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라시아 곰 신앙과 단군신화의 쑥과 마늘을 통해 본 웅녀의 재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951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삼국유사』고조선조에 표기된 ‘신령한 쑥 한 대와 마늘 스무 묶음(靈艾一炷、蒜二十枚)’에서 가리킨 식물이 현대 한국인들이 연상하는 쑥과 마늘과 동일한가의 의문에서 출발해, 쑥과 마늘의 민족식물학적 탐색을 위해서 유라시아 대륙 전체로 시야를 확장하여 이들을 취하고 여인이 되었다는 웅녀로 표상된 ‘곰 신앙’, 마늘로 표상된 ‘알리움’, 쑥으로 표상된 ‘아르테미스’ 신화를 비교하며 이들 사이의 연관 의미들을 추적했다. 마늘로 번역된 단군신화의 ‘산(蒜)’은 유럽의 채식운동과 함께 재평가된 야생 나물로, 이들은 동면을 마치고 굴 밖으로 나온 곰들의 첫 식량, 라틴어 학명으로는 ‘곰파(Allium ursinum)’였음을 유라시아 24개국 해당 명칭 비교로 확인했다. 이 나물은 곰들과 공진화하며 북반구 전역으로 서식 지역을 확장했고, 토테미즘 최고의 신격 곰어머니의 식량이 되어 현생 인류와도 공진화하며 한반도에서는 1882년 고종의 특별 칙령에 따라서 다음해 울릉도로 이주한 조선인들의 연명거리가 되어 ‘명이나물’이란 이름을 얻게 된 산마늘이다. 쑥으로 번역된 ‘애(艾)’ 역시 이에 해당하는 나물 종류가 퍽 다양하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고고신화학적 관점에서 채택된 웅녀의 이미지는 동물에서 인격으로 격상된 존재가 아니라. 동면 기간 동안 생명력이 응집된 나물을 취하고 곰 토템 신격에서 인격으로 하강한, 기독교식으로는 성육신(成肉身, incarnation)의 종교적 원형으로 그 관점을 반전시킬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삼국유사』고조선조에 표기된 ‘신령한 쑥 한 대와 마늘 스무 묶음(靈艾一炷、蒜二十枚)’에서 가리킨 식물이 현대 한국인들이 연상하는 쑥과 마늘과 동일한가의 의문에서 출...

      본 연구는『삼국유사』고조선조에 표기된 ‘신령한 쑥 한 대와 마늘 스무 묶음(靈艾一炷、蒜二十枚)’에서 가리킨 식물이 현대 한국인들이 연상하는 쑥과 마늘과 동일한가의 의문에서 출발해, 쑥과 마늘의 민족식물학적 탐색을 위해서 유라시아 대륙 전체로 시야를 확장하여 이들을 취하고 여인이 되었다는 웅녀로 표상된 ‘곰 신앙’, 마늘로 표상된 ‘알리움’, 쑥으로 표상된 ‘아르테미스’ 신화를 비교하며 이들 사이의 연관 의미들을 추적했다. 마늘로 번역된 단군신화의 ‘산(蒜)’은 유럽의 채식운동과 함께 재평가된 야생 나물로, 이들은 동면을 마치고 굴 밖으로 나온 곰들의 첫 식량, 라틴어 학명으로는 ‘곰파(Allium ursinum)’였음을 유라시아 24개국 해당 명칭 비교로 확인했다. 이 나물은 곰들과 공진화하며 북반구 전역으로 서식 지역을 확장했고, 토테미즘 최고의 신격 곰어머니의 식량이 되어 현생 인류와도 공진화하며 한반도에서는 1882년 고종의 특별 칙령에 따라서 다음해 울릉도로 이주한 조선인들의 연명거리가 되어 ‘명이나물’이란 이름을 얻게 된 산마늘이다. 쑥으로 번역된 ‘애(艾)’ 역시 이에 해당하는 나물 종류가 퍽 다양하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고고신화학적 관점에서 채택된 웅녀의 이미지는 동물에서 인격으로 격상된 존재가 아니라. 동면 기간 동안 생명력이 응집된 나물을 취하고 곰 토템 신격에서 인격으로 하강한, 기독교식으로는 성육신(成肉身, incarnation)의 종교적 원형으로 그 관점을 반전시킬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wild plants 艾 and 蒜 mentioned in the Dangun myth are the same as the mugwort and garlic known to modern Korean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the bitter and pungent plants were given to a she-bear, who had to persevere for 100 days in a dark cave to transform into the well-domesticated woman Ungnyeo.
      Searching for commonalities of the myth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it was necessary to broaden the ethnobotanical horizon to the whole of Eurasia, comprehensively tracing bear worship symbolized as Ungnyeo, Artemis as mugwort and Allium as garlic according to Linnaean taxonomy, and finding that the Korean Ungnyeo has the same genealogy of mythical roots as the European she-bear deity Artio and the goddess Artemis. In a more scientific analysis of the bitter and pungent plants mistranslated as “a bunch of holy mugwort and twenty cloves of garlic” in Samguk-yusa, an ethnobotanical methodology and vocabulary from 24 languages on the Eurasian continent reveal that the plants co-evolved first with bears, and then with humankind in northen Eurasia. In conclusion, the favorite food of bears after hibernation, i.e., the 蒜 from Samguk-yusa, is identified with Allium ursinum (bear’s leek) and 艾 also represents a more extensive group of herbs including Artemis (mugwort) but also Synurus in Linnaean taxonomy.
      Ungnyeo’s new image, realized from this comparative ethnobotanical approach, is now not the upgraded personality of an animal, but a woman who has given up her totem deity by taking her favorite herbs with the free will of life. From this alternative perspective of the Dangun myth, Ungnyeo’s patriarchical framing is completely overturned and her transformation from divine goddess to a human being is considered to be a prototype of incarnation in Christianity.
      번역하기

      This paper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wild plants 艾 and 蒜 mentioned in the Dangun myth are the same as the mugwort and garlic known to modern Korean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the bitter and pungent plants were given ...

      This paper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wild plants 艾 and 蒜 mentioned in the Dangun myth are the same as the mugwort and garlic known to modern Korean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the bitter and pungent plants were given to a she-bear, who had to persevere for 100 days in a dark cave to transform into the well-domesticated woman Ungnyeo.
      Searching for commonalities of the myth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it was necessary to broaden the ethnobotanical horizon to the whole of Eurasia, comprehensively tracing bear worship symbolized as Ungnyeo, Artemis as mugwort and Allium as garlic according to Linnaean taxonomy, and finding that the Korean Ungnyeo has the same genealogy of mythical roots as the European she-bear deity Artio and the goddess Artemis. In a more scientific analysis of the bitter and pungent plants mistranslated as “a bunch of holy mugwort and twenty cloves of garlic” in Samguk-yusa, an ethnobotanical methodology and vocabulary from 24 languages on the Eurasian continent reveal that the plants co-evolved first with bears, and then with humankind in northen Eurasia. In conclusion, the favorite food of bears after hibernation, i.e., the 蒜 from Samguk-yusa, is identified with Allium ursinum (bear’s leek) and 艾 also represents a more extensive group of herbs including Artemis (mugwort) but also Synurus in Linnaean taxonomy.
      Ungnyeo’s new image, realized from this comparative ethnobotanical approach, is now not the upgraded personality of an animal, but a woman who has given up her totem deity by taking her favorite herbs with the free will of life. From this alternative perspective of the Dangun myth, Ungnyeo’s patriarchical framing is completely overturned and her transformation from divine goddess to a human being is considered to be a prototype of incarnation in Christia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유라시아 대륙의 곰 신앙
      • Ⅲ. 민족식물학의 연구 방법
      • Ⅳ. 쑥과 마늘의 민족식물학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유라시아 대륙의 곰 신앙
      • Ⅲ. 민족식물학의 연구 방법
      • Ⅳ. 쑥과 마늘의 민족식물학
      • Ⅴ. 결론 : 웅녀의 약초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세진, "훈몽자회" 조선광문회

      2 김택규,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202-, 1985

      3 임석재, "한국구비설화 6, 충청남도편" 평민사 212-, 1993

      4 서유구, "임원경제지" 소와당

      5 천소영, "음식물명어고" 2 : 134-, 1984

      6 이유진, "예수셴의 「곰 토템」, 왜 문제적인가?" 중국어문학연구회 (77) : 543-566, 2012

      7 곽진석, "시베리아 만주-퉁구스족 곰 신화의 양상과 유형에 대한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25-449, 2011

      8 김종덕, "마늘(大蒜)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대산, 소산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9 : 287-299, 1997

      9 김헌선, "동북아시아 곰신화 비교와 곰의례 연구-한국, 만주, 아이누의 곰신화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0 : 157-235, 2005

      10 강영주, "동북아시아 곰 설화에 나타난 여성의 위상(位相)" 한국여성문학학회 (29) : 167-194, 2013

      1 최세진, "훈몽자회" 조선광문회

      2 김택규,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202-, 1985

      3 임석재, "한국구비설화 6, 충청남도편" 평민사 212-, 1993

      4 서유구, "임원경제지" 소와당

      5 천소영, "음식물명어고" 2 : 134-, 1984

      6 이유진, "예수셴의 「곰 토템」, 왜 문제적인가?" 중국어문학연구회 (77) : 543-566, 2012

      7 곽진석, "시베리아 만주-퉁구스족 곰 신화의 양상과 유형에 대한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25-449, 2011

      8 김종덕, "마늘(大蒜)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대산, 소산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9 : 287-299, 1997

      9 김헌선, "동북아시아 곰신화 비교와 곰의례 연구-한국, 만주, 아이누의 곰신화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0 : 157-235, 2005

      10 강영주, "동북아시아 곰 설화에 나타난 여성의 위상(位相)" 한국여성문학학회 (29) : 167-194, 2013

      11 홍석모, "동국세시기" 민속원

      12 강영경, "단군신화에 나타난 웅녀의 역할" 한국여성사학회 (16) : 37-68, 2012

      13 임재해, "단군신화에 갈무리된 문화적 원형과 민족문화의 정체성" 단군학회 16 : 275-350, 2007

      14 이승호, "단군 - 역사와 신화, 그리고 민족" 역사문제연구소 (117) : 224-251, 2016

      15 강정원, "니브히 곰의례 민속지"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16 : 39-62, 2011

      16 "구급간이방언해"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17 김관웅, "고조선의 단군신화와 동이문화의 연관성-곰 토템 숭배를 주축으로 한 신화전설을 중심으로" 연민학회 15 : 5-38, 2011

      18 유득공, "경도잡지" 국립민속박물관

      19 정태현, "韓國植物圖鑑" 新志社 1956

      20 "荊楚歲時記"

      21 "爾雅" 中華書局

      22 "本草綱目" 商務印書館

      23 임태치, "救荒植物と其の食用法" 朝鮮新書 1944

      24 "宋史" 경인문화사

      25 "契丹國志" 藝文印書館

      26 Drancine Fèvre, "利氏中國植物名稱辭典" Association Ricci 2005

      27 김재희, "『임원경제지』의 나물과 21세기 민족식물학 - 「관휴지(灌畦志)」와 「인제지(仁濟志)」를 중심으로 -" 국립민속박물관 (36) : 59-84, 2015

      28 박광민, "‘고조선 편’의 내용과 ‘고조선’ 지명에 대한 고찰과 변정(辨正): 삼국유사와 중국 정사(正史)의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6 (16): 1-34, 2017

      29 윤명철, "‘고조선 문화권’의 海洋經濟에 대한 탐구" 단군학회 36 (36): 163-204, 2017

      30 Freud, Sigmund, "Totem and Taboo. Resemblances between the psychic lives of savages and, neurotics" Moffat, Yard and company 67-, 1919

      31 Storl, Wolf D., "The Untold History of Healing" North Atlantic Books 87-90, 2017

      32 Gimbutas, Marija, "The Language of the Goddess: Unearthing the Hidden Symbols of Western, Civilization" Harper & Row 116-, 1989

      33 Bevan, Elinor, "The Goddess Artemis and the Dedication of Bears in Sanctuaries" Cambridge Univ 82 : 17-21, 1987

      34 Kustova, Julia, "Roter Altai, gib dein Echo!" Universitätsverlag 266-277, 2005

      35 Plinius, C., "Plinii Secundi Naturalis historia, Band 4" Weidmannos 85-, 1866

      36 Levy, Sharon, "Once & Future Giants: What Ice Age Extinctions Tell Us about the Fate of Earth’s Largest Animals" Oxford University Press 177-, 2011

      37 Kuete, Victor, "Medicinal Spices and Vegetables from Africa" elsevier 363-377, 2017

      38 Haarmann, Harald, "Introducing the Mythological Crescent : Ancient Beliefs, and Imagery connecting Eurasia with Anatolia" Otto Harrassowitz 2009

      39 Boas, Franz, "Folk-Tales of Salishan and Sahaptin Tribes" 1917

      40 Flora of North America, "Flora of North America" Oxford Univ. Press 2003

      41 Rosch, E., "Family Resemblances: Studies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Categories" elsvier 7 : 573-605, 1957

      42 Svanberg, "Ethnobiology" Wiley-Blackwell 189-212, 2011

      43 Mallory, James,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Routledge 55-, 1997

      44 McKitterick, Rosamond, "Charlemagne : the Formation of a European identity" Cambridge Univ. Press 149-154, 2008

      45 Batchelor, John, "Ainu economic plants" Asiatic Society of Japan 221 : 198-240, 1893

      46 Łukasz Łuczaj, "Acta Societatis Botanicorum Poloniae" Polish Botanical Society 359-370, 2012

      47 Choi, H.J., "A partial revision of Allium in Korea and north-eastern China" Linnean Society 167 : 153-211, 2011

      48 Storl, Wolf D., "A Curious History of Vegetables" North Atlantic Books 151-15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