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가정 증가에 따른 한국 사회통합 정책 연구 = 중국과 싱가포르의 상호성 원리의 한국 사회에 적용가능성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가정의 증대에 따른 한국사회의 통합의 원리를 서구의 다문화주의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동안 다민족국가를 유지해왔던 중국과 싱가포르의 다민족 통합사례인 ‘상호성의 원리’를 찾아 적용하였다.
      싱가포르와 중국의 다민족적 역사는 비록, 국가주의적 사회주의적 통합의 성격이 강하지만, 이들 양국의 소수민족정책을 면면히 살펴보면, 그 속엔 민족과 인종을 구분하지 않고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존중하며 공존하는 다문화적 사회통합이라 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칙’이 나타나고 있다.
      싱가포르는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와 기타 민족으로 구성된 다인종국가이지만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이루고 있다. 그 첫 번째는 싱가포르 사회의 구성원이 사회적 성공을 향유하기 위한 조건으로 ‘민족에 상관없이 실력우선’을 취해 다인종적 위계질서를 지양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이중 언어와 종합교육정책을 통해 여러 민족이 공존하는 사회통합정책을 적극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공공주택정책을 통해 국가의 경제성장에 따른 이익을 경제적 소외자와 각 민족에게 골고루 나누어 사회통합의 장애를 제거하였다는 점이다.
      싱가포르의 민족과 인종, 종교를 구분하지 않는 동등대우 그리고 교육과 언어정책의 공평성, 경제적 형평성의 유지정책은 한국에 이주해온 외국인들과 그 자녀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향후 한국사회에 생산적 주체로 양성되는데 좋은 사례가 된다.
      한편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국가로 당고조 2년(619년)에 만들어진 민족정책의 기본원칙조서와 追中前弊(추중전폐), 당태종의 夷夏一家(이하일가), 오늘날 중국정부의 當家作主(당가작주) 등에서 민족자치구역의 전통이 있어 오랜 역사동안 소수민족이 민족적 특수성을 유지한 채 중국 사회와 융화된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리’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역대 정책에 나타난 ‘상호성의 원리’를 한국사회의 통합정책에 적용한다면 한국어 교육만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주민 집단거주지에 다문화가정 자녀가 원한다면 부모나라의 문화와 모국어를 교육받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교육기관에서도 한국인을 대상으로 초ㆍ중등 교과에 사회연구(Social Studies) 과목을 설치하는 등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을 강화하여 외국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등 상호간의 문화이해를 확대한다.
      그 외에 제도적 장치 안에 결혼이민자들이 적극적으로 의사표명을 할 수 있는 공식 체널(예를 들어,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에 자조집단을 마련하고 지도자를 양성하여, 이들의 목소리를 국가 및 지방정부의 기관에 전달하는 채널)을 마련하는 것도 향후에 고려해 볼 다문화적 사회통합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가정의 증대에 따른 한국사회의 통합의 원리를 서구의 다문화주의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동안 다민족국가를 유지해왔던 중국과 싱가포르의 다민족 통합사...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가정의 증대에 따른 한국사회의 통합의 원리를 서구의 다문화주의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동안 다민족국가를 유지해왔던 중국과 싱가포르의 다민족 통합사례인 ‘상호성의 원리’를 찾아 적용하였다.
      싱가포르와 중국의 다민족적 역사는 비록, 국가주의적 사회주의적 통합의 성격이 강하지만, 이들 양국의 소수민족정책을 면면히 살펴보면, 그 속엔 민족과 인종을 구분하지 않고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존중하며 공존하는 다문화적 사회통합이라 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칙’이 나타나고 있다.
      싱가포르는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와 기타 민족으로 구성된 다인종국가이지만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이루고 있다. 그 첫 번째는 싱가포르 사회의 구성원이 사회적 성공을 향유하기 위한 조건으로 ‘민족에 상관없이 실력우선’을 취해 다인종적 위계질서를 지양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이중 언어와 종합교육정책을 통해 여러 민족이 공존하는 사회통합정책을 적극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공공주택정책을 통해 국가의 경제성장에 따른 이익을 경제적 소외자와 각 민족에게 골고루 나누어 사회통합의 장애를 제거하였다는 점이다.
      싱가포르의 민족과 인종, 종교를 구분하지 않는 동등대우 그리고 교육과 언어정책의 공평성, 경제적 형평성의 유지정책은 한국에 이주해온 외국인들과 그 자녀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향후 한국사회에 생산적 주체로 양성되는데 좋은 사례가 된다.
      한편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국가로 당고조 2년(619년)에 만들어진 민족정책의 기본원칙조서와 追中前弊(추중전폐), 당태종의 夷夏一家(이하일가), 오늘날 중국정부의 當家作主(당가작주) 등에서 민족자치구역의 전통이 있어 오랜 역사동안 소수민족이 민족적 특수성을 유지한 채 중국 사회와 융화된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리’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역대 정책에 나타난 ‘상호성의 원리’를 한국사회의 통합정책에 적용한다면 한국어 교육만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주민 집단거주지에 다문화가정 자녀가 원한다면 부모나라의 문화와 모국어를 교육받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교육기관에서도 한국인을 대상으로 초ㆍ중등 교과에 사회연구(Social Studies) 과목을 설치하는 등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을 강화하여 외국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등 상호간의 문화이해를 확대한다.
      그 외에 제도적 장치 안에 결혼이민자들이 적극적으로 의사표명을 할 수 있는 공식 체널(예를 들어,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에 자조집단을 마련하고 지도자를 양성하여, 이들의 목소리를 국가 및 지방정부의 기관에 전달하는 채널)을 마련하는 것도 향후에 고려해 볼 다문화적 사회통합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manuscript has finding principle of integrating society in Korea, instead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from multiculturalism of the Occident. I intend to find 'reciprocity principle' from the instance of China and Singapore. which have preserved the multiracial nation for a long history, and apply it to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The 'reciprocity principle' does not make any excuse of differentiation due to the difference of confucian value's being connected with a value system, which conforms with the universal faith and emotion of the Oriental people. Instead, it actively admits the difference on an open position, and tries to accept it. The reciprocity principle also includes community position, which values much of members' mutual agreement on and observance of values and goals the society commonly seeks after. Although this kind of principle was derived from a position different from liberalistic position, it is considered to be on the same track with the Western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history of Singapore and China mostly represents confucian, communal, nationalistic, and socialistic integration. It also shows the union and the assimil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if you closely examine each nation's policy of minority race, you will discover the 'reciprocity principle,' which respects cultures and languages, regardless of the nation and race.
      Singapore is a multiracial country of people of Chinese, Malaysian, and Indian. However, it has succeeded in integrating the society as one. 'Singapore's only one policy' includes not only the national communalism, but also the 'reciprocity principle'.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Singapore maintains the multicultural rank and order through 'the merit system regardless of the race' so that members of society can enjoy the social success. Even though people of Chinese descent account for the majority and hold the merit advantage, Singapore, through the bilingual education and the general educational policy, actively promoted the society-integrating policy where various races coexist with each other. Also, Singapore got rid of the obstacles to integrating the society by raising the rate of moving into public housing to 89%, and by distributing profits from the economic growth to each race and those economically estranged.
      The policy of Singapore is an essential element in cultivating those immigrated into Korea and their children to be the productive subject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Also, it is a good example that implies a policy, which aims at equal treatment regardless of nation, race, and religion, fairness in education and linguistic policy, and maintenance of economical balance, is needed in integrating the Korean society.
      On the other hand, China consists of 56 races. And, 'reciprocity principle', in which minority races, for a long history, can maintain their racial peculiarity, and develop cultures in harmony with the Chinese society, is well described in the record of basic principles of racial policy written in the second year(619) of the Danggojo reign. It is also found in the principle of Chujungjeonpye(To make the people feel at ease by removing tributary states, being friendly with each other as a matter of course, and staying away from the troubles), Dangtaejong's Ihailga(To Make all the minority races a family by governing them with virtue), and the Chinese government of today's Danggajakju(Minority races act as the owner of the land they reside in, and govern their territories by themselves).
      The 'reciprocity principle' of China includes the idea of Hwaibudong(Get along well with others, but do not mix with people for no good reason) and the principle of Dobyeonghaengibulpae. Also, through coexisting mutually, respecting the harmony and differences, and opposing to the single homogeneity, it has served to let cultures of other races keep the peculiarity and develop for itself with
      번역하기

      This manuscript has finding principle of integrating society in Korea, instead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from multiculturalism of the Occident. I intend to find 'reciprocity principle' from the instance of China and Singapore. which have preserved ...

      This manuscript has finding principle of integrating society in Korea, instead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from multiculturalism of the Occident. I intend to find 'reciprocity principle' from the instance of China and Singapore. which have preserved the multiracial nation for a long history, and apply it to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The 'reciprocity principle' does not make any excuse of differentiation due to the difference of confucian value's being connected with a value system, which conforms with the universal faith and emotion of the Oriental people. Instead, it actively admits the difference on an open position, and tries to accept it. The reciprocity principle also includes community position, which values much of members' mutual agreement on and observance of values and goals the society commonly seeks after. Although this kind of principle was derived from a position different from liberalistic position, it is considered to be on the same track with the Western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history of Singapore and China mostly represents confucian, communal, nationalistic, and socialistic integration. It also shows the union and the assimil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if you closely examine each nation's policy of minority race, you will discover the 'reciprocity principle,' which respects cultures and languages, regardless of the nation and race.
      Singapore is a multiracial country of people of Chinese, Malaysian, and Indian. However, it has succeeded in integrating the society as one. 'Singapore's only one policy' includes not only the national communalism, but also the 'reciprocity principle'.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Singapore maintains the multicultural rank and order through 'the merit system regardless of the race' so that members of society can enjoy the social success. Even though people of Chinese descent account for the majority and hold the merit advantage, Singapore, through the bilingual education and the general educational policy, actively promoted the society-integrating policy where various races coexist with each other. Also, Singapore got rid of the obstacles to integrating the society by raising the rate of moving into public housing to 89%, and by distributing profits from the economic growth to each race and those economically estranged.
      The policy of Singapore is an essential element in cultivating those immigrated into Korea and their children to be the productive subject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Also, it is a good example that implies a policy, which aims at equal treatment regardless of nation, race, and religion, fairness in education and linguistic policy, and maintenance of economical balance, is needed in integrating the Korean society.
      On the other hand, China consists of 56 races. And, 'reciprocity principle', in which minority races, for a long history, can maintain their racial peculiarity, and develop cultures in harmony with the Chinese society, is well described in the record of basic principles of racial policy written in the second year(619) of the Danggojo reign. It is also found in the principle of Chujungjeonpye(To make the people feel at ease by removing tributary states, being friendly with each other as a matter of course, and staying away from the troubles), Dangtaejong's Ihailga(To Make all the minority races a family by governing them with virtue), and the Chinese government of today's Danggajakju(Minority races act as the owner of the land they reside in, and govern their territories by themselves).
      The 'reciprocity principle' of China includes the idea of Hwaibudong(Get along well with others, but do not mix with people for no good reason) and the principle of Dobyeonghaengibulpae. Also, through coexisting mutually, respecting the harmony and differences, and opposing to the single homogeneity, it has served to let cultures of other races keep the peculiarity and develop for itself wi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다민족에 대한 상호성의 원리와 사회통합
      • 3. 중국과 싱가포르의 다민족 정책과 상호성
      • 4. 한국의 결혼이주자 정책과 한국인의 다민족에 대한 상호성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다민족에 대한 상호성의 원리와 사회통합
      • 3. 중국과 싱가포르의 다민족 정책과 상호성
      • 4. 한국의 결혼이주자 정책과 한국인의 다민족에 대한 상호성
      • 5. 맺음말: 한국의 다민족 정책과 상호성을 위한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법무부, "「제1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심의.확정: ‘외국인과 함께 하는세계 일류국가’ 추진을 위한 5개년 계획, 2008. 12. 17"

      2 張鴻雁, "論傳統夷夏觀的演變及其對近代社會民族觀的影響" 2 : 1993

      3 이승용, "호주의 다문화주의" 고려대학교 동아시아교육연구단 (8) : 2004

      4 조정남, "현대국가와 다문화주의" 한국민족연구원 (6) : 2001

      5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6 여성가족부,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7 김영옥, "한국의 여성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족': 다문화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소 46 (46): 129-153, 2007

      8 김희정,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 적용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9 김비환,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와 사회 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민권 문제" 한국법철학회 10 (10): 317-348, 2007

      10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 법무부, "「제1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심의.확정: ‘외국인과 함께 하는세계 일류국가’ 추진을 위한 5개년 계획, 2008. 12. 17"

      2 張鴻雁, "論傳統夷夏觀的演變及其對近代社會民族觀的影響" 2 : 1993

      3 이승용, "호주의 다문화주의" 고려대학교 동아시아교육연구단 (8) : 2004

      4 조정남, "현대국가와 다문화주의" 한국민족연구원 (6) : 2001

      5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6 여성가족부,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7 김영옥, "한국의 여성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족': 다문화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소 46 (46): 129-153, 2007

      8 김희정,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 적용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9 김비환,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와 사회 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민권 문제" 한국법철학회 10 (10): 317-348, 2007

      10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1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43-189, 2006

      12 박장배, "중국의 소수민족과 지역구조 In: 중국의 동북공정과 중화주의, 고구려 연구재단 연구총서 12" 2005

      13 舜致, "중국대문화 배경하에 한국당면 문화에 대한 생각" 아시아공동체학교.다문화사회연구소 2007

      14 조영래, "중국 소수민족정책과 민족간부 양성:교육정책을 중심으로 In: 인문학연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8

      15 이진영, "중국 소수민족 정책의 이론적 기초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아태지역연구원 6 (6): 1999

      16 허평길, "중국 소수민족 정책의 思想-中華思想(夷華觀)의 형성과 변화"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0 (10): 1997

      17 한건수, "이주자가 본 한국의 정책과 제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8 법무부, "외국인과의 혼인추이, 2008. 12. 17"

      19 김혜숙,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주의:열린 주체 형성의 문제" 철학연구회 0 (0): 203-218, 2007

      20 김이선,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6

      21 경석,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다문화사회 논의에 관한 비판적 조망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 2007

      22 장원석, "아시아적 민주주의의 이상과 고뇌: 싱가포르의 경우"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4 (4): 1995

      23 여성가족부, "아시아 여성 이주 정책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한국여성학30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2007

      24 진미윤, "싱가포르의 주택정책과 주택공급체계" 국토연구원 47 : 215-238, 2005

      25 김성건, "싱가포르의 사회와 문화" 한국학술정보(주) 2002

      26 강권찬, "스웨덴- 이상적 공존제도화의 실현" 한국민족연구원 (11) : 2003

      27 김상임, "상담사례를 통해본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삶"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2005

      28 김성진, "리콴유: 작지만 강한 싱가포르 건설을 위해" (주)살림출판사 2007

      29 김이선,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Ⅰ): 한국사회의 수용현실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30 구견서,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7 (27): 29-53, 2003

      31 김욱동, "다문화주의의 도전과 응전" 한국아메리카학회 30 (30): 1998

      32 한경구, "다문화사회란 무엇인가 In: 다문화사회의 이해, 유네스코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동녘 2008

      33 보건복지가족부, "다문화가족 관련 통계"

      34 곽준혁, "다문화 공존과 사회적 통합" 대한정치학회 15 (15): 23-42, 2007

      35 김진희, "농촌과 도시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 비교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8 (18): 127-160, 2008

      36 행정안전부, "국제결혼이민자 현황, 2008. 5"

      37 설동훈,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38 陶明, "試論我國是統一的多民族國家" 3 : 1959

      39 吳建國, "西部大開發與興邊富民行動" 民族出版社 2000

      40 杜平, "西土取金: 西部大開發的政策背景與商業機遇" 中國言實出版社 2000

      41 滕星, "美國多文化敎育的發展及啓示" 5 : 2007

      42 國家民族事務委員會硏究室, "新中國民族工作十講" 民族出版社 2007

      43 陳建械, "我國東西部之間的經濟發展差距與民族自治地方的經濟起飛-從投資和優惠政策角度的硏究" 3 : 1996

      44 延軍平, "中國西部大開發的戰略與政策" 社會出版社 2000

      45 王柯, "中國與國家:中國多民族統一國家思想的系譜"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1

      46 宋獨華, "中國民族槪論" 中國民族文學出版社 2002

      47 費孝通, "中國民族多元一體格局" 中央民族學院出版社 5 : 1989

      48 張爾駒, "中國民族區域自治史綱" 民族出版社 1995

      49 李孝聰, "中國區域歷史地理" 北京大學出版社 2006

      50 곽재석, "‘좋은 정부’의 균열 가능성: 싱가포르의 정치적 소수자" 한국동남아학회 11 (11): 2001

      51 박지원, "Singapore: 상호주의 공존질서의 선택" 한국민족연구원 (11) : 2003

      52 Jurgen Habermas, "Multiculturalism and the Liberal State, In: StanfordLaw Review" Stanford Junior University 1995

      53 Will Kymlica, "Multicultural Citizenship, A Liberal Theory ofMinority 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54 Will Kymlica, "Liberal Multiculturalism In: Multiculturalism in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5 박재규, "<논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농촌생활 적응 관련 요인 분석: 전북 지역 사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9 (29): 67-84,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36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