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여객역(旅客驛)의 입지(立地)가 도시교통체계(都市交通體系)에 미치는 영향(影響) -부산역(釜山驛)의 대안별(代案別) 모의화(模擬化) 분석(分析)- = Impact of Rail Station Relocation on Urban Traffic Patterns: Simulation Analysis of Busan Station Alterna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062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sently, most of rail stations are situated on the surface of dowl1town and thus result in heavy traffic congestion and inefficient use of land.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alternative locations of station On urban traffic patterns by simulati...

      Presently, most of rail stations are situated on the surface of dowl1town and thus result in heavy traffic congestion and inefficient use of land.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alternative locations of station On urban traffic patterns by simulating transportation systems, of Busan city. Since location of station has long-term effects on land use and transportation, 20 years forecast of land use change, trip generation, trip distribution, modal split and network assignment was performed for each alternative, and aggregate Impacts On passenger-km and passenger-hour were computed. The result indicated that Bujeon is the most desirable location of station in terms of traffic movement, compared to the alternative locations of Sasang and existing station. Relocation of rail station, however, should be decided with broader analysis including other aspects, such as urban development, environment, construction and operating costs,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여객역(旅客驛)이 대개 도심(都心)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탓으로 도시(都市)의 성장(成長)과 함께 교통혼잡(交通混雜)의 요인(要因)이 되고 있다. 본(本) 연구(硏究)는 부산(釜山)을 예(例)로 ...

      여객역(旅客驛)이 대개 도심(都心)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탓으로 도시(都市)의 성장(成長)과 함께 교통혼잡(交通混雜)의 요인(要因)이 되고 있다. 본(本) 연구(硏究)는 부산(釜山)을 예(例)로 하여 여객역(旅客驛)의 입지(立地)에 대한 대안(代案)을 설정(設定)하고 시내통행(市內通行) 및 시외연계(市外連繫) 접근통행별(接近通行別)로 통행발생(通行發生), 통행배분(通行配分), 수단선역(手段選擇), 노선배정(路線配定)의 모의실험(模擬實驗) 과정(過程)을 통하여 여객역(旅客驛)의 입지(立地)가 도시교통체계(都市交通體系)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비교(比較) 분석(分析)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