眞表의 占察法會와 密敎 수용" 한국사상사학회 (26) : 1-32, 2006

      29 金南允, "眞表의 傳記 資料 檢討" (78) : 1997

      30 박미선, "眞表 占察法會의 成立과 性格" 한국고대사학회 (49) : 223-256, 2008

      31 沈正輔, "百濟 周留城考"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28) : 1999

      32 金哲埈, "李奎報「東明王篇」의 史學史的 考察; 舊三國史記 資料의 分析을 중심으로" (46) : 1985

      33 金福順, "新羅華嚴宗硏究; 崔致遠의 佛敎關係著述과 관련하여" 民族社 1990

      34 김영태, "新羅十聖考" 동국대 한국학연구소 2 : 1977

      35 金煐泰, "新羅佛敎硏究" 民族文化社 1987

      36 蔡印幻, "新羅 眞表律師 硏究(Ⅰ)" (23) : 1986

      37 尹汝聖, "新羅 眞表와 眞表系 佛敎 硏究" 원광대 1998

      38 金煐泰, "新羅 占察法會와 眞表의 敎法硏究" (9) : 1972

      39 郭丞勳, "新羅 下代 前期 興輪寺 金堂 十聖의 奉安과 彌勒下生信仰" (11) : 1998

      40 趙仁成, "彌勒信仰과 新羅社會" (82) : 1996

      41 朴宗基, "儒敎史家 李奎報의 歷史學. in: 韓國史學史硏究"

      42 全榮來, "三國統一戰爭과 百濟復興運動—周留城·白江의 軍事地理學的 考察—"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4) : 1982

      43 李康來, "三國史記 典據論" 民族社 1996

      44 경일남, "‘南行月日記’의 수필적 특성" (29) :

      45 卓奉心, "'東明王篇'에 나타난 李奎報의 歷史意識" (44) :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9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인물사연구소 -> (사)한국인물사연구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64 1.88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