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민속학 담론의 현황과 과제 = 미국 민속학계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민속학계의 과제설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951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세계무형문화 유산이나 무형문화재와 관련해서 공공민속학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한국에서의 공공민속학 논의가 미국학계와의 비교를 통해 보다 발전적인 의제를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히. 필자는 민속학자들의 연구윤리안 마련과 함께 연구대상 집단에 대하여 문화해석의 주체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공공 민속학의 다양한 가능성을 통해 민속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되돌아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연구자는 향후 한국 민속학이 학문의 정치성에 관한 가혹한 성찰과 함께 내셔널리즘에 대한 보다 유연한 자세로 공공의 참여문제에 대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학문의 정치성에 대한 경계가 민속학의 사회적 실천에 대한 차단이 아니라 보다 신중하고 전략적인 참여를 위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향후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일본을 비롯해 서구학계의 연구를 참고해 가며 한국적 토대에 맞는 공공 민속학의 의제설정이 만들어져 가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세계무형문화 유산이나 무형문화재와 관련해서 공공민속학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한국에서의 공공민속학 논의가 미국학계와의 비교를 통해 보다 발전적...

      최근 세계무형문화 유산이나 무형문화재와 관련해서 공공민속학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한국에서의 공공민속학 논의가 미국학계와의 비교를 통해 보다 발전적인 의제를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히. 필자는 민속학자들의 연구윤리안 마련과 함께 연구대상 집단에 대하여 문화해석의 주체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공공 민속학의 다양한 가능성을 통해 민속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되돌아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연구자는 향후 한국 민속학이 학문의 정치성에 관한 가혹한 성찰과 함께 내셔널리즘에 대한 보다 유연한 자세로 공공의 참여문제에 대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학문의 정치성에 대한 경계가 민속학의 사회적 실천에 대한 차단이 아니라 보다 신중하고 전략적인 참여를 위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향후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일본을 비롯해 서구학계의 연구를 참고해 가며 한국적 토대에 맞는 공공 민속학의 의제설정이 만들어져 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years, discussions on public folklore have become active in relation to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This paper focuses on presenting more developed agendas of public folklore discussion in Korea by comparing with the United States. I mainly argued that folklore scholars of korea should prepare the guideline of research ethics, change the viewpoint of community as a research participant, and precede the work of reviewing the academic identity of folklore through possibility of public folklore.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folklore studies of Korea in the future should approach the problem of public participation in a more flexible posture with the harsh reflection on the politics of scholarship. This is because the vigilance of scholarly politics should not be an obstacle to social practice of folklore studies but should be done in a way for more prudent and strategic participa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agenda of public folklore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condition by referring to the studies of Western scholarship including Japan.
      번역하기

      In recent years, discussions on public folklore have become active in relation to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This paper focuses on presenting more developed agendas of public folklore discussion in ...

      In recent years, discussions on public folklore have become active in relation to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This paper focuses on presenting more developed agendas of public folklore discussion in Korea by comparing with the United States. I mainly argued that folklore scholars of korea should prepare the guideline of research ethics, change the viewpoint of community as a research participant, and precede the work of reviewing the academic identity of folklore through possibility of public folklore.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folklore studies of Korea in the future should approach the problem of public participation in a more flexible posture with the harsh reflection on the politics of scholarship. This is because the vigilance of scholarly politics should not be an obstacle to social practice of folklore studies but should be done in a way for more prudent and strategic participa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agenda of public folklore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condition by referring to the studies of Western scholarship including Jap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미국에서 공공민속학 담론의 형성과 한국과의 비교
      • Ⅲ. 한국 민속공공학 담론에서 필요한 논의 과제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미국에서 공공민속학 담론의 형성과 한국과의 비교
      • Ⅲ. 한국 민속공공학 담론에서 필요한 논의 과제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근우, "민속학의 실천성과 공공성: 일본의 공공민속학논을 중심으로" 105-122, 2017

      2 이상현, "민속지식의 취업 현장 활용을 위한 독일민속학계의 노력과 연구" 민속학연구소 (31) : 205-238, 2015

      3 오창현, "미국의 사회 통합 방식 변화와공공 박물관의 역할 변화-스미소니언 박물관과 민속 축제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20 (20): 133-161, 2017

      4 정수진, "무형문화재의 탄생" 역사비평사 2008

      5 이상현, "UNESCO문화유산에 관한 독일민속학의 인식과 연구 -독일 Göttingen대학 민속학연구소의 연구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56) : 95-124, 2015

      6 Clifford, J., "The Predicament of Culture: Twentieth-Century Ethnography, Literature and Art"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7 Taylor, Daniel, "The Healing Power of Stories" Doubleday 1996

      8 Whisnant, D., "The Conservation of Culture: Folklorists and the Public Sector"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33-247, 1988

      9 Lomax, Alan, "Smithsonian Festival of American Folklife Program, Book" Smithsonian Institution 40-46, 1985

      10 Hawes, B. L., "Sing It Pretty: A Memoir"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8

      1 남근우, "민속학의 실천성과 공공성: 일본의 공공민속학논을 중심으로" 105-122, 2017

      2 이상현, "민속지식의 취업 현장 활용을 위한 독일민속학계의 노력과 연구" 민속학연구소 (31) : 205-238, 2015

      3 오창현, "미국의 사회 통합 방식 변화와공공 박물관의 역할 변화-스미소니언 박물관과 민속 축제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20 (20): 133-161, 2017

      4 정수진, "무형문화재의 탄생" 역사비평사 2008

      5 이상현, "UNESCO문화유산에 관한 독일민속학의 인식과 연구 -독일 Göttingen대학 민속학연구소의 연구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56) : 95-124, 2015

      6 Clifford, J., "The Predicament of Culture: Twentieth-Century Ethnography, Literature and Art"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7 Taylor, Daniel, "The Healing Power of Stories" Doubleday 1996

      8 Whisnant, D., "The Conservation of Culture: Folklorists and the Public Sector"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33-247, 1988

      9 Lomax, Alan, "Smithsonian Festival of American Folklife Program, Book" Smithsonian Institution 40-46, 1985

      10 Hawes, B. L., "Sing It Pretty: A Memoir"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8

      11 Baron, Robert, "Public folklore dialogism and critical heritage studies" 22 (22): 588-606, 2016

      12 Kirshenblatt-Gimblett, B., "Public Folklore, edited by Robert Baron and Nick Spitzer"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9-48, 2007

      13 Wells, Patricia Atkinson, "Public Folklore in the Twenty-first Century: New Challenges for, the Discipline" 119 : 5-18, 2006

      14 Baron, Robert, "Public Folklore" Univ.Press of Mississippi 2007

      15 Lindahl, C., "Legends of Hurricane Katrina: The Right to Be Wrong, Survivor-to-Survivor, Storytelling, and Healing" 125 (125): 139-176, 2012

      16 Zeitlin, Steven J., "I'm a folklorist and you're not: expansive versus delimited strategies in the practice of folklore" 113 (113): 3-19, 2000

      17 Roginsky, Dina, "Folklore, Folklorism, and Synchronization: Preserved-Created. Folklore in Israel" 44 (44): 41-66, 2007

      18 Hymes, Dell, "Folklore's Nature and the Sun's Myth" 88 : 346-369, 1975

      19 Dorson, Richard M., "Folklore and Folklif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2

      20 Kaschuba, Wolfgang, "Folklore and Culturalism" 36 : 173-178, 1999

      21 Mary Hufford, "Deep commoning: public folklore and environmental policy on a resource frontier" 22 (22): 635-649, 2016

      22 Adams, Don, "Crossroads: Reflections on the Politics of Culture" DNA Press 1990

      23 Hufford, Mary, "Conserving Culture: A New Discourse on Heritag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4

      24 Adell, N., "Between Imagined Communities and Communities of Practice: Participation, Territory and the Making of Heritage" Nicolas

      25 Oring, Elliot, "Anti Anti-‘Folklore’" 111 : 328-338, 1998

      26 권혁희, "1990년대 서울시의 전통 문화정책과 민속재현 축제에 관한 분석 - 각 구별 전개과정과 무형문화재 지정 양상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37) : 153-171,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