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케이드라마 인 더 트랩 - 삼국 합작 웹드라마 <드라마월드(Dramaworld)>를 중심으로 - = K - Drama in the Trap : Focusing on Trilateral Joint Web Drama Dramawor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40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ramaworld is a Web Drama produced by jointing the human resources and capital of thre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Korea. This bilingual drama delivered worldwide via Viki, a global video streaming platform, consists of a total of 10 episodes. However, because each episode is just over 15 minutes, the overall running time does not take no longer than an hour. Dramaworld is fantasy on adventures that Claire-an American college girl fascinated by Korean Television Dramas or ‘K-Dramas’-enters in the world of the drama she regularly watches. This drama almost fully shows a cliche regarded as embarrassment of Korean Television Dramas. In addition, it is compiled as a handbook with the same title of this drama Dramaworld to wittily satirize ‘Laws’ of Korean Television Dramas.
      In light of the script, directing, and the career of the main actors and actresses, Dramaworld is a trilateral joint drama.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is a drama created by the United States and Americans. From this perspectiv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Dramaworld is the production of Orientalism edited with a focus on Korean screens captured newly and strangely to the viewpoints of the United States and Americans. Dramaworld has a series of scenes open to censure with the expression of ‘Makjang(over-the-top)’ even in Korea. Dramaworld, which can be regarded as a truce face of Korean Television Dramas, clearly shows an immediate environment of Korea as transnational culture contents in the age of glocal televis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Dramaworld is a drama to provoke serious and severe self-reflection as a clear sign that Korean Television Dramas considered as a leading character of the Korean Wave(韓流) can be a just fleeting preference suitable for the fond of novelty of the West and Westerners.
      번역하기

      Dramaworld is a Web Drama produced by jointing the human resources and capital of thre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Korea. This bilingual drama delivered worldwide via Viki, a global video streaming platform, consists of a total of...

      Dramaworld is a Web Drama produced by jointing the human resources and capital of thre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Korea. This bilingual drama delivered worldwide via Viki, a global video streaming platform, consists of a total of 10 episodes. However, because each episode is just over 15 minutes, the overall running time does not take no longer than an hour. Dramaworld is fantasy on adventures that Claire-an American college girl fascinated by Korean Television Dramas or ‘K-Dramas’-enters in the world of the drama she regularly watches. This drama almost fully shows a cliche regarded as embarrassment of Korean Television Dramas. In addition, it is compiled as a handbook with the same title of this drama Dramaworld to wittily satirize ‘Laws’ of Korean Television Dramas.
      In light of the script, directing, and the career of the main actors and actresses, Dramaworld is a trilateral joint drama.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is a drama created by the United States and Americans. From this perspectiv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Dramaworld is the production of Orientalism edited with a focus on Korean screens captured newly and strangely to the viewpoints of the United States and Americans. Dramaworld has a series of scenes open to censure with the expression of ‘Makjang(over-the-top)’ even in Korea. Dramaworld, which can be regarded as a truce face of Korean Television Dramas, clearly shows an immediate environment of Korea as transnational culture contents in the age of glocal televis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Dramaworld is a drama to provoke serious and severe self-reflection as a clear sign that Korean Television Dramas considered as a leading character of the Korean Wave(韓流) can be a just fleeting preference suitable for the fond of novelty of the West and Weste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드라마월드>는 미국․중국․한국 등 삼국의 인력과 자본이 합작하여 만든 웹드라마이다. 글로벌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비키’를 통해 전 세계로 제공되는 이 이중어 드라마는 총10회에 달하지만, 15분 남짓의 짧은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 러닝타임 역시 채 세 시간이 되지 않는다. <드라마월드>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즉 ‘케이드라마’에 심취한 미국 여대생 클레어가 자신이 애청하던 드라마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겪는 모험을 다룬 환상물이다. 드라마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치부로 여겨지던 진부한 클리셰를 거의 빠짐없이 선보인다. 그리고 그것은 『드라마월드』라는 드라마의 제목과 동일한 핸드북으로 집대성되어,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법칙’을 재기발랄하게 꼬집는다.
      극본과 연출과 주요 배우군의 이력을 감안했을 때, <드라마월드>는 삼국 합작이지만 사실상 미국(인)에 의해 제작된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드라마월드>는 미국(인)의 시선에 신이하게 포착된 한국의 화면 위주로 편집된 오리엔탈리즘의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드라마월드>는 정작 한국에서조차 ‘막장’이라는 표현과 더불어 비난을 면치 못하는 장면들로 점철되어 있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민낯이라고 할 수 있는 <드라마월드>는 21세기 글로컬 텔레비전의 시대에 초국적 문화콘텐츠로서 한국의 그것이 처한 현재를 여실히 보여준다. <드라마월드>는 한류를 이끄는 주역으로 간주되어 온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실은 서양(인)의 독특한 이색 취향에 맞춤하게 부합한 잠시 잠깐의 기호품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는 명백한 표징으로서 심각하고 진지한 자성을 환기시키는 드라마이다.
      번역하기

      <드라마월드>는 미국․중국․한국 등 삼국의 인력과 자본이 합작하여 만든 웹드라마이다. 글로벌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비키’를 통해 전 세계로 제공되는 이 이중어 드라마는 ...

      <드라마월드>는 미국․중국․한국 등 삼국의 인력과 자본이 합작하여 만든 웹드라마이다. 글로벌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비키’를 통해 전 세계로 제공되는 이 이중어 드라마는 총10회에 달하지만, 15분 남짓의 짧은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 러닝타임 역시 채 세 시간이 되지 않는다. <드라마월드>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즉 ‘케이드라마’에 심취한 미국 여대생 클레어가 자신이 애청하던 드라마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겪는 모험을 다룬 환상물이다. 드라마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치부로 여겨지던 진부한 클리셰를 거의 빠짐없이 선보인다. 그리고 그것은 『드라마월드』라는 드라마의 제목과 동일한 핸드북으로 집대성되어,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법칙’을 재기발랄하게 꼬집는다.
      극본과 연출과 주요 배우군의 이력을 감안했을 때, <드라마월드>는 삼국 합작이지만 사실상 미국(인)에 의해 제작된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드라마월드>는 미국(인)의 시선에 신이하게 포착된 한국의 화면 위주로 편집된 오리엔탈리즘의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드라마월드>는 정작 한국에서조차 ‘막장’이라는 표현과 더불어 비난을 면치 못하는 장면들로 점철되어 있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민낯이라고 할 수 있는 <드라마월드>는 21세기 글로컬 텔레비전의 시대에 초국적 문화콘텐츠로서 한국의 그것이 처한 현재를 여실히 보여준다. <드라마월드>는 한류를 이끄는 주역으로 간주되어 온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실은 서양(인)의 독특한 이색 취향에 맞춤하게 부합한 잠시 잠깐의 기호품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는 명백한 표징으로서 심각하고 진지한 자성을 환기시키는 드라마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자크 랑시에르, "해방된 관객" 현실문화 1-247, 2016

      2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의 越境 혹은 交遊 - 일본 원작의 한국 리메이크를 중심으로 -" 일본학연구소 41 : 339-367, 2015

      3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한류 담론- 한류 진화론과 위기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45 : 337-368, 2013

      4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엔딩 컷-미니시리즈 <신의 선물-14일>과 <밀회>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8) : 361-388, 2015

      5 강명구, "중국 텔레비전 시청자의 드라마 소비 취향 지도" 한국방송공사 25 (25): 197-233, 2013

      6 홍석경,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한울 [파주] 1-357, 2013

      7 홍석경, "세계화 과정 속 디지털 문화 현상으로서의 한류: 프랑스에서 바라본 한류의 세계적 소비에 대한 이론적 고찰" 언론정보연구소 50 (50): 157-192, 2013

      8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1-483, 2012

      9 월터 D. 미뇰로, "로컬 히스토리/글로벌 디자인" 에코리브르 1-640, 2013

      10 박노현, "드라마, 시학을 만나다" 휴머니스트 1-383, 2009

      1 자크 랑시에르, "해방된 관객" 현실문화 1-247, 2016

      2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의 越境 혹은 交遊 - 일본 원작의 한국 리메이크를 중심으로 -" 일본학연구소 41 : 339-367, 2015

      3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한류 담론- 한류 진화론과 위기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45 : 337-368, 2013

      4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엔딩 컷-미니시리즈 <신의 선물-14일>과 <밀회>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8) : 361-388, 2015

      5 강명구, "중국 텔레비전 시청자의 드라마 소비 취향 지도" 한국방송공사 25 (25): 197-233, 2013

      6 홍석경,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한울 [파주] 1-357, 2013

      7 홍석경, "세계화 과정 속 디지털 문화 현상으로서의 한류: 프랑스에서 바라본 한류의 세계적 소비에 대한 이론적 고찰" 언론정보연구소 50 (50): 157-192, 2013

      8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1-483, 2012

      9 월터 D. 미뇰로, "로컬 히스토리/글로벌 디자인" 에코리브르 1-640, 2013

      10 박노현, "드라마, 시학을 만나다" 휴머니스트 1-383, 2009

      11 원용진, "동아시아 정체성 형성과 ‘한류’" 한양대 평화연구소 2 (2): 1-25, 2015

      12 양은경, "동아시아 문화정체성의 형성과 텔레비전의 소비: 배용준의 일본 팬 커뮤니티 가족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0 (20): 198-238, 2006

      13 레이먼드 윌리엄스, "기나긴 혁명" 문학동네 1-531, 2007

      14 아르준 아파두라이, "고삐 풀린 현대성" 현실문화연구 1-383,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