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4차 산업 혁명 시대 인쇄 산업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필요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0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은 인쇄문화의 종주국이다. 유네스코 기록유산인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 본인 ‘직지심체요절’과 ‘고려대장경판’(팔만대장경) 등으로 대표되는 오래된 인쇄문화를 가지고 ...

      한국은 인쇄문화의 종주국이다. 유네스코 기록유산인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 본인 ‘직지심체요절’과 ‘고려대장경판’(팔만대장경) 등으로 대표되는 오래된 인쇄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가 증명하듯이 인쇄 산업은 보통의 일반적인 개별 산업과 달리 한 나라의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등 전체적인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가치는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마찬가지다.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만드는 데 인쇄 산업은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4세대인 디지털인쇄 시대 를 넘어 5세대인 인쇄전자 분야로 응용 분야가 확대되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문, 잡지, 서적 등의 출판물을 제작하는 것이 인쇄라는 편견 때문에 인쇄 산업의 무 궁무진한 가치가 제대로 알려지지 못하고, 인쇄 기술 발전에 발목이 잡혀 있는 것이 현 실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시대의 변화와 발전 과정 속에서 기존 인쇄 산업의 변화를 살펴본 후, 4차 산업 혁명 시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인쇄 기술이 영향을 미치는 분 야와 응용 가능 분야를 알아보고 인쇄 기술의 잠재적인 고부가가치를 발굴하여 인쇄전 자 분야의 주요 산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육성하기 위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과 중요 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is called the cradle of printing culture. This is because it has a long-lasting printing culture represented by the world’s best metal movable type,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simche Yojeol’(Jikjisimcheyojeol) and ‘The Tripitaka Kore...

      Korea is called the cradle of printing culture. This is because it has a long-lasting printing culture represented by the world’s best metal movable type,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simche Yojeol’(Jikjisimcheyojeol) and ‘The Tripitaka Koreana’(The Tripitaka Koreana). As history proves, the printing industry, unlike any other individual industry, has had a wide impact on the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a country as a whole. These values are still the same today. The printing industry can play a big role in creating a new industrial ecosystem, and the field of application is expanding beyond the 4th generation digital printing era to the 5th generation printed electronics field. Nevertheless, the inexhaustible value of the printing industry is not known properly because of the prejudice that printing is the production of publication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and books, and the reality is that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is hinder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existing printing industry in the process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times, to examine the fields and applicable fields that print technology affects the new paradigm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recognition transition to foster the potential high value-added of printing technology to lead to major industries in the printing and electronics sect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2-1. 인쇄술의 발명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2-1. 인쇄술의 발명
      • 2-2. 인쇄 산업 현황
      • 2-3. 국내 인쇄 산업의 현안
      • 2-4. 인쇄물의 트렌드 변화
      • 2-5. 트랜드 변화에 따른 인쇄 산업의 신성장 동력
      • 2-6. 인쇄 산업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
      • 3. 결론
      • 3-1. 인쇄 산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curriculum) 개편
      • 3-2. 인쇄 산업에 대한 실질적 정부 지원 강화
      • 3-3. 인쇄 산업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
      • Referen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