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방정환의 초기 소설 「流帆」(흘러가는 돛)이 지닌 문학사적 위치를 진단하고 재평가를 시도한 연구이다. 「유범」은 『개벽』창간호에 ‘목성’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소파 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310042
2015
Korean
방정환 ; 근대소설 ; 「유범」 ; 검열 ; 3 · 1운동 ; 『개벽』 ; 연애 ; 조선 독립 ; Bang Jung Hwan ; modern novel ; 「Yoo-bum」 ; censorship ;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 『Gae-byuk』
KCI등재
학술저널
365-395(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방정환의 초기 소설 「流帆」(흘러가는 돛)이 지닌 문학사적 위치를 진단하고 재평가를 시도한 연구이다. 「유범」은 『개벽』창간호에 ‘목성’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소파 방...
이 논문은 방정환의 초기 소설 「流帆」(흘러가는 돛)이 지닌 문학사적 위치를 진단하고 재평가를 시도한 연구이다. 「유범」은 『개벽』창간호에 ‘목성’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소파 방정환의 소설이다.
본고는 1919년 3 · 1운동 이후, 이를 소재로 취한 최초의 항일 저항소설로서 방정환의 소설「유범」을 재평가하였다. 이 소설은 표층적으로는 연애서사를 다루고 있지만, 학생들의 비밀결사 활동과 3 · 1 만세운동과 관련된 서사를 은닉시키고 ‘독립’에 대한 서사 욕망을 뚜렷하게 부조해 낸다.
본고는 방정환의 소설 「유범」에 내포된 항일 저항적 성격을 밝히기 위해 ‘서사 공간’과 ‘서사 전략’의 측면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서사 공간’에서는 일제에 의해 삭제된 ‘4행’의 시편에 내포된 ‘독립’ 기표화의 전략과 소설의 무대가 된 인상산 ‘곱은성’의 지리학적 상상력에 대해 논의하였다. ‘서사 전략’의 측면에서는 「유범」에 나타난 은어의 양상을 검열 제도와 관련지어 해석하고, 소설에서 제시되고 있는 ‘오후 2시’ 기표를 ‘3 · 1운동’ 당시 ‘조선독립선언’을 발표하던 시점과 결부하여 해석하였다. 은어의 사용, 생략적 대화, 시간 축약, 공간 암시, 지시 대상의 생략 등 「유범」의서술 기법을 분석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makes a diagnosis of the literary position that「Yoo-bum」(a flowing sail), Bang Jung Hwan"s early fiction has. And this study attempts to revalue it.「Yoo-bum」was the only fiction that the first issue of『Gae-byuk』 contained. It wa...
This study makes a diagnosis of the literary position that「Yoo-bum」(a flowing sail), Bang Jung Hwan"s early fiction has. And this study attempts to revalue it.「Yoo-bum」was the only fiction that the first issue of『Gae-byuk』 contained. It was also the first work of fiction that was dealt with of students" secret society activities and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It was published under a pseudonym of "Moksung’(the shepherd of stars), when the publication was made. So this work did not become well known as Bang Jung Hwan"s fiction in the history of general literature.
In the mean time,「Yoo-bum」, Bang Jung Hwan"s fiction has been studied on the level of "a love story" several times. But the resistant elements to Japan of this fiction has actually been ignored. In fact, this fiction was equipped with the narrative that internalized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Lots of works have been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since Korea"s emancipation. However, the status of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of this fiction is unrivaled in terms of nerrativizing those themes in the censorship of Japanese imperialism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Most of all,「Yoo-bum」was also the only writing that cinematized the word of "independence" for the polling booth in the middle of going through the whole of the first issue of『Gae-byuk』.
Having views on these points, this study analyzes how Bang Jung Hwan internalized his narrative desire of "Bang Jung Hwan(an intellectual as well as a young man at that time)"s independence" in his fiction「Yoo-bum」. This study analyzes the implied narrative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jargon, an elliptical talk, time short, omission of the subject to instructions which 「Yoo-bum」practically used while it stood against the system of the censorship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is study illuminates the literary value of「Yoo-bum」 as the first anti-Japan fiction resistance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On discussing these things, this study examines the organic relevance between the preparation process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Bang Jung Hwan"s experiential narrative in terms of a cultural histo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서,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기록과 증언" 책이있는 풍경 2010
2 정진석, "한국언론사" 나남출판사 1990
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Ⅱ"
4 이기흥,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365-, 2010
5 이원수, "어린이찬미" 범우사 2006
6 이태운, "소파 선생과 3․1운동" 1962
7 이태운, "소파 방정환 문학전집 8권" 문천사 26-27, 1974
8 김호일, "삼ㆍ1運動考" 중앙대 인문과학연구소 12 : 159-, 1986
9 서희경, "방정환의 소설 ‘그날 밤’에 나타난 연애 서사와 신여성관" 방정환연구소 26-, 2015
10 장일구, "공간의 시학" 예림기획 23-, 2002
1 박성서,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기록과 증언" 책이있는 풍경 2010
2 정진석, "한국언론사" 나남출판사 1990
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Ⅱ"
4 이기흥,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365-, 2010
5 이원수, "어린이찬미" 범우사 2006
6 이태운, "소파 선생과 3․1운동" 1962
7 이태운, "소파 방정환 문학전집 8권" 문천사 26-27, 1974
8 김호일, "삼ㆍ1運動考" 중앙대 인문과학연구소 12 : 159-, 1986
9 서희경, "방정환의 소설 ‘그날 밤’에 나타난 연애 서사와 신여성관" 방정환연구소 26-, 2015
10 장일구, "공간의 시학" 예림기획 23-, 2002
11 誠嚴學人, "개벽 영인본" 1969
12 최수일, "개벽 연구" 소명출판 2008
13 김근수, "개벽 압수원본선집" 동방문화사 2007
14 장정희, "方定煥 文學 硏究 : '소년소설'의 장르의식과 서사전략을 중심으로" 고려대 2013
15 이종호, "『개벽』의 원문 분석을 통한 1920년대 검열제도 연구" 동국대 2005
16 염희경, "‘소설가’ 방정환과 근대 단편소설의 두 계보"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3) : 117-149, 2013
17 최수일, "‘개벽’에 대한 서지적 고찰 - 소장처와 판본의 문제" 민족문학사학회 27 : 266-292, 2005
18 김호일, "3․1운동 고" 인문과학연구소 (12) : 179-, 1986
19 朴聖澤, "3·1 運動과 學生層의 役割"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1978
20 최수일, "1920년대 문학과 『개벽』의 위상" 성균관대학교 2002
21 김복순, "1910년대 한국문학과 근대성" 소명출판 246-, 199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3-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 | 1.362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