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최치원 추숭과 그 특징 = A Veneration for Choi Chi-won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1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최치원 추숭과 평가는 차이가 있었다. 초기에는 뛰어난 문장가로 평가되어 고대 인물로는 가장 많은 글을 선별하여 수록하거나 정몽주・길재・김숙자 이전에 조선 유학의 종통을 이끌어 온 유학자로 강조하였다. 무성서원의 재건, 서악서원의 건립은 이와 무관하지 않았다. 임진왜란 이후 서악서원 사액 전후에는 불가나 선가의 지식인으로 정리되어 문묘 배향 인물에 대한 존숭 이상으로 받들지 않았다. 오히려 경주최씨 문중에서 도시조로서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는 일가와 일족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거나 선가와 연고되어 곳곳에 ‘친필 석각’을 조성하고 설화와 전승의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최치원에 대한 평가와 존숭은 조선시대 내내 꾸준히 변화하였다. 이 글은 조선시대 최치원 존숭의 내용을 서원을 중심으로 살피고, 그 변화의 특징을 제시하고자 작성하였다.
      최치원 관련 서원과 사우 중에 주목되는 곳은 경주 서악서원과 정읍 무성서원, 서산 부성사 등이다. 서악서원은 최치원을 모시는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이었고, 무성서원은 역시 호남의 대표적인 서원이었다. 두 서원은 주・배향 인물과 해당 지방의 연고와 함께 물론 지방 교육과 선비 양성을 도모해야 할 해당 지역 지방관에 의해서 건립되었는데, 해당 지역 유림의 공의와 요청도 반영되었다. 다만 서악서원 건립 이후 무성서원이 재건되었고, 서악서원 사액 이후 무성서원이 사액되었다. 서악서원의 건립과 사액은 무성서원의 재건과 사액에 영향을 미쳤다.
      서악서원과 무성서원의 건립과 재건에는 정몽주・길재・김숙자로 이어지는 조선 유학의 정통성과 함께 지방관으로서 향촌 교화와 교육을 올바르게 이끌겠다는 조선의 국정 운영 방향이 그대로 반영되었다. 그러나 서악서원의 건립과 재건이 조선의 서원 건립 초기에 해당하여 유림의 지지와 연대가 강하게 유지되었던 반면, 무성서원의 그것은 전국적으로 많은 서원이 남설되었던 때였기에 이전과 달리 전국적이라기보다는 해당 지역 선현에 대한 숭봉 의지를 담은 결과로 나타났다. 이것은 건국 초에 뛰어난 문장자이자 조선 유학의 종통으로 자리매김되었던 최치원이 점차 불가와 선가에 침잠하였던 유학적 소양이 부족한 문인으로 평가되는 변화와도 밀접히 관련되었다.
      번역하기

      조선시대 최치원 추숭과 평가는 차이가 있었다. 초기에는 뛰어난 문장가로 평가되어 고대 인물로는 가장 많은 글을 선별하여 수록하거나 정몽주・길재・김숙자 이전에 조선 유학의 종통을 ...

      조선시대 최치원 추숭과 평가는 차이가 있었다. 초기에는 뛰어난 문장가로 평가되어 고대 인물로는 가장 많은 글을 선별하여 수록하거나 정몽주・길재・김숙자 이전에 조선 유학의 종통을 이끌어 온 유학자로 강조하였다. 무성서원의 재건, 서악서원의 건립은 이와 무관하지 않았다. 임진왜란 이후 서악서원 사액 전후에는 불가나 선가의 지식인으로 정리되어 문묘 배향 인물에 대한 존숭 이상으로 받들지 않았다. 오히려 경주최씨 문중에서 도시조로서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는 일가와 일족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거나 선가와 연고되어 곳곳에 ‘친필 석각’을 조성하고 설화와 전승의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최치원에 대한 평가와 존숭은 조선시대 내내 꾸준히 변화하였다. 이 글은 조선시대 최치원 존숭의 내용을 서원을 중심으로 살피고, 그 변화의 특징을 제시하고자 작성하였다.
      최치원 관련 서원과 사우 중에 주목되는 곳은 경주 서악서원과 정읍 무성서원, 서산 부성사 등이다. 서악서원은 최치원을 모시는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이었고, 무성서원은 역시 호남의 대표적인 서원이었다. 두 서원은 주・배향 인물과 해당 지방의 연고와 함께 물론 지방 교육과 선비 양성을 도모해야 할 해당 지역 지방관에 의해서 건립되었는데, 해당 지역 유림의 공의와 요청도 반영되었다. 다만 서악서원 건립 이후 무성서원이 재건되었고, 서악서원 사액 이후 무성서원이 사액되었다. 서악서원의 건립과 사액은 무성서원의 재건과 사액에 영향을 미쳤다.
      서악서원과 무성서원의 건립과 재건에는 정몽주・길재・김숙자로 이어지는 조선 유학의 정통성과 함께 지방관으로서 향촌 교화와 교육을 올바르게 이끌겠다는 조선의 국정 운영 방향이 그대로 반영되었다. 그러나 서악서원의 건립과 재건이 조선의 서원 건립 초기에 해당하여 유림의 지지와 연대가 강하게 유지되었던 반면, 무성서원의 그것은 전국적으로 많은 서원이 남설되었던 때였기에 이전과 달리 전국적이라기보다는 해당 지역 선현에 대한 숭봉 의지를 담은 결과로 나타났다. 이것은 건국 초에 뛰어난 문장자이자 조선 유학의 종통으로 자리매김되었던 최치원이 점차 불가와 선가에 침잠하였던 유학적 소양이 부족한 문인으로 평가되는 변화와도 밀접히 관련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일규, "최치원의 사회사상 연구" 신서원 2008

      2 이광우, "최치원 평가를 둘러 싼 조선시기 유학자의 몇 가지 고민" 한국학연구원 (73) : 161-191, 2018

      3 장일규, "최치원 관련 유적의 분포와 숭모" 고려사학회 (63) : 7-33, 2016

      4 김창겸, "신라 최고의 사상가 최치원 탐구" 주류성 2001

      5 이윤선, "서남해연안 최치원설화의 수용관념과 문화코드" 남도민속학회 (18) : 197-230, 2009

      6 진성수, "무성서원의 역사적 특징과 원규" 유학연구소 49 : 81-111, 2019

      7 "高麗史"

      8 "雙峯集"

      9 "退溪先生文集"

      10 崔英成, "譯註崔致遠全集 1 四山碑銘" 아세아문화사 1998

      1 장일규, "최치원의 사회사상 연구" 신서원 2008

      2 이광우, "최치원 평가를 둘러 싼 조선시기 유학자의 몇 가지 고민" 한국학연구원 (73) : 161-191, 2018

      3 장일규, "최치원 관련 유적의 분포와 숭모" 고려사학회 (63) : 7-33, 2016

      4 김창겸, "신라 최고의 사상가 최치원 탐구" 주류성 2001

      5 이윤선, "서남해연안 최치원설화의 수용관념과 문화코드" 남도민속학회 (18) : 197-230, 2009

      6 진성수, "무성서원의 역사적 특징과 원규" 유학연구소 49 : 81-111, 2019

      7 "高麗史"

      8 "雙峯集"

      9 "退溪先生文集"

      10 崔英成, "譯註崔致遠全集 1 四山碑銘" 아세아문화사 1998

      11 "燃藜室記述"

      12 "海東雜錄"

      13 "活山集"

      14 "沙溪全書"

      15 "東國李相國集"

      16 "東京雜記"

      17 "朝鮮常識問答續編"

      18 "書院謄錄"

      19 강정화, "智異山 遊覽錄으로 본 崔致遠" 우리한문학회 25 : 173-209, 2011

      20 李九義, "新羅漢文學硏究" 亞細亞文化社 2002

      21 "惺所覆瓿稿"

      22 "崔文昌侯全集"

      23 李九義, "崔孤雲의 삶과 文學" 國學資料院 1995

      24 "定軒集"

      25 "五洲衍文長箋散稿"

      26 "不憂軒集"

      27 "三國史記"

      28 鄭萬祚, "17・18世紀의 書院・祠宇에 대한 試論-特히 士林의 建立活動을 中心으로" 서울대 국사학과 2 : 1975

      29 임선빈, "17세기 무성서원武城書院의 건립과 운영 ―제향인물과 사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35) : 257-293,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