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택영, "후기구조주의 문학이론" 민음사 1990
2 Brooks, P., "플롯 찾아 읽기" 도서출판 강 2011
3 정보미, "플롯 중심의 고전 소설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9
4 이정우, "주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09
5 선주원, "작중인물의 욕망 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 내용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38) : 303-330, 2012
6 이지윤, "작중인물에 대한 초등 학습독자의 의미 구성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7 崔仁子, "작중 인물의 의미화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8 선주원, "작중 인물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7) : 69-90, 2004
9 임경순, "인물 형상화 양상을 통한 소설교육 연구 : 채만식 풍자소설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10 이은주, "우화소설의 인물 교육 연구 : 인물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 권택영, "후기구조주의 문학이론" 민음사 1990
2 Brooks, P., "플롯 찾아 읽기" 도서출판 강 2011
3 정보미, "플롯 중심의 고전 소설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9
4 이정우, "주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09
5 선주원, "작중인물의 욕망 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 내용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38) : 303-330, 2012
6 이지윤, "작중인물에 대한 초등 학습독자의 의미 구성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7 崔仁子, "작중 인물의 의미화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8 선주원, "작중 인물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7) : 69-90, 2004
9 임경순, "인물 형상화 양상을 통한 소설교육 연구 : 채만식 풍자소설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10 이은주, "우화소설의 인물 교육 연구 : 인물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1 김한식, "욕망의 이야기, 이야기의 욕망 : 결말의 시학을 위하여" 한국불어불문학회 40 (40): 53-77, 1999
12 선주원, "에로스적 욕망에 의한 플롯 읽기를 통한 소설 텍스트 해석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41) : 269-297, 2013
13 장미, "심층적 갈등 중심의 플롯 이해 교육 연구 : <사씨남정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4 Ricoeur, P., "시간과 이야기1" 문학과 지성사 1999
15 박명옥, "소설의 인물지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6 나병철,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3
17 Foster, E. M.,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0
18 권택영, "소설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문예출판사 2004
19 최시한, "소설 읽기지도 방법의 모색(2) - 인물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16) : 29-56, 2005
20 Porter Abbott, H., "서사학 강의" 문학과 지성사 2010
21 金仲臣, "서사 텍스트의 심미적 체험의 구조와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22 Scholes, R., "서사 문학의 본질" 예림기획 2007
23 Lakoff, G.,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24 이정우, "사건의 철학" 그린비 2011
25 황수영,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그린비 2006
26 Lotman, Y., "문화와 폭발" 아카넷 2014
27 Meyerhoff, H., "문학 속의 시간" 문예출판사 2003
28 이경재, "단독성의 박물관" 문학동네 142-161, 2009
29 이상일, "고전소설의 인물 이해 교육 연구 : 인물 정보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0 김태호, "경험의 플롯 구성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