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애드 혹(ad hoc) 네트워크에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네트워크 코딩(network coding)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 무선 랜에 네트워크 코딩을 적용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59453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97-804(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무선 애드 혹(ad hoc) 네트워크에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네트워크 코딩(network coding)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 무선 랜에 네트워크 코딩을 적용하였...
무선 애드 혹(ad hoc) 네트워크에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네트워크 코딩(network coding)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 무선 랜에 네트워크 코딩을 적용하였을 때, 수율(throughput)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분석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모델에서는 모든 무선 노드들이 선형 토폴로지(topology)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고, 양단에 위치한 두 개의 소스 노드들이 패킷을 발생시키고, 중간 노드들은 네트워크 코딩을 수행하면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안하는 분석 모델은 궁극적으로 각 노드별수율의 비선형 방정식 형태로 귀결되며, 이 방정식의 해를 통해서 단대단(end-to-end) 수율을 계산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분석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모델을 통한 수율 예측치가 시뮬레이션 결과와 상당히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twork coding has recently emerged as an effective solution for multicast and broadcast communications in wireless ad hoc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roughput performance model for IEEE 802.11 wireless networks with network coding. Specif...
Network coding has recently emerged as an effective solution for multicast and broadcast communications in wireless ad hoc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roughput performance model for IEEE 802.11 wireless networks with network coding. Specifically, we consider IEEE 802.11 DCF protocol and linear topology in which traffic sources are located at both ends and intermediate nodes act as relays performing network coding. The proposed analytic model has the form of nonlinear equations in terms of throughput of each node. The solution of the nonliear equations thus correspond to the end-to-end throughput. Extensive simulation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validate accuracy of the proposed model.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results of the proposed analytic model agree fairly well with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resul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D. Umehara, "Wireless network coding in slotted ALOHA with two-hop unbalanced traffic" 27 (27): 647-661, 2009
2 첸, "WiMAX networks: From access to service platform" 22 (22): 38-45, 200805
3 P. C. Ng, "Throughput analysis of IEEE 802.11 multi-hop ad-hoc networks" 15 (15): 2007
4 S. Katti, "The importance of being opportunistic practical network coding for wireless environments" 2005
5 Y. Ma, "Queuing model and delay analysis on network coding" 112-115, 2005
6 G. Bianchi, "Performance analysis of IEEE 802.11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18 (18): 535-547, 2001
7 A. Kumar, "New insights from a fixed point analysis of single sell IEEE 802.11 WLANs" 1550-1561, 2005
8 R. Ahlswede, "Network information flow" 46 (46): 1204-1216, 2000
9 "IEEE 802.11-1997: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10 Y. Gao, "Determinig the end-to-end throughput capacity in multi-hop networks: methodology and applications" 34 (34): 154-161, 2006
1 D. Umehara, "Wireless network coding in slotted ALOHA with two-hop unbalanced traffic" 27 (27): 647-661, 2009
2 첸, "WiMAX networks: From access to service platform" 22 (22): 38-45, 200805
3 P. C. Ng, "Throughput analysis of IEEE 802.11 multi-hop ad-hoc networks" 15 (15): 2007
4 S. Katti, "The importance of being opportunistic practical network coding for wireless environments" 2005
5 Y. Ma, "Queuing model and delay analysis on network coding" 112-115, 2005
6 G. Bianchi, "Performance analysis of IEEE 802.11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18 (18): 535-547, 2001
7 A. Kumar, "New insights from a fixed point analysis of single sell IEEE 802.11 WLANs" 1550-1561, 2005
8 R. Ahlswede, "Network information flow" 46 (46): 1204-1216, 2000
9 "IEEE 802.11-1997: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10 Y. Gao, "Determinig the end-to-end throughput capacity in multi-hop networks: methodology and applications" 34 (34): 154-161, 2006
11 C. E. Perkins, "Ad Hoc Networking" Addison-Wesley 2001
U자형 패치 라인과 사각 패치를 결합한 삼중 대역 평면형 모노폴 안테나 설계 및 제작
Braided Shield를 가진 동축 케이블의 HEMP 결합 신호 해석
최적의 임계값을 고려한 K-out-of-n 협력 스펙트럼 검출 기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4-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 | 0.2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5 | 0.13 | 0.363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