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시민사회 발전을 위한 청사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958320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무총리자문 시민사회발전위원회, 2004

      • 발행연도

        200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30.911 판사항(4)

      • DDC

        330.911 판사항(22)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한국시민사회 발전을 위한 청사진 / 시민사회발전 위원회 [편].

      • 형태사항

        222, 11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 : 시민사회발전위원회 규정 [외]
        참고문헌: 219-222 p.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한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성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인사말
      • 시민사회발전위원회 위원
      • 서론 : 한국의 시민사회 개요 : 도전과 전망
      • Ⅰ. 현대 시민사회의 출현과 의의 = 21
      • 목차
      • 인사말
      • 시민사회발전위원회 위원
      • 서론 : 한국의 시민사회 개요 : 도전과 전망
      • Ⅰ. 현대 시민사회의 출현과 의의 = 21
      • Ⅱ. 시민사회의 개념과 역사 = 22
      • 1. 시민사회의 개념 및 기능 = 22
      • 2. 한국 시민사회의 역사 = 24
      • Ⅲ. 시민사회단체의 현황과 진단 = 26
      • Ⅳ. 한국 시민사회의 발전 필요성 = 28
      • Ⅴ. 시민사회의 발전방향과 과제 = 29
      • 1. 시민사회의 기반확충 과제 = 30
      • 2. 시민사회단체의 활성화 과제 = 30
      • 3.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 과제 = 32
      • 제1부 시민사회의 기반확충
      • 제1장 시민의식 함양과 시민참여
      • Ⅰ. 시민의식 함양 = 35
      • 1. 시민교육의 필요성 = 36
      • 2. 시민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37
      • 3. 시민교육을 위한 개선방향 = 37
      • 1) 선진국의 시민교육 = 37
      • ① 독일의 정치교육 = 37
      • ② 영국의 시민교육 = 38
      • ③ 미국의 시민교육 = 39
      • 2) 시민교육법 제정을 위한 노력과 발전방향 = 39
      • Ⅱ. 시민참여 = 40
      • 1. 시민참여의 필요성 = 41
      • 2. 시민참여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 41
      • 3. 시민의 참여를 위한 법제개선 방향 = 42
      • 1) 시민의 알권리를 위한 법제 개선 = 42
      • ① 공공기관의정보공개에관한법률 = 42
      • ② 행정절차법 = 43
      • 2) 시민의 자유로운 의사표현을 위한 법제 개선 = 43
      • ① 집회및시위에관한법 = 43
      • ② 옥외광고물등관리법 = 44
      • 3) 시민의 공익소송권리를 위한 법제 개선 및 도입 = 44
      • ① 집단소송법 = 44
      • ② 공익소송법 = 45
      • ③ 납세자소송법 = 46
      • 4) 시민의 행정참여를 위한 법제 개선 = 47
      • ① 옴부즈맨제도 = 47
      • ② 부패방지법 = 48
      • ③ 국민감사청구제도 = 49
      • 제2장 자원봉사 활성화
      • Ⅰ. 자원봉사의 필요성 = 51
      • Ⅱ. 자원봉사의 현황과 문제점 = 53
      • 1. 종합적인 자원봉사정책 부재 = 54
      • 2. 자원봉사 전문가 부족 = 55
      • 3. 자원봉사자의 소명의식 부족 = 55
      • 4. 제도지원 결여 = 56
      • 5. 자원봉사센터의 통합관리 및 네트워크 부족 = 56
      • Ⅲ.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향 = 58
      • 1. 조직적 측면 = 58
      • 1) 시민운동의 근간으로서의 자원봉사활동 조직 = 58
      • 2)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효율성 극대화 = 58
      • 2. 재정적 측면 = 59
      • 1) 정부 지원 = 59
      • 2) 지역사회 자원 동원 = 59
      • 3. 인력확보 측면 = 60
      • 1)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다양화 = 60
      • 2) 자원봉사 관리전문가 양성 = 61
      • 3) 자원봉사자 확보방안 = 62
      • ① 자원봉사자에 대한 보상 = 62
      • ② 자원봉사에 대한 의식 전환 = 62
      • 4) 자원봉사자 모집방안 모색 = 62
      • ① 매개기관과 통신매체 활용 = 63
      • ② 시민사회단체의 자정노력과 자체홍보 = 64
      • 4. 자원봉사진흥법 = 64
      • 제3장 기부문화 활성화
      • Ⅰ. 기부문화의 필요성 = 67
      • Ⅱ. 기부문화의 현황과 문제점 = 68
      • Ⅲ.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개선방향 = 69
      • 1. 기부에 대한 의식개혁 및 홍보 = 69
      • 2.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제도 개선 = 70
      • 1) 기부금에 대한 세제 개선의 필요성 = 70
      • 2) 기부와 관련된 법제 개정 및 도입의 필요성 = 72
      • ① 법인세법 시행령 = 72
      • ② 기부금품모집규제법 = 73
      • ③ 자연·문화유산에 관한 국민신탁법 = 75
      • 3.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시민사회단체의 노력 = 76
      • 1) 투명성 확보 = 76
      • 2) 다양한 모금방법 개발 = 77
      • ① 상생모금 = 77
      • ② ARS모금 = 78
      • ③ 인터넷모금 = 78
      • 3) 모금에 관한 전문성 확보 = 79
      • 제2부 시민사회단체의 활성화
      • 제4장 시민사회단체의 재정자립과 정부지원
      • Ⅰ. 시민사회단체 재정자립 제고 = 81
      • 1. 필요성 = 81
      • 2. 현황과 문제점 = 82
      • 3. 개선방향 = 83
      • Ⅱ. 시민사회단체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 = 83
      • 1. 필요성 = 83
      • 2. 현황과 문제점 = 85
      • 1) 정부 재정지원 사례 = 85
      • 2) 정부의 재정지원 유형 = 86
      • 3) 시민사회단체의 정부재정 의존도 = 89
      • 3. 개선방향 = 91
      • 1) 정부의 재정지원에 대한 합리적 근거 및 기준 = 91
      • 2) 공익의 개념과 공익활동단체의 기준 = 92
      • ① 미국의 사례 = 92
      • ② 영국의 사례 = 93
      • ③ 일본의 사례 = 94
      • 3) 공익활동을 위한 세제감면 및 재정지원의 기준 = 95
      • ① 미국의 사례 = 95
      • ② 일본의 사례 = 98
      • 4) 정부지원금에 대한 사후평가와 책임 = 100
      • ① 보조금 환수 및 처벌 = 100
      • ② 재원배분의 투명성과 공정성 = 101
      • 제5장 시민사회단체의 역량 강화
      • Ⅰ. 시민사회단체의 역량 강화 필요성 = 103
      • Ⅱ. 시민사회단체의 인적 기반 구축 = 104
      • 1. 회원 확대방안 = 104
      • 1) 현황과 문제점 = 104
      • 2) 개선방향 = 107
      • ① 회원 확대의 의의 = 107
      • ② 회원사업의 체계화 = 107
      • ③ 회원의 단체활동 참여구조 확립 = 108
      • ④ 회원 회비에 대한 면세혜택 부여 = 109
      • 2. 상근활동가 양성 방안 = 109
      • 1) 현황과 문제점 = 109
      • 2) 개선방안 = 110
      • ① 상근활동가의 체계적인 교육과 전문성 강화 = 110
      • ② 상근활동가의 지원과 재충전 = 111
      • ③ 상근활동가의 국제교류 = 111
      • Ⅲ. 시민사회단체의 물적 기반 구축을 위한 발전방향 = 112
      • 1. 물적 기반 미비의 문제점 = 112
      • 2. 물적 기반 구축을 위한 개선방향 = 113
      • 1) NGO센터 건립 = 113
      • 2) 시민사회단체의 정보화 강화 = 114
      • 3) 공공시설의 실질적 활용방안 = 114
      • Ⅳ. 시민사회단체의 조직과 운영에 관한 법제 개선방안 = 115
      • 1.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 = 115
      • 1) 제정 배경 = 115
      • 2) 지원 현황 = 115
      • 3) 문제점과 개선방향 = 116
      • ① 인건비 인정 = 116
      • ② 우편요금 감면 확대와 절차 간소화 = 117
      • ③ 공익지원사업의 다년간 사업에 대한 인정 = 117
      • ④ 조세감면 규정의 실효성 = 118
      • 2. 민간공익활동촉진법 = 119
      • 1) 미국의 사례 = 122
      • 2) 일본의 사례 = 122
      • Ⅴ. 시민사회단체관련 학문의 발전 = 125
      • Ⅵ. 시민사회단체의 책임윤리 = 126
      • 제6장 시민사회단체의 국제역량 강화
      • Ⅰ. 시민사회단체의 국제협력 필요성 = 129
      • 1. 한국 시민사회의 국제 네트워크 필요성 = 129
      • 2. 세계화에 대한 시민사회의 공동대응 = 130
      • 3. 지구공치와 한국 시민사회의 역할 = 131
      • Ⅱ. 한국 시민사회단체의 국제협력 현황과 문제점 = 132
      • Ⅲ. 한국 시민사회단체의 국제협력 강화를 위한 개선방향 = 134
      • 1. 국제활동가 양성 = 134
      • 2. 개발원조 확대 및 해외원조단체 지원 확대 = 135
      • 3. 동북아시아에서 한국 시민사회의 역할 확대 = 137
      • 제3부 시민사회와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
      • 제7장 시민사회와 지방자치단체
      • Ⅰ. 시민사회와 지방자치 참여 = 139
      • 1. 필요성 = 139
      • 2. 현황과 문제점 = 140
      • 1) 지역시민참여의 현황과 문제점 = 140
      • 2) 지역시민 감시활동 현황과 문제점 = 142
      • 3. 개선방향 = 143
      • 1) 외국의 지방공치 사례 = 144
      • ①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레시의 참여예산제 = 144
      • ② 인도 캐랄라주의 지방분권적 계획입안을 위한 대중캠페인 = 145
      • ③ 미국 시카고시의 지역학교위원회 = 147
      • ④ 일본 혁신자치체의 시빌미니멈 = 148
      • 2) 지역시민의 지방자치단체 정책참여 강화방안 = 149
      • ① 지역시민의 지방자치단체 감시제도 = 149
      • ② 지역시민의 지방의회 감시 = 153
      • Ⅱ. 지역주민참여 활성화 = 154
      • 1. 지역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법 개정 = 154
      • 2. 주민소환제도 = 155
      • 3. 지방분권관련법 = 157
      • 4. 기타 필요한 지방자치제도 개선방향 = 159
      • Ⅲ. 지방민관협력의 실행 = 159
      • 1. 지방의제 21 = 159
      • 2. 지방자치단체지원 공공사업 = 160
      • 3. 마을공동체발전운동과 주민자치위원회 활성화 = 161
      • 제8장 시민사회와 정부·국회
      • Ⅰ. 시민사회와 정부의 파트너십 = 163
      • 1. 필요성 = 163
      • 2. 현황과 문제점 = 164
      • 1) 위원회 = 164
      • 2) 민관협력사업 = 166
      • 3) 공익재단 = 166
      • 3. 개선방향 = 167
      • 1) 위원회의 권한강화 = 167
      • 2) 민관협력사업 강화 = 168
      • 3) 공익재단을 통한 민관파트너십 강화 = 169
      • Ⅱ. 시민사회와 국회의 파트너십 = 170
      • 1. 필요성 = 170
      • 2. 현황과 문제점 = 170
      • 3. 개선방향 = 171
      • 1) 새로운 정치문화와 시민의식 = 171
      • 2) 시민사회와 국회의 공동협력 = 172
      • 3) 시민의 의정감시 확대 = 174
      • 제9장 시민사회와 기업
      • Ⅰ. 시민사회와 기업의 협력 = 177
      • 1. 필요성 = 177
      • 2. 기업의 사회공헌 현황과 문제점 = 178
      • 3. 개선방향 = 180
      • 1) 이해와 공감대 형성 = 180
      • 2) 전략적 제휴 = 182
      • 3) 사회공헌활동 참여전략 = 182
      • 4) 시민사회단체와 기업의 교류 네트워크 = 183
      • Ⅱ. 기업에 대한 비판과 견제의 필요성 = 184
      • Ⅲ. 시민사회와 사회경제적 대안 모색 = 185
      • 1. 시민사회와 협동조합 = 185
      • 2. 시민사회와 사회적 기업 = 188
      • 제10장 시민사회와 타영역 : 언론·종교
      • Ⅰ. 시민사회와 언론의 협력 = 193
      • 1. 필요성 = 193
      • 2. 현황과 문제점 = 194
      • 3. 개선방향 = 195
      • 1) 시민사회단체와 신문의 협력방안 = 195
      • 2) 시민사회단체와 방송의 협력방안 = 196
      • 3) 지역시민사회단체와 지역신문 활성화 = 197
      • 4. 시민사회와 언론참여 = 197
      • 1) 시민언론운동 = 197
      • 2) 시민의 방송제작 참여 = 198
      • 3) 시민사회와 뉴미디어 = 200
      • Ⅱ. 시민사회와 종교의 협력 = 201
      • 1. 필요성 = 201
      • 2. 현황과 문제점 = 202
      • 3. 개선방향 = 202
      • 1) 인적 자원의 활용 = 202
      • 2) 물적 자원의 활용 = 203
      • 3) 정보 자원의 활용 = 203
      • 결론 : 한국 시민사회의 역할과 기대
      • 1. 정부 및 정치권에 대한 견제와 협력을 통한 참여민주주의 실현 = 205
      • 2. 시장에 대한 견제와 협력을 통한 공공역역의 회복 = 206
      • 3. 사회갈등 해소와 가치공동체 의식의 회복 = 207
      • 4. 시민여론 형성과 전달을 통한 사회공론의 장 확대 = 207
      • 5.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통한 인적자원의 활용 = 208
      • 6. 사회자본 형성을 통한 사회 신뢰성 회복 = 209
      • 7. 문화적 가치추구를 통한 시민의 행복증진 = 209
      • 8. 국제협력을 통한 세계 시민사회에 기여 = 210
      • 목표와 과제
      • 한국시민사회 발전을 위한 목표와 과제 = 211
      • 10대 과제 = 212
      • 1. 시민의식 함양과 시민참여 = 212
      • 2. 자원봉사 활성화 = 212
      • 3. 기부문화 활성화 = 213
      • 4. 시민사회단체의 재정자립도 제고 = 214
      • 5. 시민사회단체의 역량 강화 = 214
      • 6. 한국 시민사회단체의 국제역량 강화 = 215
      • 7. 시민사회단체와 지방자치단체의 파트너십 구축 = 216
      • 8. 시민사회단체와 정부·국회의 파트너십 구축 = 216
      • 9. 시민사회단체와 기업의 파트너십 구축 = 217
      • 10. 시민사회단체와 타영역의 파트너십 구축 : 언론·종교 = 217
      • 부록
      • 시민사회발전위원회 규정
      • 국무총리지지사항
      • 시민사회발전위원회 운영일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