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냉전기 중국이 북 · 중 동맹관계의 강화를 이끌어가고자 한 결정적인 동기는 소련과 미국 등 강대국과의 관계변화에 따른 북한의 지지에 대한 절실한 필요성에 기반하고 있음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68991
2011
Korean
340.5
KCI등재
학술저널
125-154(30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냉전기 중국이 북 · 중 동맹관계의 강화를 이끌어가고자 한 결정적인 동기는 소련과 미국 등 강대국과의 관계변화에 따른 북한의 지지에 대한 절실한 필요성에 기반하고 있음을 ...
이 논문은 냉전기 중국이 북 · 중 동맹관계의 강화를 이끌어가고자 한 결정적인 동기는 소련과 미국 등 강대국과의 관계변화에 따른 북한의 지지에 대한 절실한 필요성에 기반하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냉전기 북 · 중 동맹관계는 하나의 고정된 형태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갈등과 우호적인 관계를 반복하면서 변화해 왔다. 냉전기 동안 중국과 북한이 우호적인 동맹관계를 형성한 시기는 두 시기뿐이며, 이 두시기에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에서 우호적인 관계를 강화한 주된 이유는 미국과 소련 등 강대국과 관계가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에 따른 북한의 지지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탈냉전기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1992년 한 · 중수교가 되고 중 · 미 간의 관계가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시기에 중국에게 북한은 덜 주목을 받았다. 그 결과 이 시기 한국이나 중국의 학자들 사이에서는 양국관계가 특수한 동맹관계에서 정상국가 간의 일반적인 동반자관계로 전환되었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력 성장에 기반하여 세계적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과 미국 사이의 경쟁이 점차 가시화되고, 특히 2010년 천안함사건을 거치면서 중국과 미국 관계가 경색되기 시작하고 한 · 미 · 일 동맹 강화가 가시화되는 듯이 보이자, 중국과 북한과의 관계도 마치 전통적인 혈맹관계를 유지하는 것 같은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북 · 중동맹의 동학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의 대중정책의 방향설정에 중요한 함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즉 중국과 미국 간의 관계가 원만하게 전개되고, 남북관계가 우호적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북 · 중 동맹관계도 전통적인 혈맹이 아니라 일상적인 국가 간의 관계로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중국과 미국이 대립되고 남북관계가 심각한 갈등관계를 나타낼 때, 중국은 북한과 강고한 동맹관계를 복원하는 대북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으며, 그 결과 북 · 중동맹과 한 · 미동맹이 대립하는 형태로 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동북아지역의 평화의 정착에 최악의 상황임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남북한의 주변 강대국에 대한 대외적 의존성의 심화를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중 · 미가 최악의 대립상황으로 가는 것을 막고 남북한의 대화와 협력을 통하여, 동북아의 평화적인 조건을 유지하면서 외교적 자립성을 높여감으로써 양호한 안보 및 통일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emonstrates what was China’s motivation for tightening up the alliance with North Korea in Cold War era. Changes in relationship with Soviet Union and U.S. forced China to tighten up the alliance with North Korea to secure North Korea...
This article demonstrates what was China’s motivation for tightening up the alliance with North Korea in Cold War era. Changes in relationship with Soviet Union and U.S. forced China to tighten up the alliance with North Korea to secure North Korea’s supports in cold war diplomacy. China-North Korea alliance was not static and stable one during the cold war era. Rather, it was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amity and hostility.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only occurred twice during the period of cold war. China needed strategic action to maintain corporative alliance with North Korea, originated from changing relationship with superpower countries, mainly U.S. and Soviet Union.
China-North Korea relation shows same pattern during the post cold-war era. While establishing diplomatic ties with South Korea in 1992, as well as enjoying the period of affinity with U.S., China paid less attention to North Korea. Accordingly, some scholars from China and South Korea declared a switch of foreign relation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from strategic alliance to normal partnership. During recent years, however, strong strategic relationship emerged again between two countries.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growth of China’s national power based on rapid economic development has mounted political tension between China and U.S. In addition, the tragedy Cheonan ship sink by North Korean torpedo attach stiffened China-U.S. relationship, and tightened up trilateral alliance of U.S., Japan, and South Korea. As a result, Chinese foreign policy took back actions of strong strategic alliance with North Korea.
Understanding of this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give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South Korea’s foreign policy toward China. When the relationships of U.S.-China and North-South Korea develop corporative ones, it is likely to bring normal partnership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rather than strong strategic alliance. On the contrary, when China confronts U.S. and Korea conflicts with North Korea seriously, Chinese government will go back to seek strong supports from North Korea, resulting in polarity between South Korea-U.S. and North Korea-China alliances. Moreover, the confrontation between two alliances would become a source of insecurity in the Northeast Asia and deepen South Korea’s dependence on great powers around the region.
Therefore, South Korea’s foreign policy should focus on preventing confrontation between China and U.S. and enhancing inter-Korean corporation to stabilize security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lso, South Korea should build up ability to maneuver independent foreign policy to create peaceful environment for regional security and reunification of two Korea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진영, "현대중국정치론" 나남 1997
2 송영주, "한중관계론" 지영사 1993
3 박창희, "지정학적 이익 변화와 북중동맹관계기원, 발전, 그리고 전망" 아태지역연구센터 31 (31): 27-55, 2007
4 이춘호, "중조관계의 변화와 그 전망" 아태지역연구센터 31 (31): 13-26, 2007
5 이정남, "중국의 전략적 동반자외교에 대한 이해와 한중관계"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17 (17): 100-121, 2009
6 박규태, "중국의 대북관계: ‘전통적 우호관계’의 특성" 22 : 2003
7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73
8 최명해,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우호, 협조, 및 호상 원조에 관한 조약 in: 중국・북한 동맹관계" 2009
9 Choudhury, G.W, "약소국 생존론" 대왕사 1995
10 박홍서, "북핵위기시 중국의 대북 동맹안보딜레마 관리 연구: -대미관계의 변화를 주요 동인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6 (46): 103-122, 2006
1 서진영, "현대중국정치론" 나남 1997
2 송영주, "한중관계론" 지영사 1993
3 박창희, "지정학적 이익 변화와 북중동맹관계기원, 발전, 그리고 전망" 아태지역연구센터 31 (31): 27-55, 2007
4 이춘호, "중조관계의 변화와 그 전망" 아태지역연구센터 31 (31): 13-26, 2007
5 이정남, "중국의 전략적 동반자외교에 대한 이해와 한중관계"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17 (17): 100-121, 2009
6 박규태, "중국의 대북관계: ‘전통적 우호관계’의 특성" 22 : 2003
7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73
8 최명해,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우호, 협조, 및 호상 원조에 관한 조약 in: 중국・북한 동맹관계" 2009
9 Choudhury, G.W, "약소국 생존론" 대왕사 1995
10 박홍서, "북핵위기시 중국의 대북 동맹안보딜레마 관리 연구: -대미관계의 변화를 주요 동인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6 (46): 103-122, 2006
11 최명해, "북한・중국 동맹관계" 오름 2009
12 이종석, "북한-중국관계: 1945-2000" 중심 2000
13 시모노토마이 노부오, "북한 정권탄생의 진실" 기파랑 2006
14 이상우, "북한 40년" 을유문화사 1990
15 정진위, "북방 3각 관계: 북한의 대중・소 관계를 중심으로" 법문사 1987
16 최명해, "북∙중 동맹조약 체결에 관한 소고" 한국정치학회 42 (42): 317-340, 2008
17 조영남, "동아시아와 중국의 동맹정책 in: 미래지향적 한・중관계" 폴리테이아 2009
18 이상숙, "데탕트 시기 북중관계의 비대칭갈등과 그 영향" 한국정치학회 42 (42): 439-456, 2008
19 陶常梅, "独立自主外交政策下的中朝关系" 23 (23): 2008
20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毛泽东外交文选" 中央文献出版社 1994
21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毛泽东外交文选" 中央文献出版社 1994
22 李南周, "朝鲜的变化与中朝关系-从“传统友好合作关系”到“实利关系" (9) : 2005
23 李天英, "朝鲜半岛的地缘政治与中国安全" (2) : 2004
24 叶自成, "新中国外交思想:从毛泽东到邓小平" 北京大学出版社 2001
25 刘卫, "抗美援朝与援越抗美-论中国在两次战争中不同外交战略选择" 2006
26 周恩来, "周恩来年谱(中)" 中央文献出版社 1997
27 中共中央文献研究室, "周恩来军事文集, in 第4卷" 人民出版社 1999
28 金正昆, "伙伴战略:中国外交的理性抉择" 7 : 2000
29 陆俊元, "从地缘战略看朝鲜半岛的安全价值" 4 : 1996
30 庞朕, "从同盟到伙伴:中朝关系的历史演变" (3) : 2008
31 "人民日報(해외판)" 1992
32 钱其琛, "中韩建交,金日成冷对中国客人" (6) : 2010
33 张英, "中朝关系与朝鲜半岛和平统一" 2003
34 李敦球, "中朝:从友好邻邦到友好合作伙伴" (22) : 2005
35 徐用, "东北地缘战略因素与抗美援朝战争关系再探讨" (6) : 2007
36 Hart, Tom, "The PRC-DPRK Rapprochement and China’s Dilemma in Korea" 25 (25): 2001
37 Chambers, Michael R, "Dealing with a Truculent Ally: A Comparative Perspective on China’s Handing of North Korea" (5) : 2005
38 Scobell, Andrew, "China and North Korea; The Limits of Influence" 102 (102): 2003
39 Ji, You, "China and North Korea; A Fragile Relationship of Strategic Convenience" 10 (10): 2001
40 Lee, Jae-Jin, "China and Korea: Dynamic Relations" Hoover Institution 1996
41 Zhai, Qiang, "Beijing and the Vietnam Conglict, 1964-1965: New Chinese Evidence" CWIHP Bulletin (6) : 1996
42 서진영, "21세기 중국의 외교정책" 폴리테이아 2006
뉴미디어를 통한 소통 채널의 확장과 정치참여 변화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Peace Studies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5-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평화연구소 ->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영문명 : Institute for Peace Studies, Korea University -> Peace & Democracy Institute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2 | 0.82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74 | 1.224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