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스마트매체와 결합된 일상 활동장소 정보를 이용한 도시 이동성 변화 = Changes in the Urban Mobility by Utilizing Activity Place Information for Everyday Life Integrated with Smart Media: Based on the Media Panel Diary Dat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의 일상생활이 정보통신기술과 결합되면서 나타나는 도시 이동성의 변화를 파악한다. 특히 정보화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시를 사례로 도시 이동성이 반영되는 도시민의 일상생활 과정에 방문하게 되는 활동장소 및 장소이동을 위한 교통이용행태의 시간적 변화를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민이 일상생활 중 접하는 미디어의 이용행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미디어패널조사의 2011-2017년 다이어리데이터를 활용한다. 도시민의 일상생활의 활동장소는 거주지, 오피스, 상업시설과 장소이동을 담당하는 교통으로 구분하고 하루 15분 단위 시간 축을 따라 각 활동장소에 머무는 인구율에 나타나는 동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한다. 또한 활동장소와 스마트매체 사용 간의 관계 변화를 대응분석 결과의 포지셔닝 맵의 위치 변화를 통해 파악하고, 특히 활동장소 중 교통공간은 개인교통, 대중교통, 환승 및 대기 공간으로 구분하여 스마트매체 이용행태의 변화를 파악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의 일상생활이 정보통신기술과 결합되면서 나타나는 도시 이동성의 변화를 파악한다. 특히 정보화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시를 사례로 도시 이동성이 반영...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의 일상생활이 정보통신기술과 결합되면서 나타나는 도시 이동성의 변화를 파악한다. 특히 정보화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시를 사례로 도시 이동성이 반영되는 도시민의 일상생활 과정에 방문하게 되는 활동장소 및 장소이동을 위한 교통이용행태의 시간적 변화를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민이 일상생활 중 접하는 미디어의 이용행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미디어패널조사의 2011-2017년 다이어리데이터를 활용한다. 도시민의 일상생활의 활동장소는 거주지, 오피스, 상업시설과 장소이동을 담당하는 교통으로 구분하고 하루 15분 단위 시간 축을 따라 각 활동장소에 머무는 인구율에 나타나는 동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한다. 또한 활동장소와 스마트매체 사용 간의 관계 변화를 대응분석 결과의 포지셔닝 맵의 위치 변화를 통해 파악하고, 특히 활동장소 중 교통공간은 개인교통, 대중교통, 환승 및 대기 공간으로 구분하여 스마트매체 이용행태의 변화를 파악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atch hold of the changes in the urban mobility due to the integration of everyday urban life with smart media.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urbanites’ traveling behavior among activity places for their every day lives in Seoul. For the purpose we analyze the last 7 years Media Panel diary data reporting what do they with which media at where(activity place) per every fifteen minutes during three days per year. We categorize activity places to four groups(residence, work, commerce, transportation), and then calculate the ratio of population staying at each activity place along the daily time axis for seen year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changes in the ratios during the period as well as the peak times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s. By utilizing correspondence analysis, we als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ctivity places and smart media use. The result reveals significant association transportation and commercial place with smart phone, and also their relationships have gotten stronger. We observe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 urban mobility in Seoul during the last 7 yea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catch hold of the changes in the urban mobility due to the integration of everyday urban life with smart media.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urbanites’ traveling behavior among activity places for t...

      This study aims to catch hold of the changes in the urban mobility due to the integration of everyday urban life with smart media.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urbanites’ traveling behavior among activity places for their every day lives in Seoul. For the purpose we analyze the last 7 years Media Panel diary data reporting what do they with which media at where(activity place) per every fifteen minutes during three days per year. We categorize activity places to four groups(residence, work, commerce, transportation), and then calculate the ratio of population staying at each activity place along the daily time axis for seen year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changes in the ratios during the period as well as the peak times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s. By utilizing correspondence analysis, we als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ctivity places and smart media use. The result reveals significant association transportation and commercial place with smart phone, and also their relationships have gotten stronger. We observe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 urban mobility in Seoul during the last 7 yea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데이터 및 분석틀
      • 3. 도시민의 일상생활을 위한 활동장소 이동의 역동성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데이터 및 분석틀
      • 3. 도시민의 일상생활을 위한 활동장소 이동의 역동성
      • 4. 도시 이동성 변화 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