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안면 스캔을 활용한 단계적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 Stepwise fixed prosthetic restoration using facial scan in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patient: a case re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704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often leads to excessive overjet due to differences in arch growth, and in some cases, an unstable contact poi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can result in deep bite. When the relationship of anterior teeth is unstable, the extruded height of the mandibular incisors must be adjusted, followed by restora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During this process, an interim restoration period is necessary to evaluate aesthetics, phonetics, and function of the anterior teeth, and if extractions and implants are involved, the restoration steps may increase. In this case, facial scan was utilized to obtain extraoral data for stepwise fabrication of provisional restorations, ultimately transitioning them into final restorations. This approach aimed to improve both function and aesthetics for the patient, who required multiple implants and fixed prostheses on natural teeth, including in the anterior region.
      번역하기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often leads to excessive overjet due to differences in arch growth, and in some cases, an unstable contact poi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can result in deep bite. When the relationship of anterior teeth is unstable, th...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often leads to excessive overjet due to differences in arch growth, and in some cases, an unstable contact poi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can result in deep bite. When the relationship of anterior teeth is unstable, the extruded height of the mandibular incisors must be adjusted, followed by restora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During this process, an interim restoration period is necessary to evaluate aesthetics, phonetics, and function of the anterior teeth, and if extractions and implants are involved, the restoration steps may increase. In this case, facial scan was utilized to obtain extraoral data for stepwise fabrication of provisional restorations, ultimately transitioning them into final restorations. This approach aimed to improve both function and aesthetics for the patient, who required multiple implants and fixed prostheses on natural teeth, including in the anterior re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는 악궁의 성장 차이로 인해 과도한 수평피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악 전치가 안정적인 접촉점을 형성하지 못하면 과개 교합이 발생하며, 전치부의 심미와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수복을 통해 과개 교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출된 하악 전치의 높이를 조정한 후, 이에 맞춰서 상악 전치의 위치와 길이를 결정해야 한다. 이때 전치부의 심미, 발음과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임시 수복 기간을 거쳐야 하며, 발치와 임플란트 치료가 동반될 경우 수복 단계가 늘어날 수 있다. 본 환자는 전치부를 포함한 다수의 임플란트와 자연 치아의 고정성 보철 수복을 위해 안면 스캔을 활용하였다. 구강 외 정보를 기반으로 임시 보철물을 단계적으로 제작하고 이를 최종 보철물로 전환함으로써, 기능과 심미를 향상시키고자 했다.
      번역하기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는 악궁의 성장 차이로 인해 과도한 수평피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악 전치가 안정적인 접촉점을 형성하지 못하면 과개 교합이 발생하며, 전치부의 심미...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는 악궁의 성장 차이로 인해 과도한 수평피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악 전치가 안정적인 접촉점을 형성하지 못하면 과개 교합이 발생하며, 전치부의 심미와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수복을 통해 과개 교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출된 하악 전치의 높이를 조정한 후, 이에 맞춰서 상악 전치의 위치와 길이를 결정해야 한다. 이때 전치부의 심미, 발음과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임시 수복 기간을 거쳐야 하며, 발치와 임플란트 치료가 동반될 경우 수복 단계가 늘어날 수 있다. 본 환자는 전치부를 포함한 다수의 임플란트와 자연 치아의 고정성 보철 수복을 위해 안면 스캔을 활용하였다. 구강 외 정보를 기반으로 임시 보철물을 단계적으로 제작하고 이를 최종 보철물로 전환함으로써, 기능과 심미를 향상시키고자 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