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국회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 관한 연구 -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focused on the National Assembly Records Management Reg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aging and preserving parliamentary archives are significant national tasks. However, in South Korea significance of these tasks have not been recognized. The first exclusive organization for parliamentary archives management was established in 2000, It took about 50 years after the first South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in 1948. The first legislation which regulated parliamentary archives man- agement was enacted in 2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regulation for the last decade. In April 2011 it was newly revised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the Act on Public Records Manage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regulation and discusses various issues concerning the parliamentary archives management system. It divides the history of parliamentary archives management into four periods. It also explores four contentious issues ranging from parliamentary archive designation to archivists assignment. As a result, the study presents four different aspects for developing parliamentary archives management Each aspect proposes three different phased problems respectively.
      번역하기

      Managing and preserving parliamentary archives are significant national tasks. However, in South Korea significance of these tasks have not been recognized. The first exclusive organization for parliamentary archives management was established in 2000...

      Managing and preserving parliamentary archives are significant national tasks. However, in South Korea significance of these tasks have not been recognized. The first exclusive organization for parliamentary archives management was established in 2000, It took about 50 years after the first South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in 1948. The first legislation which regulated parliamentary archives man- agement was enacted in 2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regulation for the last decade. In April 2011 it was newly revised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the Act on Public Records Manage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regulation and discusses various issues concerning the parliamentary archives management system. It divides the history of parliamentary archives management into four periods. It also explores four contentious issues ranging from parliamentary archive designation to archivists assignment. As a result, the study presents four different aspects for developing parliamentary archives management Each aspect proposes three different phased problems resp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입법기관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보존하는 일은 그 무엇으로도 간과될 수 없는 중요한 임무다. 하지만, 정부 수립 이후 우리나라 의회기록의 발전은 그 국가적 중요성을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국회 내 전문 기록물관리기관이 설립된 것이 2000년 1월, 국회기록관리에 대한 최초의 법규인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이 마련된 것이 2001년 11월의 일이다. 그리고 2011년 4월에서야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내용을 반영한 새 규칙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회기록관리체제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대안을 논의한다. 『국회사무처직제』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회기록물관리기관의 연혁을 도입기-준비기-발전기-전환기로 구분하고, 국회영구기록물관리기관 지정․국회소속기관의 기록관․기록관리 전문요원․헌정기념관 등 4가지 쟁점을 분석한다. 결론에 갈음하여, 본 연구는 국회기록관리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조직위상 제고․기록관리체제의 강화․인적자원의 강화․법제도 개선이라는 4가지 측면에서 각각의 단계적 과제를 제시한다.
      번역하기

      입법기관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보존하는 일은 그 무엇으로도 간과될 수 없는 중요한 임무다. 하지만, 정부 수립 이후 우리나라 의회기록의 발전은 그 국가적 중요성을 뒷받침하지 못...

      입법기관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보존하는 일은 그 무엇으로도 간과될 수 없는 중요한 임무다. 하지만, 정부 수립 이후 우리나라 의회기록의 발전은 그 국가적 중요성을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국회 내 전문 기록물관리기관이 설립된 것이 2000년 1월, 국회기록관리에 대한 최초의 법규인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이 마련된 것이 2001년 11월의 일이다. 그리고 2011년 4월에서야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내용을 반영한 새 규칙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회기록관리체제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대안을 논의한다. 『국회사무처직제』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회기록물관리기관의 연혁을 도입기-준비기-발전기-전환기로 구분하고, 국회영구기록물관리기관 지정․국회소속기관의 기록관․기록관리 전문요원․헌정기념관 등 4가지 쟁점을 분석한다. 결론에 갈음하여, 본 연구는 국회기록관리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조직위상 제고․기록관리체제의 강화․인적자원의 강화․법제도 개선이라는 4가지 측면에서 각각의 단계적 과제를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전부개정안 국가기록원 의견. [2011/4/12]"

      2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재수정안에 대한 국회도서관 의견. [2011/2/17]"

      3 "헌법재판소 사무기구에 관한 규칙"

      4 "헌법재판소 기록물관리규칙"

      5 이원규, "헌법기관의 기록물관리에 대한 기대" 국가기록원 3-16, 2008

      6 김형국, "헌법기관 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 강화 및 국가기록원과의 협력 방안 제언" 국가기록원 81-89, 2008

      7 이상훈, "한국정부 수립 이후 행정체제의 변동과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편(1948년~64년)" 한국기록학회 (21) : 169-246, 2009

      8 서혜란, "한국 공공기록관리 정책의 연대기적 검토" 한국기록관리학회 9 (9): 189-214, 2009

      9 황난희, "지방의회 회의기록물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67-280, 2010

      10 국회운영위원회 수석전문위원실, "제298회 국회(임시회) 법안심사소위원회 심자자료: 국회기록물 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2011/3]"

      1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전부개정안 국가기록원 의견. [2011/4/12]"

      2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재수정안에 대한 국회도서관 의견. [2011/2/17]"

      3 "헌법재판소 사무기구에 관한 규칙"

      4 "헌법재판소 기록물관리규칙"

      5 이원규, "헌법기관의 기록물관리에 대한 기대" 국가기록원 3-16, 2008

      6 김형국, "헌법기관 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 강화 및 국가기록원과의 협력 방안 제언" 국가기록원 81-89, 2008

      7 이상훈, "한국정부 수립 이후 행정체제의 변동과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편(1948년~64년)" 한국기록학회 (21) : 169-246, 2009

      8 서혜란, "한국 공공기록관리 정책의 연대기적 검토" 한국기록관리학회 9 (9): 189-214, 2009

      9 황난희, "지방의회 회의기록물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67-280, 2010

      10 국회운영위원회 수석전문위원실, "제298회 국회(임시회) 법안심사소위원회 심자자료: 국회기록물 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2011/3]"

      11 국회운영위원회 수석전문위원실, "제287회 국회(임시회) 법안심사소위원회 심자자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2011/2]"

      12 국회운영위원회, "제284회 국회(정기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제안설명. [2009/10]"

      13 "정부조직법"

      14 이원영, "의회기록의 특질과 종류" 한국기록학회 (9호) : 110-142, 2004

      15 "선거관리위원회 사무기구에 관한 규칙"

      16 "선거관리위원회 기록물관리규칙"

      17 "법원사무기구에 관한 규칙"

      18 "법원기록물관리규칙"

      19 이승일, "법원기록관리체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0 (10): 31-53, 2010

      20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21 이승일, "기록물관리법의 제정과 국회기록관리체제의 개편(1999~2008)" 한국기록학회 (18) : 37-89, 2008

      22 이영학,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운영 현황과 전망" 한국기록학회 (21) : 323-353, 2009

      23 임진희, "국회전자기록관리체계 발전방안- ISP 접근법을 이용하여" 21-31, 2011

      24 한은정, "국회의원 활동기록의 특성과 관리방향" 한국기록학회 21 (21): 117-167, 2009

      25 "국회법"

      26 "국회도서관직제"

      27 "국회도서관법"

      28 이승휘, "국회기록보존소의 역할과 위상 확립" 17-23, 2010

      29 이승일, "국회기록보존소의 성과와 전망" 국가기록원 3-16, 2008

      30 김장환, "국회기록물의 공개 및 활용을 위한 발전방향" 2010

      31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안 주요 개정사항. 2011/4/5"

      32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안)․국회기록물관리규정(안)․국회기록물 관리내규(안) 3단비교표. [2010/6/17]"

      33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안). [2010/5/28]"

      34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2 011/4/5"

      35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주요변경 내용. 2011/4/11"

      36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접근권한 관련 의견조회. 2011/2/21"

      37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의견조회. 2011/3/14"

      38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의견조회. 2011/2/14"

      39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에 대한 국회기록보존소 의견.2011/4/4"

      40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수정의견. 2011/4/6"

      41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관련 답변. 2011/4/1"

      42 국회운영위원회 수석전문위원실,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의장제의) 조문대비표. [2011/4]"

      43 국회운영위원회 수석전문위원실,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주요내용. [2011/4]"

      44 국회운영위원회 수석전문위원,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검토보고. [2010/2]" 2010

      45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검토보고 에 대한 국회기록 보존소의 의견. [2010/2/16]"

      46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검토보고에 대한 국회도서관 의견. 2010/4/21"

      47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 개정규칙안 수정안 제37조에 대한 국회도서관의 의견. 2011/2/21"

      48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수정안에 대한 의견. 2011/2/21"

      49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국회도서관 의견. 2011/4/12"

      50 임진희, "국회기록물 관리 방안 및 향후 과제" 27-35, 2010

      51 김정순,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의 이해" 1-20, 2011

      52 이원영, "국회기록 인터넷 정보서비스 개선 방안" 한국정보관리학회 22 (22): 5-20, 2005

      53 서연주, "국회 기록관리 체제정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2 (22): 201-211, 2005

      54 국회도서관, "국회 관련 주요 기록정보자료 관련 국회도서관 의견. 2011/2/23"

      55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기록관리혁신전문위원회, "국가기록관리혁신 로드맵"

      56 이영학, "국가기록관리정책의 미래" 한국기록관리학회 9 (9): 215-231, 2009

      57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58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59 이승일, "1960년대 초반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의 수립과정과 제도적 특징" 한국기록관리학회 7 (7): 43-71,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4-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7-04-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e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6 1.607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