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이(異)언어와 새로운 환경에 처음으로 접하는 순간부터 그 환경적응의 일환으로 어려울 언어훈련(發聲方法)이 시작된다. 구두언어학습으로 어느 정도는 달성되어 진다. 세계에는 279...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누구나 이(異)언어와 새로운 환경에 처음으로 접하는 순간부터 그 환경적응의 일환으로 어려울 언어훈련(發聲方法)이 시작된다. 구두언어학습으로 어느 정도는 달성되어 진다. 세계에는 279...
누구나 이(異)언어와 새로운 환경에 처음으로 접하는 순간부터 그 환경적응의 일환으로 어려울 언어훈련(發聲方法)이 시작된다. 구두언어학습으로 어느 정도는 달성되어 진다.
세계에는 2796종의 언어가 있다지만 그 중에서 8개어만 알고 있으면 어디가도 불편하지 않다고 한다. (영어, 불어,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칼어, 이태리어, 러시아어, 일본어) 그런데 일본어, 한국어, 몽골어, 터어키어 등은 그 어순이 비슷할 뿐만 아니라 동일문화권이다. 특히 한국, 일본, 대만, 중국은 그 유사성에서 근접언어이고 그 근원을 같이한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은 한자도입 과정에서 각기 다른 해독과 부호·조립·약자 등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언어사회학적 입장에서 언어통일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런데 통일원리인 원리강론 6장에서는 금후의 문제로 언어혼잡에서 본 재림 뒤의 문제로 언어통일을 지적하고 있다.
과연 언어통일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
이것은 아마 언어의 구조적 통일보다는 구두발성훈련으로 고정발성습관으로부터 벗어나는 데서부터 접근해 가야 할 것이다.
문선명 목사는 1992년까지 한글을 마스터하라고 명령했다. 모든 40세 이내의 신자 및 목회자, 교역자. 기타 관계자에게 필수과제로 한글학습을 지시했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부분적이나마 일본의 통일교식구들을 대상으로 1989년부터 1990년까지 2년간 한글 지도과정에서 나타난 난점을 밝히고 1992년부터 한글이 국제어로서의 등장과 신앙적 의미에서의 언어통일의 가능성을 타진하려는 데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