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울리히 벡, "자기만의 신" 길 1-309, 2013
2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1-413, 1996
3 이유경, "원형과 신화" 분석심리학연구소 1-240, 2008
4 진창영, "우리 시의 신라정신과 노쟁의 생태주의" 국학자료원 1-349, 2008
5 김수이, "서정주 시에 나타난 공동체와 이야기" 한국시학회 (43) : 9-40, 2015
6 서정주, "서정주 문학 전집 3" 일지사 1-342, 1972
7 서정주, "서정주 문학 전집 2" 일지사 1-330, 1972
8 박철희, "서정주" 서강대학교출판부 1-214, 1998
9 자크 랑시에르, "불화 : 정치와 철학" 길 159-162, 2015
10 김용희, "미적 근대성의 해방적 가치와 새로운 타자성의 의미" 상허학회 17 : 299-326, 2006
1 울리히 벡, "자기만의 신" 길 1-309, 2013
2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1-413, 1996
3 이유경, "원형과 신화" 분석심리학연구소 1-240, 2008
4 진창영, "우리 시의 신라정신과 노쟁의 생태주의" 국학자료원 1-349, 2008
5 김수이, "서정주 시에 나타난 공동체와 이야기" 한국시학회 (43) : 9-40, 2015
6 서정주, "서정주 문학 전집 3" 일지사 1-342, 1972
7 서정주, "서정주 문학 전집 2" 일지사 1-330, 1972
8 박철희, "서정주" 서강대학교출판부 1-214, 1998
9 자크 랑시에르, "불화 : 정치와 철학" 길 159-162, 2015
10 김용희, "미적 근대성의 해방적 가치와 새로운 타자성의 의미" 상허학회 17 : 299-326, 2006
11 조연현, "미당연구" 민음사 1-536, 1994
12 이수정, "미당시의 현대성과 불멸성 시학" 국학자료원 1-249, 2007
13 서정주, "미당 시전집 1" 민음사 1-508, 2010
14 서정주, "미당 서정주 전집 6" 은행나무 1-369, 2016
15 장-뤽 낭시, "무위의 공동체" 인간사랑 1-285, 2010
16 정혜욱, "랑시에르의 미학적 공동체와 ‘따로․함께’의 역설" 한국비평이론학회 18 (18): 189-217, 2013
17 조현설, "동아시아의 돌 신화와 여신 서사의 변형 - 모석(母石)·기자석(祈子石)·망부석(望夫石)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36 : 1-32, 2013
18 박세길, "다시 쓰는 한국현대사 2" 돌베개 1-314, 1995
19 정영진,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반교어문학회 (41) : 553-583, 2015
20 송기한, "근대성과 ‘소통’의 공간으로서의 『질마재 神話』" 한민족어문학회 61 : 553-584, 2012
21 자크 랑시에르, "감성의 분할" 도서출판 b 1-159,
22 윤재웅, "『질마재신화』에 나타나는 ‘액션’ 미학" 동악어문학회 61 : 367-396, 2013
23 송영순, "『질마재 신화』의 신화성과 카니발리즘"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 : 71-86, 2006
24 김수이, "『질마재 신화』에 나타난 공동체의 상상력 - 민간신앙을 경유하여 -" 한국문학연구소 (48) : 181-218, 2015
25 최현식, "‘질마재’의 역사성과 장소성 - 산문과 자전(自傳)의 낙차" 한국시학회 (43) : 139-175, 2015
26 남기혁, "‘신라정신’의 번안으로서의 『질마재 신화』와 그 윤리적 의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101-132, 2014
27 정끝별, "<질마재신화>에 나타난 '비천함(Abjection)'의 상상력" 한국시학회 15 : 37-61, 2006
28 정영진, "1950년대 가난과 보수주의 시학-서정주 시의 미적 이데올로기와 시장경제의 원리-" 동악어문학회 (64) : 105-136,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