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새로운 항암제 평가기법 향상을 위한 연구 = Improvement for an evaluation technique of new anti-cancer dru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59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표는 새로이 개발되고 있는 항암제의 평가방법 및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선진 외국의 규정 및 사례분석을 통한 새로운 항암제 심사지침 및 임상시험 평가지침 마련하고, 표적항암제의 과학적 평가 기법수립을 위한 전임상연구모델을 개발하고, 항암제 정보방에 새로운 컨텐츠를 수재함으로 새로운 항암제의 평가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문회의에 결과에 의하면 새로운 항암제는 종양의 성장과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고, 기존의 항암제 보다 세포 독성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표적항암제의 안전성 및 효능 평가에 기존 항암제의 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표적항암제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기존의 항암제의 안전성과 일치하는 점이 있고, 기존의 항암제와는 다르게 표적항암제의 효과 평가에 있어서 biomarker의 사용을 권장하였다. 새로운 항암제에 관한 자료를 FDA, EMEA, PMDA에서 확보, 분석하고, ICH의 권고사항을 참조하여 새로운 항암제의 평가 기법 및 임상시험을 위한 지침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새로운 항암제의 과학적 평가를 위한 전임상 모델을 개발하여, 표적항암제의 안전성 및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SOP에 관련하여 심사 위원회 (Review Board)와 자문 위원회 (Advisory Committee)를 구성하여 확보된 자료를 분석한 후, ICH의 권고에 의거하여 새로운 항암제의 임상시험 평가 지침서 마련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항암제의 과학적 평가 방법의 전임상 모델을 개발에 있어, 종양세포의 성장 및 진행에 관여하는 cis-acting enhancer element의 활성을 분석할 수 있는 reporter system으로 표적항암제에 의한 활성 억제 효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새로운 항암제의 안전성 및 효과를 규명하는데 현재 다양한 biomarker가 이용되고 있다. 새로운 과학적 평가 방법을 수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이용한 biomarker는 cis-acting enhancer element들로 이들의 transcription factor는 종양의 성장과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Transcription factor의 활성 억제는 표적항암제에 의한 표적 유전자의 활성 억제 효과에 의한 것으로 유추된다. 본 연구에서 이용되고 있는 transcription reporter system은 다양한 종양세포에서 과 발현되는 것으로 표적항암제에 의한 종양세포 성장억제와 비활성화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cis-acting enhancer element에 의하여 reporter gene (luciferase)이 발현될 수 있는 transcription reporter gene을 정상세포와 종양세포에 유입한 후, Gefitinib과 Bortezomib에 의한 발현 억제를 in vitro와 in vivo model에서 규명하였다. 두 항암제에 민감한 세포주에서 E2F, SRE, CRE, NF-kB, AP1의 활성이 이들의 항암제에 의하여 활성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두 항암제에 내성이 있는 세포주에서는 활성 억제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항암제 정보방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암환자, 암 임상시험 관련 업무 종사자, 전문 의료인에게 암 관련 임상시험에 대한 최신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신약개발 장려 및 국내 임상시험 수준 향상을 도모하고, 항암제 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일반인과 전문 의료인, 암 환자들이 항암제에 대한 최신정보를 손쉽게 얻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표는 새로이 개발되고 있는 항암제의 평가방법 및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선진 외국의 규정 및 사례분석을 통한 새로운 항암제 심사지침 및 임상시험 평가지침 마련...

      본 연구의 목표는 새로이 개발되고 있는 항암제의 평가방법 및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선진 외국의 규정 및 사례분석을 통한 새로운 항암제 심사지침 및 임상시험 평가지침 마련하고, 표적항암제의 과학적 평가 기법수립을 위한 전임상연구모델을 개발하고, 항암제 정보방에 새로운 컨텐츠를 수재함으로 새로운 항암제의 평가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문회의에 결과에 의하면 새로운 항암제는 종양의 성장과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고, 기존의 항암제 보다 세포 독성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표적항암제의 안전성 및 효능 평가에 기존 항암제의 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표적항암제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기존의 항암제의 안전성과 일치하는 점이 있고, 기존의 항암제와는 다르게 표적항암제의 효과 평가에 있어서 biomarker의 사용을 권장하였다. 새로운 항암제에 관한 자료를 FDA, EMEA, PMDA에서 확보, 분석하고, ICH의 권고사항을 참조하여 새로운 항암제의 평가 기법 및 임상시험을 위한 지침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새로운 항암제의 과학적 평가를 위한 전임상 모델을 개발하여, 표적항암제의 안전성 및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SOP에 관련하여 심사 위원회 (Review Board)와 자문 위원회 (Advisory Committee)를 구성하여 확보된 자료를 분석한 후, ICH의 권고에 의거하여 새로운 항암제의 임상시험 평가 지침서 마련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항암제의 과학적 평가 방법의 전임상 모델을 개발에 있어, 종양세포의 성장 및 진행에 관여하는 cis-acting enhancer element의 활성을 분석할 수 있는 reporter system으로 표적항암제에 의한 활성 억제 효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새로운 항암제의 안전성 및 효과를 규명하는데 현재 다양한 biomarker가 이용되고 있다. 새로운 과학적 평가 방법을 수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이용한 biomarker는 cis-acting enhancer element들로 이들의 transcription factor는 종양의 성장과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Transcription factor의 활성 억제는 표적항암제에 의한 표적 유전자의 활성 억제 효과에 의한 것으로 유추된다. 본 연구에서 이용되고 있는 transcription reporter system은 다양한 종양세포에서 과 발현되는 것으로 표적항암제에 의한 종양세포 성장억제와 비활성화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cis-acting enhancer element에 의하여 reporter gene (luciferase)이 발현될 수 있는 transcription reporter gene을 정상세포와 종양세포에 유입한 후, Gefitinib과 Bortezomib에 의한 발현 억제를 in vitro와 in vivo model에서 규명하였다. 두 항암제에 민감한 세포주에서 E2F, SRE, CRE, NF-kB, AP1의 활성이 이들의 항암제에 의하여 활성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두 항암제에 내성이 있는 세포주에서는 활성 억제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항암제 정보방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암환자, 암 임상시험 관련 업무 종사자, 전문 의료인에게 암 관련 임상시험에 대한 최신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신약개발 장려 및 국내 임상시험 수준 향상을 도모하고, 항암제 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일반인과 전문 의료인, 암 환자들이 항암제에 대한 최신정보를 손쉽게 얻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aim for study is to evaluate target anticancer drugs and to effectively use for cancer patients. We provided newguide line for judgment of target anticancer drug and clinical trail. Also, we developed the preclinical model for evaluating its safety and its efficacy. In addition, we upgraded and rearranged the contents in anticancer website for cancer patients and employee in hospital. Target anticancer drugs reducing activities of target genes associating with cell proliferation and tumor progression, have less toxicity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anticancer drugs and their efficacy was different. That was why its safety and its efficacy could not followed by judgment of conventional anticancer drugs. FDA, EMEA, and PMDA suggested that safeties for target anticancer drugs in clinical trial were very similar to those for conventional anticancer drugs, but it was very differen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nticancer drugs. Following ICH recommendations, we provided the guide line for judgment of target anticancer drugs and clinical trial. To evaluate target anticancer drugs in preclinical and clinical trials, biomarkers were required. To provide new guide line for preclinical and clinical trial of new anticancer drug, we organized the Review Board and Advisory committee consisting of a group of clinicians taking a care of cancer patients and pharmacologist. They discussedthe SOP for approval of new anti-cancer agents based on collected data from FDA, EMEA, PMDA, and ICH. After that we provided the guideline of new ant-cancer drugs. At present, various biomarkers were used for evaluating its safety and its efficacy of new anti-cancer drugs. To improve the judgment of new anticancer drug using scientific experimental data, the activity of cis-acting enhancer element involved in survival, progression of tumor cells using reporter system was used. A set of cis-acting enhancer elements was important roles for survival, progression of tumor cells. Depending on their activities, malignancies of tumor cells could be determined. A certain gene associated with tumor progression could be a target for cancer therapy. Therefore, the activity of cis-acting enhancer elements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factors leading to malignancy and their activities were regulated by target anticancer drugs. To provide preclinical modeld for evaluating target anticancer drugs, we provided normal cells and tumor cells transfected with recombinant DNA having cis-acting enhancer elements and the effect oftwo anticancer drugs was examined in vitro and in vivo. Our results indicated that increasing activities of cis-acting enhancer element was found and its activities weredown-regulated by target anticancer drugs (Gefitinib and Bortezomib) in normal cells. Two anti-cancer drugs were inhibited activites of E2F, SRE, CRE, NF-kB and Ap1 in two different drug sensitive cell lines and didn't drug resistant cell lines. Also, Due to the contents (information of anti-cancer drugs) were up-grade to website in FDA, providing new and accurate anti-cancer drugs information and data to the cancer patients, cancer institute's scientists and researcher and encouraged drug development and enhanced to clinical trials.
      번역하기

      Our aim for study is to evaluate target anticancer drugs and to effectively use for cancer patients. We provided newguide line for judgment of target anticancer drug and clinical trail. Also, we developed the preclinical model for evaluating its safet...

      Our aim for study is to evaluate target anticancer drugs and to effectively use for cancer patients. We provided newguide line for judgment of target anticancer drug and clinical trail. Also, we developed the preclinical model for evaluating its safety and its efficacy. In addition, we upgraded and rearranged the contents in anticancer website for cancer patients and employee in hospital. Target anticancer drugs reducing activities of target genes associating with cell proliferation and tumor progression, have less toxicity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anticancer drugs and their efficacy was different. That was why its safety and its efficacy could not followed by judgment of conventional anticancer drugs. FDA, EMEA, and PMDA suggested that safeties for target anticancer drugs in clinical trial were very similar to those for conventional anticancer drugs, but it was very differen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nticancer drugs. Following ICH recommendations, we provided the guide line for judgment of target anticancer drugs and clinical trial. To evaluate target anticancer drugs in preclinical and clinical trials, biomarkers were required. To provide new guide line for preclinical and clinical trial of new anticancer drug, we organized the Review Board and Advisory committee consisting of a group of clinicians taking a care of cancer patients and pharmacologist. They discussedthe SOP for approval of new anti-cancer agents based on collected data from FDA, EMEA, PMDA, and ICH. After that we provided the guideline of new ant-cancer drugs. At present, various biomarkers were used for evaluating its safety and its efficacy of new anti-cancer drugs. To improve the judgment of new anticancer drug using scientific experimental data, the activity of cis-acting enhancer element involved in survival, progression of tumor cells using reporter system was used. A set of cis-acting enhancer elements was important roles for survival, progression of tumor cells. Depending on their activities, malignancies of tumor cells could be determined. A certain gene associated with tumor progression could be a target for cancer therapy. Therefore, the activity of cis-acting enhancer elements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factors leading to malignancy and their activities were regulated by target anticancer drugs. To provide preclinical modeld for evaluating target anticancer drugs, we provided normal cells and tumor cells transfected with recombinant DNA having cis-acting enhancer elements and the effect oftwo anticancer drugs was examined in vitro and in vivo. Our results indicated that increasing activities of cis-acting enhancer element was found and its activities weredown-regulated by target anticancer drugs (Gefitinib and Bortezomib) in normal cells. Two anti-cancer drugs were inhibited activites of E2F, SRE, CRE, NF-kB and Ap1 in two different drug sensitive cell lines and didn't drug resistant cell lines. Also, Due to the contents (information of anti-cancer drugs) were up-grade to website in FDA, providing new and accurate anti-cancer drugs information and data to the cancer patients, cancer institute's scientists and researcher and encouraged drug development and enhanced to clinical trial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