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플롯 구성을 통한 인물 이해 교육의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Teaching Characters's Understanding through Emplo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933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ttention was paid to emplotment that can introduce time in characters understanding process. In recent literary theory, the dynamics of the plot are emphasized from the conventional static plot concept. In this context, the emplotment is seen as an internal mechanism for understanding the events involving temporal instant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novel texts. In relation to figure understanding, emplotment is a process of constructing a narrative logic to appropriately explain the change of characters in the proces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us, learners can assign analytical meaning to the variable aspect of a characters in a transient flow through emplotment.
      번역하기

      In this study, attention was paid to emplotment that can introduce time in characters understanding process. In recent literary theory, the dynamics of the plot are emphasized from the conventional static plot concept. In this context, the emplotment ...

      In this study, attention was paid to emplotment that can introduce time in characters understanding process. In recent literary theory, the dynamics of the plot are emphasized from the conventional static plot concept. In this context, the emplotment is seen as an internal mechanism for understanding the events involving temporal instant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novel texts. In relation to figure understanding, emplotment is a process of constructing a narrative logic to appropriately explain the change of characters in the proces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us, learners can assign analytical meaning to the variable aspect of a characters in a transient flow through emplo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로 올수록, 소설 속 인물은 통시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면모가 일관성 있게 복합된 역동적 존재로 그려진다. 이에 따라 인물은 시간의 지평 위에서 다양한 얼굴을 드러낸다. 인물과 시간 간의 긴밀한 연관성을 고려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문학교실에서는 인물 이해 과정에서 시간성을 도입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인물 이해 과정에서 시간성을 도입할 수 있는 플롯 구성에 주목하였다. 최근 문학이론에서는 종래의 정적인 플롯 개념에서 벗어나 플롯의 역동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플롯 구성은 소설텍스트 수용 과정에서 시간적 계기를 내포한 사건을 이해하는 내적 기제로 본다. 인물 이해와 관련하여, 플롯 구성은 처음에서 끝에 이르는 과정 속에서 인물의 변화를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한 서사적 논리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학습독자는 플롯 구성을 통해 통시적 흐름 속에서 인물의 가변적인 면모에 대해 해석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번역하기

      현대로 올수록, 소설 속 인물은 통시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면모가 일관성 있게 복합된 역동적 존재로 그려진다. 이에 따라 인물은 시간의 지평 위에서 다양한 얼굴을 드러낸다. 인물과 시간...

      현대로 올수록, 소설 속 인물은 통시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면모가 일관성 있게 복합된 역동적 존재로 그려진다. 이에 따라 인물은 시간의 지평 위에서 다양한 얼굴을 드러낸다. 인물과 시간 간의 긴밀한 연관성을 고려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문학교실에서는 인물 이해 과정에서 시간성을 도입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인물 이해 과정에서 시간성을 도입할 수 있는 플롯 구성에 주목하였다. 최근 문학이론에서는 종래의 정적인 플롯 개념에서 벗어나 플롯의 역동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플롯 구성은 소설텍스트 수용 과정에서 시간적 계기를 내포한 사건을 이해하는 내적 기제로 본다. 인물 이해와 관련하여, 플롯 구성은 처음에서 끝에 이르는 과정 속에서 인물의 변화를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한 서사적 논리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학습독자는 플롯 구성을 통해 통시적 흐름 속에서 인물의 가변적인 면모에 대해 해석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택영, "후기구조주의 문학이론" 민음사 1990

      2 Brooks, P., "플롯 찾아 읽기" 도서출판 강 2011

      3 정보미, "플롯 중심의 고전 소설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9

      4 이정우, "주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09

      5 선주원, "작중인물의 욕망 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 내용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38) : 303-330, 2012

      6 이지윤, "작중인물에 대한 초등 학습독자의 의미 구성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7 崔仁子, "작중 인물의 의미화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8 선주원, "작중 인물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7) : 69-90, 2004

      9 임경순, "인물 형상화 양상을 통한 소설교육 연구 : 채만식 풍자소설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10 이은주, "우화소설의 인물 교육 연구 : 인물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 권택영, "후기구조주의 문학이론" 민음사 1990

      2 Brooks, P., "플롯 찾아 읽기" 도서출판 강 2011

      3 정보미, "플롯 중심의 고전 소설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9

      4 이정우, "주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09

      5 선주원, "작중인물의 욕망 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 내용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38) : 303-330, 2012

      6 이지윤, "작중인물에 대한 초등 학습독자의 의미 구성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7 崔仁子, "작중 인물의 의미화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8 선주원, "작중 인물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7) : 69-90, 2004

      9 임경순, "인물 형상화 양상을 통한 소설교육 연구 : 채만식 풍자소설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10 이은주, "우화소설의 인물 교육 연구 : 인물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1 김한식, "욕망의 이야기, 이야기의 욕망 : 결말의 시학을 위하여" 한국불어불문학회 40 (40): 53-77, 1999

      12 선주원, "에로스적 욕망에 의한 플롯 읽기를 통한 소설 텍스트 해석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41) : 269-297, 2013

      13 장미, "심층적 갈등 중심의 플롯 이해 교육 연구 : <사씨남정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4 Ricoeur, P., "시간과 이야기1" 문학과 지성사 1999

      15 박명옥, "소설의 인물지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6 나병철,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3

      17 Foster, E. M.,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0

      18 권택영, "소설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문예출판사 2004

      19 최시한, "소설 읽기지도 방법의 모색(2) - 인물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16) : 29-56, 2005

      20 Porter Abbott, H., "서사학 강의" 문학과 지성사 2010

      21 金仲臣, "서사 텍스트의 심미적 체험의 구조와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22 Scholes, R., "서사 문학의 본질" 예림기획 2007

      23 Lakoff, G.,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24 이정우, "사건의 철학" 그린비 2011

      25 황수영,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그린비 2006

      26 Lotman, Y., "문화와 폭발" 아카넷 2014

      27 Meyerhoff, H., "문학 속의 시간" 문예출판사 2003

      28 이경재, "단독성의 박물관" 문학동네 142-161, 2009

      29 이상일, "고전소설의 인물 이해 교육 연구 : 인물 정보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0 김태호, "경험의 플롯 구성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1 1.085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