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학 수업에서 토론의 가치와 효과 -박완서 소설에 대한 토론 사례를 중심으로- = The Value and Effect of Literature Discussion Jeong, Jai-rim(Korea Univ.)& Lee, Nam-ho(Korea Univ.) -focussing on discussion about Park Wan seo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844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교에서 토론을 활용한 문학 수업은 드물지 않게 발견된다. 문학 토론이 해석의 다양성과 적절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이상적인 방법이라는 점에도 대체로 동의하는 편이다. 하지만 문학 ...

      대학교에서 토론을 활용한 문학 수업은 드물지 않게 발견된다. 문학 토론이 해석의 다양성과 적절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이상적인 방법이라는 점에도 대체로 동의하는 편이다. 하지만 문학 토론은 당위적 인정 이상의 주목을 끌지 못했으며, 문학 토론의 방법이나 가치에 대한 연구는 소략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문학 토론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문학 수업에서 실제 토론의 양상과 특징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문학 토론에서 ‘누가 말하는가’, ‘무엇을 말하는가’, ‘참여자의 성격은 어떻게 다른가’, ‘방식이나 참여자에 따른 토론의 양상을 구분할 수 있는가’, ‘토론과 글쓰기는 서로 영향을 끼치는가’ 등을 중심으로 토론 장면을 관찰·분석함으로써 문학 토론에 대한 실질적인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문학 토론이 학생의 문학 이해 능력과 사유 능력 신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것, 누적적으로 작용하며 학생의 문학 이해를 돕는다는 것, 그리고 소극적 참여자의 경우 문학감상문 쓰기의 병행이 효과적이라는 것 등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hy literature discussion was important in literary education. It presented two novels by Park Wan-seo as topics to college students and observed how they engaged in literary discussions. The investigator tr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hy literature discussion was important in literary education. It presented two novels by Park Wan-seo as topics to college students and observed how they engaged in literary discussions. The investigator tried to figure out the followings through observation and analysis: What do the students discuss? What ar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discussions? What are their grounds? What kind of relation is there between discussion and writing?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ir literary discussion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literary discussions made a contribution to increas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literature; and secondly, literary discussions were also helpful for improving their abilities in other areas of Korean language.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identified the values and effects of literary discussions and proposed the matters they should pay attention to in literary discussion clas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림, "소설교육에서 ‘해석의 적절성’에 대한 고찰" 민족어문학회 (71) : 237-261, 2014

      2 이인화, "문학토론에서 소설 해석의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4) : 249-280, 2013

      3 김상욱, "문학적 사고력과 토론의 중요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4) : 97-124, 2004

      4 김상욱, "문학능력 증진을 위한 문학토론의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5-34, 2009

      5 김상욱, "문학 토론의 방향과 방법 -‘책 읽어주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40) : 207-237, 2013

      6 김주환, "독서토론이 고등학생의 감상문 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어교육학회 (88) : 5-30, 2011

      7 오연주,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 토론수업에서 학생들은 왜 말하지 않는가?"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121-136, 2010

      8 최인자, "‘서사적 대화’를 활용한 문학 토의 수업 연구" 국어교육학회 (29) : 283-310, 2007

      9 이남호, "21세기 한국에서의 국어교육" 10 : 2011

      1 정재림, "소설교육에서 ‘해석의 적절성’에 대한 고찰" 민족어문학회 (71) : 237-261, 2014

      2 이인화, "문학토론에서 소설 해석의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4) : 249-280, 2013

      3 김상욱, "문학적 사고력과 토론의 중요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4) : 97-124, 2004

      4 김상욱, "문학능력 증진을 위한 문학토론의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5-34, 2009

      5 김상욱, "문학 토론의 방향과 방법 -‘책 읽어주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40) : 207-237, 2013

      6 김주환, "독서토론이 고등학생의 감상문 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어교육학회 (88) : 5-30, 2011

      7 오연주,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 토론수업에서 학생들은 왜 말하지 않는가?"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121-136, 2010

      8 최인자, "‘서사적 대화’를 활용한 문학 토의 수업 연구" 국어교육학회 (29) : 283-310, 2007

      9 이남호, "21세기 한국에서의 국어교육" 10 :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3 0.82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