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춘천 지역에서 산사태를 일으키는 강우강도와 지속시간의 임계치와 누적강우량과 지속시간의 임계치를 구하고, 그에 대한 검증을 통해 최적 임계치를 구하는 것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63560
2018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669-689(2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춘천 지역에서 산사태를 일으키는 강우강도와 지속시간의 임계치와 누적강우량과 지속시간의 임계치를 구하고, 그에 대한 검증을 통해 최적 임계치를 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춘천 지역에서 산사태를 일으키는 강우강도와 지속시간의 임계치와 누적강우량과 지속시간의 임계치를 구하고, 그에 대한 검증을 통해 최적 임계치를 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우 이벤트의 정의를 주관적 정의, 24시간 무강수 기간 기준의 총 누적강우량을 반영한 강우 이벤트 정의, 24시간 무강수 기간 기준의 시간최대강우량 발생시점까지의 누적강우량을 반영한 강우 이벤트 정의의 3가지로 나누고, 분위회귀분석 방법으로 춘천 지역의 산사태 발생에 대한 2퍼센타일과 10퍼센타일의 임계치 식을 구하였다. 임계치에 대한 검증을 위해 Contingency Table과 Skill Score 값을 분석한 결과, 24시간 무강수 기간의 총 누적강우량에 대한 누적강우량과 지속시간의 2퍼센타일 임계치(E=73.915D<SUP>0.2046</SUP>, 22≤D≤231)가 최적의 임계치로 도출되었다. 그 다음으로 동일한 강우 이벤트 정의에서 구한 강우강도와 지속시간의 2퍼센타일 임계치(I=75.423D<SUP>-0.798</SUP>, 22≤D ≤231)가 2번째로 최적인 임계치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로컬 스케일의 강우 임계치 연구에서 누적강우량과 지속시간의 임계치가 강우강도와 지속시간의 임계치보다 산사태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예측 정확성을 높이고, 산사태 오경보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판별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산사태 발생여부 및 산사태 발생지점수와 강우요소와의 상관분석 결과에서 누적강우량과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고, 강우강도와의 상관계수가 가장 낮은 것에서도 누적강우량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산사태 발생유무는 강우지속시간보다 시간최대강우량과의 상관성이 더 높았고, 산사태 발생지점수는 시간최대강우량보다 강우지속시간과의 상관성이 높았다. 춘천지역의 강우 임계치를 대한민국 전역의 임계치와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보다 긴 강우지속시간, 더 많은 누적강우량에서 산사태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ntensity-duration thresholds and cumulative rainfall-duration thresholds for triggering landslides in Chuncheon, Korea, and to find the optimal threshold value through verification. For the purpose, we defi...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ntensity-duration thresholds and cumulative rainfall-duration thresholds for triggering landslides in Chuncheon, Korea, and to find the optimal threshold value through verification. For the purpose, we defined the definition of rainfall event as the subjective definition, total cumulative rainfall event after over 24-hour non-rainfall period, and cumulative rainfall until the hourly maximum rainfall after over 24-hour non-rainfall period. And 2 percentile and 10 percentile rainfall thresholds in chuncheon region were established, using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ntingency Table and the Skill Score value for the validation of the threshold value, cumulative rainfall-duration thresholds that reflect total cumulative event rainfall after over 24-hour non-rainfall period (E=73.915D<SUP>0.2046</SUP>, 22≤D≤231) was derived as the most optimal threshold value. Next,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 (I=75.423D<SUP>-0.798</SUP>, 22≤D≤231) obtained from the same rainfall event definition was derived as the second most optimal threshold. Therefore, in the study of the rainfall threshold of the local scale, the cumulative rainfall-duration threshold is the optimum discrimination condition which can increase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possibility of landslide occurrence and minimize the possibility of the landslide false alarm than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 This shows that cumulative rainfall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occurrence of landslides or number of landslides and rainfall factor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rainfall intensity is the lowest.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landslides was more correlated with the hourly maximum rainfall than rainfall duration, and the number of landslides was more correlated with rainfall duration than the hourly maximum rainfall. Landslides in Chuncheon began to occur in longer rainfall durations and more cumulative rainfall in comparison with the threshold values throughout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효섭, "풍화토 종류와 사면파괴 유형에 따른 위험수준별 산사태 유발 강우규준에 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6 (16): 341-350, 2016
2 기상청, "지진발생추이"
3 김석우, "우리나라에 있어서 산사태 유발강우의 강도-지속시간 한계" 한국산림과학회 102 (102): 463-466, 2013
4 박준영, "연속강우 기반의 광역도시 산사태 예⋅경보 모델 개발" 한국방재학회 18 (18): 99-111, 2018
5 홍문현, "선행강우를 고려한 산사태 유발 강우기준(ID curve)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32 (32): 15-27, 2016
6 이지성,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최적 강우 한계선 개발" 한국방재학회 17 (17): 333-340, 2017
7 오정림,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유발 강우기준 연구" 한국방재학회 14 (14): 115-129, 2014
8 이지성, "사면파괴 유형별 강우 한계선 설정" 한국지반공학회 30 (30): 5-14, 2014
9 Guzzetti, F.,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an update" 5 (5): 3-17, 2008
10 Caine, N., "The Rainfall Intensity: 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62 (62): 23-27, 1980
1 강효섭, "풍화토 종류와 사면파괴 유형에 따른 위험수준별 산사태 유발 강우규준에 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6 (16): 341-350, 2016
2 기상청, "지진발생추이"
3 김석우, "우리나라에 있어서 산사태 유발강우의 강도-지속시간 한계" 한국산림과학회 102 (102): 463-466, 2013
4 박준영, "연속강우 기반의 광역도시 산사태 예⋅경보 모델 개발" 한국방재학회 18 (18): 99-111, 2018
5 홍문현, "선행강우를 고려한 산사태 유발 강우기준(ID curve)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32 (32): 15-27, 2016
6 이지성,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최적 강우 한계선 개발" 한국방재학회 17 (17): 333-340, 2017
7 오정림,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유발 강우기준 연구" 한국방재학회 14 (14): 115-129, 2014
8 이지성, "사면파괴 유형별 강우 한계선 설정" 한국지반공학회 30 (30): 5-14, 2014
9 Guzzetti, F.,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an update" 5 (5): 3-17, 2008
10 Caine, N., "The Rainfall Intensity: 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62 (62): 23-27, 1980
11 Saito, H.,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tion of a shallow landslide and 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s in Japan" 118 (118): 167-175, 2010
12 Crosta, G., "Regionalization of rainfall thresholds:an aid to landslide hazard evaluation" 35 (35): 131-145, 1998
13 Brunetti, M. T., "Rainfall thresholds for the possible occurrence of landslides in Italy" 10 (10): 447-458, 2010
14 Peruccacci, S., "Rainfall thresholds for possible landslide occurrence in Italy" 290 : 39-57, 2017
15 Zhou, W., "Rainfall thresholds for debris flow initiation in the Wenchuan earthquake-stricken area, southwestern China" 11 (11): 877-887, 2014
16 Martinović, K., "Rainfall thresholds as a landslide indicator for engineered slopes on the Irish Rail network" 306 : 40-50, 2018
17 Ma, T., "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s for the initiation of landslides in Zhejiang Province, China" 245 : 193-206, 2015
18 Chen, C.,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ditions for mass movements in Taiwan" 2 (2): 14-, 2015
19 Cannon, S. H., "Rainfall conditions for abundant debris avalanches, San Francisco Bay region, California" 38 (38): 267-272, 1985
20 Koenker, R., "Quantile Regression in R: A Vignette"
21 Giannecchini, R., "Probabilistic rainfall thresholds for triggering debris f lows in a humanmodified landscape" 257 : 94-107, 2016
22 Berti, M., "Probabilistic rainfall thresholds for landslide occurrence using a Bayesian approach" 117 : 1-20, 2012
23 Staley, D. M., "Prediction of spatially explicit 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s for post-fire debris-flow generation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278 : 149-162, 2017
24 Hanssen, A. 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rain and various meteorological parameters" Koninklijk Nederlands Meteorologisch Institut 2-15, 1965
25 Jibson, R. W., "Landslide processes of the Eastern United States and Puerto Rico"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9-55, 1989
26 Nikolopoulos, E. I., "Impact of uncertainty in rainfall estima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rainfall thresholds for debris flow occurrence" 221 : 286-297, 2014
27 Petley, D., "Geomorphological Hazards and Disaster Preven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74, 2010
28 Piciullo, L., "Definition and performance of a thresholdbased regional early warning model for rainfallinduced landslides" 14 (14): 995-1008, 2017
29 Jan, C., "Debris-flow Hazards and Related Phenomena" Springer Berlin Heidelberg 539-563, 2005
30 Kanji, M., "Debris flows in areas of residual soils: occurrence and characteristics" 2003
31 Innes, J. L., "Debris flows" 7 (7): 469-501, 1983
32 Wieczorek, G. F., "Debris Flows/Avalanche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87
33 Tang, C., "Catastrophic debris flows on 13 August 2010 in the Qingping area, southwestern China: The combined effects of a strong earthquake and subsequent rainstorms" 139-140 : 559-576, 2012
34 Gariano, S. L.,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rainfall thresholds for shallow landslide forecasting in Sicily, southern Italy" 228 : 653-665, 2015
35 Frattini, P., "Approaches for defining thresholds and return periods for rainfall-triggered shallow landslides" 23 (23): 1444-1460, 2009
36 Aleotti, P., "A warning system for rainfall-induced shallow failures" 73 (73): 247-265, 2004
남북한 정치지도자들의 스펙터클 정치와 새로운 ‘국가-자연’의 생산
냉전의 진열과 쇼핑: DMZ 전망대를 통해 살펴본 냉전경관의 구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4 | 1.14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3 | 1.701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