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폭상자 내에서 콩을 생육단계별로 1시간 동안 HTO 증기에 피폭시켰다. 피폭종료 직후 작물체내 TFWT의 상대농도(피폭 시간 동안 피폭상자내 공기 수분중 평균 HTO 농도에 대한 백분율)는 대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742542
2004
Korean
559.17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13-219(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피폭상자 내에서 콩을 생육단계별로 1시간 동안 HTO 증기에 피폭시켰다. 피폭종료 직후 작물체내 TFWT의 상대농도(피폭 시간 동안 피폭상자내 공기 수분중 평균 HTO 농도에 대한 백분율)는 대체...
피폭상자 내에서 콩을 생육단계별로 1시간 동안 HTO 증기에 피폭시켰다. 피폭종료 직후 작물체내 TFWT의 상대농도(피폭 시간 동안 피폭상자내 공기 수분중 평균 HTO 농도에 대한 백분율)는 대체로 잎 〉깍지〉종실 〉줄기의 순으로 잎에서는 최고 40.2%, 줄기에서는 최고 6.4%였다. TFWT 농도는 수확시까지 피폭시기에 따라 수 천~수 십만 배 감소하였으며 대체로 잎 〉깍지 〉종실 〉줄기의 순으로 감소 정도가 컸다. 수확시 OBT 상대농도(피폭종료 직후 잎의 TFWT 농도에 대한 건조시료 내 OBT 농도의 비, ㎖ g-1)는 콩 종실의 경우 피폭시기에 따라 2.2×10-5~9.5×10-3의 범위로 종실의 발육 최성기 피폭시 가장 높았다. OBT 농도의 피폭시기에 따른 변이는 종실과 꼬투리에서 경엽부에 비해 훨씬 컸다. 콩의 생육중 급성 피폭시 종실 소비에 따른 섭취피폭 선량은 대부분의 경우 거의 전적으로 OBT에 기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HTO의 단기적 사고방출시 두류내 3H 농도 예측을 위한 모델 수립 및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서 론
참고문헌 (Reference)
1 "실비아디아바테, 지그프리드슈트락, 벼의 종실 발육에 따른 주간 및 야간 HTO 증기 피폭시 TFWT 및 OBT 농도" 28 (28): 9-18, 2003
2 "Tissue free water tritium and organically bound tritium in the rice plant acutely exposed to atmospheric HTO vapor under semi-outdoor conditions" 58 : 67-85, 2002
3 "TRIF-An intermediate approach to environmental tritium modelling" 36 : 253-267, 1997
4 "Overview of tritium" 595-609, 1993
5 "Dose delivered by unit amount of tritium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34 : 176-184, 1997
1 "실비아디아바테, 지그프리드슈트락, 벼의 종실 발육에 따른 주간 및 야간 HTO 증기 피폭시 TFWT 및 OBT 농도" 28 (28): 9-18, 2003
2 "Tissue free water tritium and organically bound tritium in the rice plant acutely exposed to atmospheric HTO vapor under semi-outdoor conditions" 58 : 67-85, 2002
3 "TRIF-An intermediate approach to environmental tritium modelling" 36 : 253-267, 1997
4 "Overview of tritium" 595-609, 1993
5 "Dose delivered by unit amount of tritium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34 : 176-184, 1997
TFWT and OBT Concentrations in Soybean Plants Exposed to HTO Vapor at Different Growth Stages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Method of Extremely Low Level Activity with Imaging Plate
The Effects of Melationin and Ge-132 on Acute Hematopoietic Syndrome following Radiation Exposure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9-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3-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 | 0.2 | 0.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4 | 0.403 | 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