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흰쥐 샘뇌하수체 Folliculostellate cell에서의 Metallothionein-1, 2의 발현 = Expression of Metallothionein-1, 2 in Folliculostellate Cells of Rat Anterior Pituitary G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49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Metallothionein (MT) family는 세포 내의 중금속 결합 단백질로서 아연, 구리 등의 대사에 관여하며 뇌하수체를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 분포한다. 광학현미경과 공초점주사현미경(confocal microscope)을 이용하여 정상 흰쥐의 샘뇌하수체에서 MT-1, 2의 면역반응성을 동정하고, 내분비세포의 조절에 관여하는 folliculostellate cell이나 성장호르몬분비세포와의 연관성을 형태학적으로 관찰 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흰쥐 뇌하수체 앞엽의 pars distalis와 pars intermedia에서 모두 MT-1, 2 면역반응이 관찰되었다. 공초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이중면역조직화학을 시행한 결과 MT-1, 2 면역반응이 S100 양성인 folliculostellate cell과 cyst-lining cell에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나, 성장호르몬분비세포에서는 MT-1, 2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샘뇌하수체의 pars distalis의 folliculostellate cell이 MT-1, 2를 함유한다는 최초의 보고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folliculostellate cell에 존재하는 MT-1, 2가 샘뇌하수체의 내분비작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MT-1, 2가 folliculostellate cell에 특이적인 염색성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folliculostellate cell의 새로운 표지물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Metallothionein (MT) family는 세포 내의 중금속 결합 단백질로서 아연, 구리 등의 대사에 관여하며 뇌하수체를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 분포한다. 광학현미경과 공초점주사현미경(confocal microscope)을 ...

      Metallothionein (MT) family는 세포 내의 중금속 결합 단백질로서 아연, 구리 등의 대사에 관여하며 뇌하수체를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 분포한다. 광학현미경과 공초점주사현미경(confocal microscope)을 이용하여 정상 흰쥐의 샘뇌하수체에서 MT-1, 2의 면역반응성을 동정하고, 내분비세포의 조절에 관여하는 folliculostellate cell이나 성장호르몬분비세포와의 연관성을 형태학적으로 관찰 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흰쥐 뇌하수체 앞엽의 pars distalis와 pars intermedia에서 모두 MT-1, 2 면역반응이 관찰되었다. 공초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이중면역조직화학을 시행한 결과 MT-1, 2 면역반응이 S100 양성인 folliculostellate cell과 cyst-lining cell에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나, 성장호르몬분비세포에서는 MT-1, 2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샘뇌하수체의 pars distalis의 folliculostellate cell이 MT-1, 2를 함유한다는 최초의 보고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folliculostellate cell에 존재하는 MT-1, 2가 샘뇌하수체의 내분비작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MT-1, 2가 folliculostellate cell에 특이적인 염색성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folliculostellate cell의 새로운 표지물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tallothionein (MT) family, intracellular zinc binding proteins, has been suggested to play an important regulatory role in zinc metabolism. The present study utilized light and confocal microscopic method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pattern of MT-1, 2 an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and extent of colocalization of MT-1, 2 relative to subpopulations of S100 positive folliculostellate (FS) cells and somatotrophs in normal rat anterior pituitary. By light microscopy, MT-1, 2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both in pars intermedia and pars distalis of anterior pituitary.
      Confocal microscopy revealed that most MT immunoreactivity was colocalized in S100 positive FS cells, not in
      somatotrophs.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FS cells in pars distalis contain MT-1, 2. These results suggest that MT family may be involved in regulation of hypophyseal endocrine functions and can be used as new markers of FS cells.
      번역하기

      Metallothionein (MT) family, intracellular zinc binding proteins, has been suggested to play an important regulatory role in zinc metabolism. The present study utilized light and confocal microscopic method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pattern of MT...

      Metallothionein (MT) family, intracellular zinc binding proteins, has been suggested to play an important regulatory role in zinc metabolism. The present study utilized light and confocal microscopic method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pattern of MT-1, 2 an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and extent of colocalization of MT-1, 2 relative to subpopulations of S100 positive folliculostellate (FS) cells and somatotrophs in normal rat anterior pituitary. By light microscopy, MT-1, 2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both in pars intermedia and pars distalis of anterior pituitary.
      Confocal microscopy revealed that most MT immunoreactivity was colocalized in S100 positive FS cells, not in
      somatotrophs.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FS cells in pars distalis contain MT-1, 2. These results suggest that MT family may be involved in regulation of hypophyseal endocrine functions and can be used as new markers of FS cel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brain-specific member of the metallothionein gene family" 6333-6337, 1992

      2 "Zinc in the anterior pituitary of rat" neuroendocri (neuroendocri): 233-242, 1987

      3 "Trace metals in endocrinology" 779-797, 1976

      4 "Trace elements in human physiology and pathology: zinc and metallothioneins" 57 : 399-411, 2003

      5 "Selenium in the anterior pituitaryof rats exposed to sodium selenite" 67-74, 1985

      6 "S100 protein in folliculostellatecells of the rat pituitary anterior lobe" 1980

      7 "Roles of the metallothioneinfamily of protein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55 (55): 133-145, 2001

      8 "Pituitaryfolliculostellate cells immunostained with S100 protein antiserumin postnatal" 235-249, 1983

      9 "Noval clonal strain from adultrat anterior pituitary producing S-100 protein" (gami h) : -303, 1983

      10 "New perspectives in the functionof pituitary folliculo-stellate cells" 71 : 73-81, 1990

      1 "abrain-specific member of the metallothionein gene family" 6333-6337, 1992

      2 "Zinc in the anterior pituitary of rat" neuroendocri (neuroendocri): 233-242, 1987

      3 "Trace metals in endocrinology" 779-797, 1976

      4 "Trace elements in human physiology and pathology: zinc and metallothioneins" 57 : 399-411, 2003

      5 "Selenium in the anterior pituitaryof rats exposed to sodium selenite" 67-74, 1985

      6 "S100 protein in folliculostellatecells of the rat pituitary anterior lobe" 1980

      7 "Roles of the metallothioneinfamily of protein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55 (55): 133-145, 2001

      8 "Pituitaryfolliculostellate cells immunostained with S100 protein antiserumin postnatal" 235-249, 1983

      9 "Noval clonal strain from adultrat anterior pituitary producing S-100 protein" (gami h) : -303, 1983

      10 "New perspectives in the functionof pituitary folliculo-stellate cells" 71 : 73-81, 1990

      11 "New functional and structural insights" 4 : 177-183, 2000

      12 "Marginal and folli-culostellate cells of the pituitary gland of the rat" 131 : 47-51, 1988

      13 "Localization ofmetallothionein 1-2 immunoreactivity in bovine pituitary gland" 70 : 659-667, 2001

      14 "Hiddenface of the anterior pituitary" 13 : 304-309, 2002

      15 "Formation of mixedfollicles in anterior pituitary of perinatal rat-with special referenceto follicular growth hormone cells" 641-647, 1988

      16 "Folliculo-stellate cellsand intercellular communication within the rat anterior pituitarygland" 39 : 138-149, 1997

      17 "Evidence for functional communicationbetween folliculo-stellate cells and hormone-secreting cellsin perifused anterior pituitary cell aggregates" endocri (endocri): 685-691, 1987

      18 "Encyclopedia of inorganic chemistry" Wiley 4 : 2229-2241, 1994

      19 "Dome formation of keratin-containinggranular cells from rat anterior pituitary gland in vitro" 1193-1200, 1988

      20 "Disruption of metallothionein gene in mice Analysis of brainzinc and neuron vulnerability to metals, aging and seizures" 17 : 1271-1281, 1997

      21 "COMMENTARY -Metallothioneins in Brain- The Rolein Physiology and Pathology" 142 : 229-242, 1997

      22 "Autocrine and paracrineroles of polypeptide growth factors, cytokines and vasogenic substances in normal and tumorous pituitary function and growth: a review" 135 : 515-532, 1996

      23 "Analysis of S-100 protein positive folliculostellatecells in rat pituitary tissues" 338-346, 1988

      24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stellate cells in theirrabbit adenohypophysis under various endocrine conditions" 237-246, 1980

      25 "A novel view of the function of pituitary folliculostellatecell network" 12 : 378-380,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해부학회지 -> Anatomy and Cell Biolog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Anatomy -> Anatomy and Cell Bi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등재유지)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5 0.15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 0.09 0.22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