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표준어를 둘러싼 지금까지의 논의를 쟁점별로 정리하고, 국어 교육의 영역에서 표준어와 관련된 내용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표준어와 관련되는...

      본고의 목적은 표준어를 둘러싼 지금까지의 논의를 쟁점별로 정리하고, 국어 교육의 영역에서 표준어와 관련된 내용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표준어와 관련되는 논의의 주제는 현행 표준어 규정의 세부적 내용에 대한 비판에서부터 표준어 규정이 필요한가라는 근본적인 문제 제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를 현행 표준어 규정의 내용에 대한 검토와 표준어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로 나누어 논의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 가운데 표준어 규정의 내용에 대해서는 표준어의 개념 설정, 표준어 규정의 내용적 체계와 세부 조항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이 이루어졌으며, 표준어 정책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표준어와 방언의 관계 및 표준어 규정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국어교육에서 표준어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표준어 교육의 의미가 단순히 형태의 암기를 반복하는 차원에서 학습자 스스로 수행하는 어휘 교육의 일환으로 확대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ut the discussion about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in order before we search the appropriate policy on the standard language. As the next step,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of standa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ut the discussion about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in order before we search the appropriate policy on the standard language. As the next step,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of standard language education in school. About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in Korean, many studies has been progressed on the various subject -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the examination on the particular stipulations of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the relation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and the basic doubt on the existence of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etc. The organization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In chapter 2, I survey the general points of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1988) focused on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In chapter 3, I make a discussion about the direction of standard language policy in the relation of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Finally, in chapter 4, I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in school education and propose that the meaning of standard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o the general lexical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표준어 규정에 대한 논의
      • 3. 표준어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
      • 4. 표준어의 교육에 대한 논의
      • 〈국문초록〉
      • 1. 서론
      • 2. 표준어 규정에 대한 논의
      • 3. 표준어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
      • 4. 표준어의 교육에 대한 논의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