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서론
- Ⅱ. 공무원 단체교섭의 특징
- Ⅲ. 단체교섭 관련 주요 쟁점
- Ⅳ. 결론
- 〈Abstrac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60212
2008
Korean
공무원노조 ; 단체교섭 ; 복수노조 ; 단체협약 ; 교섭창구 단일화 ; 교섭당사자 ; 교섭담당자 ; 교섭권 위임 ; 비교섭 사항 ; 교섭요구 ; 비효력 사항 ; 예비교섭 ; 단체협약 이행 ; public Officials’ union ; collective bargaining ; plural trade unions ; collective agreement ; unification of bargaining channels ; parties to collective bargaining ; negotiators to collective bargaining ; mandate of collective bargaining right ; non-bargainable articles ; claim of collective bargaining ; ineffective articles ; preliminary collective bargaining ; implementation of collective agreement
KCI등재
학술저널
35-73(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