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전남지역 유아들이 성, 연령, 지역, 설립유형, 부모의 직업, 출생순위, 재원기간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이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전남지역 유아들이 성, 연령, 지역, 설립유형, 부모의 직업, 출생순위, 재원기간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이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전남지역 유아들이 성, 연령, 지역, 설립유형, 부모의 직업, 출생순위, 재원기간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이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김영옥(2003)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척도(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PBSYC)를 사용하여 만 3,4,5세 542명의 유아를 관찰하여 평정하였다. 연구결과 광주․전남지역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성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과 거주지역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설립유형, 부모의 직업, 출생순위 및 재원기간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지역사회 차원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후속연구에 근거를 제공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onditions of prosocial behaviors for the children in Gwangju and the Chonnam area according to gender, age, living area, foundation type, parents' occupations, birth rank, and period of attendance. To this 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onditions of prosocial behaviors for the children in Gwangju and the Chonnam area according to gender, age, living area, foundation type, parents' occupations, birth rank, and period of attendance. To this end, the prosocial behaviors of 542 children aged 3, 4, and 5 years were determined using ‘A Rating Scale of Children’s Prosoical Behaviors (PBSYC, Kim Young Ok, 2003).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no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Second, from all the subfields of prosocial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etween ages and living areas statistically.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social behaviors depending on foundation type, parents' occupations, birth rank, and period of attendance.
참고문헌 (Reference)
1 "형제간 또래간 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가족인구학적 변인" 1990
2 "한국전래동화에 나타난 친사회적 행동의 분석" 24 (24): 207-224, 2004
3 "한국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실태 연구" 25 (25): 51-75, 2005
4 "취업모의 인지 훈육적 양육방식과 아동의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1989
5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평가 척도 개발 연구" 24 (24): 105-118, 2003
6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관한 연구:돕기, 나누기 행동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 생활과학연구소 5 : 155-167, 2000
7 "유아의 친사회적 추론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해" 3 (3): 89-108, 2000
8 "유아의 연령 및 성별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24 (24): 41-53, 2003
9 "유아의 연령" 1994
10 "유아교육백서" 양서원 2003
1 "형제간 또래간 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가족인구학적 변인" 1990
2 "한국전래동화에 나타난 친사회적 행동의 분석" 24 (24): 207-224, 2004
3 "한국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실태 연구" 25 (25): 51-75, 2005
4 "취업모의 인지 훈육적 양육방식과 아동의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1989
5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평가 척도 개발 연구" 24 (24): 105-118, 2003
6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관한 연구:돕기, 나누기 행동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 생활과학연구소 5 : 155-167, 2000
7 "유아의 친사회적 추론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해" 3 (3): 89-108, 2000
8 "유아의 연령 및 성별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24 (24): 41-53, 2003
9 "유아의 연령" 1994
10 "유아교육백서" 양서원 2003
11 "영아기 어머니의 수유방법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2002
12 "어머니의 훈육방법과 아동의 감정이입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1985
13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1993
14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경향과 훈련효과에 관한 연구" 1984
15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부모와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6 : 151-172, 2003
16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도덕판단력에 관한 연구; 나눠주기" 1991
17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 추론과 친사회적 행동" 1995
18 "아동의 이타행동의 발달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1986
19 "아동의 공감발달 및 관련변인" 1987
20 "부모의 친사회적 행동에 따른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및 사회적 불안" 1998
21 "부모의 온정 및 통제와 아동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 1989
22 "부모의 온정" 1990
23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24 (24): 115-143, 2004
24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2001
25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른 아동의 놀이실 행동" 1992
26 "보육교사 행동의 질적 수준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특성" 1996
27 "과제부담과 종류에 따른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추론과 친사회적 행동" 17 (17): 275-288, 1996
28 "공감과 사회적 평가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1994
29 "and helping by children and adolescents" 534-541, 1985
30 "What a little help from my friends" 685-699, 1992
31 "Thresholds of quality Implications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center-based child care" 449-460, 1992
32 "The role of perspective taking and empathy i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1993 SRCD Meetings" 1993
33 "The role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in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1360-1384, 1995
34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 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39-53, 1988
35 "The effects of social class on parental values and practices Dying or Developing? N" Plenum 1979
36 "The Roots of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37 "Teaching children to care Engendering prosocial behavior through humanistic parenting Journal of Humanistic Counseling" 37 (37): 66-77, 1998
38 "Social-emotional predictors of preschoolers' responses to adult negative emot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9-71, 1992
39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acific Grove, CA:Brooks/Cole 2000
40 "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2005
41 "Siblings and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65-284, 1986
42 "Relations between preschool children's child-care experiences and concurrent development:The cost, quality, and outcomes study" 43 (43): 451-477, 1997
43 "Prosocial development, Handbook of Child Psychology: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5th ed)" Wiley 701-778, 1998
44 "Prosocial development" 35 : 29-71, 1994
45 "Prosocial Development in Children" 1992
46 "Promoting the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Mayfield Publishing Co 1982
47 "Preschool children's response to peer crying" 207-219, 1986
48 "Perspectives of Head Start Parents and Teachers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ement : 1994
49 "Perception of giving and receiving help by group members Representative Research in Social Psychology" 140-151, 1981
50 "Parents' use of enductive discipline:relations to children's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67 (67): 3263-3277, 1996
51 "Parental attribution processes in the socialization of children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 201-233, 1985
52 "Intergenerational perceptions of attachment and prosocial behavior" 30 (30): 59-72, 2000
53 "Influence of age and responsibility focus on children's altruism" 141-148, 1983
54 "Indicators of quality in child care Review of research Quality in Child Care" 1-20, 1987
55 "Household work and the development of concern for others" 32 : 999-1007, 1996
56 "Helping behavior among preschool children" 396-402, 1982
57 "Gender differences in altruistic reputations" & Vinciguerra 97-101, 1985
58 "Gender differences in altruistic reputations" & Vinciguerra 97-101, 1985
59 "Empathy training and the regulation of aggression" 399-413, 1983
60 "Children's relationship with peers Differential associations with asp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253-263, 1994
61 "Children of Six Cultur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5
62 "Children of Different Word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63 "Child Development(5th ed.)" 2000
64 "An observational study of preschool children" 533-543, 1989
65 "A Meta-Analysis of Sibling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al Psychology" 257-266, 1987
유아교육법 시행을 위한 기초 연구유치원 운영실태 평가를 중심으로
개정 AEPS 검사에 기초한 교사용 영아발달 측정도구의 실용화를 위한 예비연구
탐구과학 교수법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와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3-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42 | 2.42 | 2.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7 | 2.56 | 2.707 | 0.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