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재’의 감각과 미적 공동체 - 『질마재 신화』를 중심으로 - = The Sentiment of “Absence” and the Aesthetic Community : With a Focus on the Jilmajae My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4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isclose the nature of the aesthetic community, in which eternal-immortality is preserved and sensed in the Jilmajae myth, an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modernity in the Jilmajae myth on the premise that Seo Jeong-Joo's eternality substantially signifies immortality. The Jilmajae myth is based on the extension of Seo Jeong-Joo's Shilla Planning. It is not eternality as a whole, but has been produced amid the interest in “cultural nature” that is able to possess eternality, or the “foundation” of eternality.
      Aesthetic matters were proposed as the only category that transcends reality and eternality in the Jilmajae myth, which was possible through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rather than exclusion. The sentiment of eternal-immortality possessed in the form of an image in the Jilmajae Myth was to connect through the sentiment of “absence.” This sentiment of absence is concurrently supported by the sentiment of eternal- immortality. The people of Jilmajae perceive the status of absence as a form of eternal-immortality, and live in possession of eternal-immortality through an alternate sentiment. However, the eternal-immortality of the Jilmajae myth is not substantial. The subtle possibility of cracks and erosion is inherent in the poem, such as the susceptibility of eternal- immortality to future uncertainty. Seo Jeong-Joo created Jilmajae, the aesthetic community that will preserve Shilla’s eternal-immortality and propose another aesthetic community that will preserve the fading Jilmajae in eternal-immortality. For such reason, the modes of mythology and oral statement have been selected.
      The Jilmajae myth illustrates the nature of modern subjects in pursuit of subjective certainty. Seo Jeong-Joo can be said to be the model of a modern subject in the composition of his own world, with the authority of the absolute order to take the reins. Seo Jeong-Joo, who was fascinated by the “power” delivered by the depth, rather than the essential depth, of Jilmajae, which Seo constructed in the poem as the world of secure freedom and an aesthetic community where the “outside” is unimaginable.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isclose the nature of the aesthetic community, in which eternal-immortality is preserved and sensed in the Jilmajae myth, an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modernity in the Jilmajae myth on the premise that Seo...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isclose the nature of the aesthetic community, in which eternal-immortality is preserved and sensed in the Jilmajae myth, an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modernity in the Jilmajae myth on the premise that Seo Jeong-Joo's eternality substantially signifies immortality. The Jilmajae myth is based on the extension of Seo Jeong-Joo's Shilla Planning. It is not eternality as a whole, but has been produced amid the interest in “cultural nature” that is able to possess eternality, or the “foundation” of eternality.
      Aesthetic matters were proposed as the only category that transcends reality and eternality in the Jilmajae myth, which was possible through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rather than exclusion. The sentiment of eternal-immortality possessed in the form of an image in the Jilmajae Myth was to connect through the sentiment of “absence.” This sentiment of absence is concurrently supported by the sentiment of eternal- immortality. The people of Jilmajae perceive the status of absence as a form of eternal-immortality, and live in possession of eternal-immortality through an alternate sentiment. However, the eternal-immortality of the Jilmajae myth is not substantial. The subtle possibility of cracks and erosion is inherent in the poem, such as the susceptibility of eternal- immortality to future uncertainty. Seo Jeong-Joo created Jilmajae, the aesthetic community that will preserve Shilla’s eternal-immortality and propose another aesthetic community that will preserve the fading Jilmajae in eternal-immortality. For such reason, the modes of mythology and oral statement have been selected.
      The Jilmajae myth illustrates the nature of modern subjects in pursuit of subjective certainty. Seo Jeong-Joo can be said to be the model of a modern subject in the composition of his own world, with the authority of the absolute order to take the reins. Seo Jeong-Joo, who was fascinated by the “power” delivered by the depth, rather than the essential depth, of Jilmajae, which Seo constructed in the poem as the world of secure freedom and an aesthetic community where the “outside” is unimagina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서정주의 영원성의 실질적 의미를 불멸성으로 이해하고, 『질마재 신화』에서 나타난, 영원불멸성이 보존되고 감각되는 미적 공동체의 성격을 밝히는 데 있다. 『질마재 신화』는 서정주의 신라기획의 연장선에 놓이는 것이다. 그것은 영원성 자체가 아닌 영원성의 ‘토대’ 내지 영원성을 향유할 수 있는 ‘문화적 풍토’에 대한 관심 가운데 산출된 것이다. 『질마재 신화』에서는 미적인 것만이 현실과 영원의 세계를 가로지를 수 있는 영역으로 제시되었으며, 그것은 배제가 아닌 통합의 원리로 기능했다. 『질마재 신화』에서 이미지의 형태로 향유된 영원불멸의 감각은 ‘부재’의 감각을 경유하는 것이었다. 이 부재의 감각은 동시에 영원불멸의 감각을 통해 뒷받침 된다. 질마재 사람들은 부재의 상황을 영원불멸성의 한 형태로 인식하고 대용의 감각을 통해 영원불멸성을 향유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질마재 신화』의 영원불멸성이 견고한 것은 아니다. 영원불멸에 대한 미래의 불확실성이 노출되는 등 미묘한 균열과 침식의 가능성이 시에 내재되어 있다. 서정주는 『질마재 신화』에서 신라를 영원불멸의 것으로 간직할 미적 공동체인 질마재를 창조하고, 동시에 사라져가는 질마재를 영원불멸의 것으로 간직할 또다른 미적 공동체를 요청하고 있었다. 이러한 까닭에 신화와 구술양식이 선택되었다. 『질마재 신화』는 주관적 확실성을 추구하는 현대적 주체의 성격을 보여준다. 서정주는 자기만의 세계를 구성하고 거기에 절대적 질서를 부여하여 통솔하고자 하는 현대적 주체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깊이의 실체보다는 깊이가 전해주는 ‘힘’에 매료되었던 서정주가 시로 구축한 질마재는 ‘밖’을 상상할 수 없는 미적 공동체이자 ‘안전한 자유’의 세계였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서정주의 영원성의 실질적 의미를 불멸성으로 이해하고, 『질마재 신화』에서 나타난, 영원불멸성이 보존되고 감각되는 미적 공동체의 성격을 밝히는 데 있다. 『질마재 신...

      이 글의 목적은 서정주의 영원성의 실질적 의미를 불멸성으로 이해하고, 『질마재 신화』에서 나타난, 영원불멸성이 보존되고 감각되는 미적 공동체의 성격을 밝히는 데 있다. 『질마재 신화』는 서정주의 신라기획의 연장선에 놓이는 것이다. 그것은 영원성 자체가 아닌 영원성의 ‘토대’ 내지 영원성을 향유할 수 있는 ‘문화적 풍토’에 대한 관심 가운데 산출된 것이다. 『질마재 신화』에서는 미적인 것만이 현실과 영원의 세계를 가로지를 수 있는 영역으로 제시되었으며, 그것은 배제가 아닌 통합의 원리로 기능했다. 『질마재 신화』에서 이미지의 형태로 향유된 영원불멸의 감각은 ‘부재’의 감각을 경유하는 것이었다. 이 부재의 감각은 동시에 영원불멸의 감각을 통해 뒷받침 된다. 질마재 사람들은 부재의 상황을 영원불멸성의 한 형태로 인식하고 대용의 감각을 통해 영원불멸성을 향유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질마재 신화』의 영원불멸성이 견고한 것은 아니다. 영원불멸에 대한 미래의 불확실성이 노출되는 등 미묘한 균열과 침식의 가능성이 시에 내재되어 있다. 서정주는 『질마재 신화』에서 신라를 영원불멸의 것으로 간직할 미적 공동체인 질마재를 창조하고, 동시에 사라져가는 질마재를 영원불멸의 것으로 간직할 또다른 미적 공동체를 요청하고 있었다. 이러한 까닭에 신화와 구술양식이 선택되었다. 『질마재 신화』는 주관적 확실성을 추구하는 현대적 주체의 성격을 보여준다. 서정주는 자기만의 세계를 구성하고 거기에 절대적 질서를 부여하여 통솔하고자 하는 현대적 주체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깊이의 실체보다는 깊이가 전해주는 ‘힘’에 매료되었던 서정주가 시로 구축한 질마재는 ‘밖’을 상상할 수 없는 미적 공동체이자 ‘안전한 자유’의 세계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울리히 벡, "자기만의 신" 길 1-309, 2013

      2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1-413, 1996

      3 이유경, "원형과 신화" 분석심리학연구소 1-240, 2008

      4 진창영, "우리 시의 신라정신과 노쟁의 생태주의" 국학자료원 1-349, 2008

      5 김수이, "서정주 시에 나타난 공동체와 이야기" 한국시학회 (43) : 9-40, 2015

      6 서정주, "서정주 문학 전집 3" 일지사 1-342, 1972

      7 서정주, "서정주 문학 전집 2" 일지사 1-330, 1972

      8 박철희, "서정주" 서강대학교출판부 1-214, 1998

      9 자크 랑시에르, "불화 : 정치와 철학" 길 159-162, 2015

      10 김용희, "미적 근대성의 해방적 가치와 새로운 타자성의 의미" 상허학회 17 : 299-326, 2006

      1 울리히 벡, "자기만의 신" 길 1-309, 2013

      2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1-413, 1996

      3 이유경, "원형과 신화" 분석심리학연구소 1-240, 2008

      4 진창영, "우리 시의 신라정신과 노쟁의 생태주의" 국학자료원 1-349, 2008

      5 김수이, "서정주 시에 나타난 공동체와 이야기" 한국시학회 (43) : 9-40, 2015

      6 서정주, "서정주 문학 전집 3" 일지사 1-342, 1972

      7 서정주, "서정주 문학 전집 2" 일지사 1-330, 1972

      8 박철희, "서정주" 서강대학교출판부 1-214, 1998

      9 자크 랑시에르, "불화 : 정치와 철학" 길 159-162, 2015

      10 김용희, "미적 근대성의 해방적 가치와 새로운 타자성의 의미" 상허학회 17 : 299-326, 2006

      11 조연현, "미당연구" 민음사 1-536, 1994

      12 이수정, "미당시의 현대성과 불멸성 시학" 국학자료원 1-249, 2007

      13 서정주, "미당 시전집 1" 민음사 1-508, 2010

      14 서정주, "미당 서정주 전집 6" 은행나무 1-369, 2016

      15 장-뤽 낭시, "무위의 공동체" 인간사랑 1-285, 2010

      16 정혜욱, "랑시에르의 미학적 공동체와 ‘따로․함께’의 역설" 한국비평이론학회 18 (18): 189-217, 2013

      17 조현설, "동아시아의 돌 신화와 여신 서사의 변형 - 모석(母石)·기자석(祈子石)·망부석(望夫石)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36 : 1-32, 2013

      18 박세길, "다시 쓰는 한국현대사 2" 돌베개 1-314, 1995

      19 정영진,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반교어문학회 (41) : 553-583, 2015

      20 송기한, "근대성과 ‘소통’의 공간으로서의 『질마재 神話』" 한민족어문학회 61 : 553-584, 2012

      21 자크 랑시에르, "감성의 분할" 도서출판 b 1-159,

      22 윤재웅, "『질마재신화』에 나타나는 ‘액션’ 미학" 동악어문학회 61 : 367-396, 2013

      23 송영순, "『질마재 신화』의 신화성과 카니발리즘"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 : 71-86, 2006

      24 김수이, "『질마재 신화』에 나타난 공동체의 상상력 - 민간신앙을 경유하여 -" 한국문학연구소 (48) : 181-218, 2015

      25 최현식, "‘질마재’의 역사성과 장소성 - 산문과 자전(自傳)의 낙차" 한국시학회 (43) : 139-175, 2015

      26 남기혁, "‘신라정신’의 번안으로서의 『질마재 신화』와 그 윤리적 의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101-132, 2014

      27 정끝별, "<질마재신화>에 나타난 '비천함(Abjection)'의 상상력" 한국시학회 15 : 37-61, 2006

      28 정영진, "1950년대 가난과 보수주의 시학-서정주 시의 미적 이데올로기와 시장경제의 원리-" 동악어문학회 (64) : 105-13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