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羅 聖德王代 '上宰' 金順貞과 對日交涉 = Prime Minister Kim Sun-jeong and the Negotiation with Japan in Reign of King Seongdeok of Si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0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8세기 전반 성덕왕대(702~737)의 정치사회적 성격에 대한 평가는 전제왕권의 극성기, 또는 하대로의 전환기로 엇갈리고 있다. 이러한 데는 성덕왕대 정치세력의 동향을, 전제왕권을 옹호하는 ...

      8세기 전반 성덕왕대(702~737)의 정치사회적 성격에 대한 평가는 전제왕권의 극성기, 또는 하대로의 전환기로 엇갈리고 있다. 이러한 데는 성덕왕대 정치세력의 동향을, 전제왕권을 옹호하는 왕당파와 반전제주의세력의 대립갈등이라는 구조로 파악한 데 있다고 본다. 사실《속일본기》에서는 金順貞과 그의 孫 金邕 景德王에 대하여 친일본 정책의 주도자로서, 孝成王과 金思恭에 대해서는 대일강경책의 주도자로 평가하였다. 이로 인하여 "갈등론적 시각"의 논자들은 대체로 김순정과 김옹을 반전제주의 세력으로, 김사공에 대해서는 전제주의를 옹호하는 왕당파로 여겨 왔다. 이에 필자는 성덕왕대 대일 교섭을 주도했던 金順貞의 신라 내에서의 정치사회적 위치를 그의 가계와 "上宰"라는 직함을 중심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金思恭과 金順貞의 대당·대일정책의 성격을 성덕왕대 대외 정책 및 이를 주도했던 세력과 관련하여 살피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성덕왕대 이후 중대 왕실은, 무열왕계의 혈연을 바탕으로 하여 왕실을 관장하는 내성사신(전중령)으로 상재직에 보임하여 그 지위를 승계케 함으로써, 나물왕계 진골 출신의 도전에 대하여 왕통과 왕권을 수호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김순정의 대일 교섭 또한 성덕왕대의 변화하는 국제정세에 맞추어 우선 외고 대상국을 일본에서 당으로 바꾸면서도, 일본의 요청에 부응하여 국교를 맺는 등 일본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풀어왔다. 이후 국제적인 위상을 갖춘 신라는 당에 대해서는 군자국, 그리고 일본에 대해서는 왕성국이라 일컬으며 신라의 존엄을 과시하는 적극적인 대외정책을 폈던 것으로 이해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 discrepancy in the evaluation about the polit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the reign of King Seondeok(702~737) in the early 8th century, of which one is to regard it as the prime time of autocracy and the other is the turning point to ...

      There is a discrepancy in the evaluation about the polit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the reign of King Seondeok(702~737) in the early 8th century, of which one is to regard it as the prime time of autocracy and the other is the turning point to the late period of Silla. It seems to result from understanding the movements of political forces in that time as conflicting structure between Royalists and Anti-autocracy.
      In fact, Shoku Nihongi evaluated Kim Sun-jeong, Kim Ong, his grand son, and King Gyeongdeok as leaders of Pro-Japanese policies while King Hyoseong and Kim Sa-gong as leading hard liners against Japan.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rs with the view of conflict theory have thought of Kim Sun-jeong and Kim Ong as Anti-autocratic forces but Kim Sa-gong as a Royalist advocating the Autocracy.
      In this article, the author attempted to uncover Kim Sun-jeong"s political and social position in Silla in aspect of his lineage and his title, Prime minister. Additionally,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the policies to Tang and Japan by Kim Sa-gong and Kim Sun-jeong in relation with the forces who led foreign policies in reign of King Seongdeok.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oyal family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after King Seongdeok desired to protect their Royal line and power against the challenge of True bone class from King Namul"s descendants by appointing Naesungsasin(minister of royal organization), who took charge of Royal family"s affairs, as Prime minister on the basis of King Myueol"s blood line. Kim Sun-jeong changed Japan into Tang as priority diplomatic country, keeping the pace with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in the reign of King Seongdeok. At the same time, he led the relationship with Japan smoothly, meeting Japan"s demands. Since then, Silla had held the international positioning and been able to manage its foreign policies to show off the majesty of Silla actively, naming Tang the Nation of Gentlemen and Japan the Dominant Holy Kingdo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金順貞의 家系와 上宰
      • Ⅲ. 성덕왕대 대외정책과 대일교섭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金順貞의 家系와 上宰
      • Ⅲ. 성덕왕대 대외정책과 대일교섭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基白, "황룡사와 그 창건" 일조각 1978

      2 申瀅植, "한국고대사의 신연구" 일조각 1984

      3 김복순, "한국고대불교사연구" 민족사 2002

      4 박남수,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주류성출판사 2011

      5 이영호, "통일신라시대의 王과 王妃" 신라사학회 (22) : 5-60, 2011

      6 金英美, "통일신라시대 아미타신앙과 역사적 성격" 50 : 1985

      7 申瀅植, "통일신라사연구" 三知院 1990

      8 조선총독부, "조선금석총람 상" 1919

      9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Ⅲ" 1992

      10 김창겸, "신라하대 왕위계승연구" 경인문화사 2003

      1 李基白, "황룡사와 그 창건" 일조각 1978

      2 申瀅植, "한국고대사의 신연구" 일조각 1984

      3 김복순, "한국고대불교사연구" 민족사 2002

      4 박남수,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주류성출판사 2011

      5 이영호, "통일신라시대의 王과 王妃" 신라사학회 (22) : 5-60, 2011

      6 金英美, "통일신라시대 아미타신앙과 역사적 성격" 50 : 1985

      7 申瀅植, "통일신라사연구" 三知院 1990

      8 조선총독부, "조선금석총람 상" 1919

      9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Ⅲ" 1992

      10 김창겸, "신라하대 왕위계승연구" 경인문화사 2003

      11 李基白,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12 김수태, "신라 혜공왕대 만월부인의 섭정" 신라사학회 (22) : 135-174, 2011

      13 박해현, "신라 중대 정치사연구" 국학자료원 2003

      14 신형식, "신라 중대 전제왕권의 전개과정" 4 : 1990

      15 李昊榮, "신라 중대 왕실과 봉덕사" 8 : 1974

      16 전덕재, "신라 중대 대일외교의 추이와 진골귀족의 동향" 서울대 37 : 1997

      17 김선숙, "신라 중대 대일외교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7

      18 김수태, "신라 성덕왕・효성왕대 김순원의 정치적 활동" 3 : 1983

      19 李基白, "신라 사상사 연구" 일조각 1990

      20 신정훈, "신라 경덕왕대 왕권강화책의 성격" 6 : 2000

      21 金英美, "성덕왕대 전제왕권에 대한 일고찰" 22 : 1988

      22 이기동, "성덕대왕신종 조성의 역사적 배경, In 성덕대왕신종 綜合論考集" 성덕대왕신종 1999

      23 "삼국유사"

      24 金貞淑, "김주원의 세계의 성립과 그 변천" 28 : 1984

      25 李基東, "薛仲業과 淡海三船의 交歡" 134 : 1992

      26 今西龍, "聖德大王神鐘銘의 解釋에 관한 몇 가지 문제" 125 : 1975

      27 "續日本紀"

      28 연민수, "統一期 新羅와 日本關係" 한국고대사회연구소 4 : 2003

      29 박남수, "眞殿寺院의 기원과 新羅 成典寺院의 성격" 한국사상사학회 (41) : 73-101, 2012

      30 酒寄雅志, "渤海と古代の日本" 校倉書房 2001

      31 李成市, "東アジア王權と交易" 靑木書店 1997

      32 "日本書紀"

      33 上田正昭, "日本古代國家論究" 塙書房 1968

      34 石母田正, "日本古代國家論 Ⅰ" 岩波書店 1973

      35 이인철, "新羅政治制度史硏究" 一志社 1993

      36 "新羅國四山碑銘"

      37 濱田耕策, "新羅國史の硏究" 吉川弘文館 2002

      38 今西龍, "新羅史硏究" 國書刊行會 1970

      39 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40 申瀅植, "新羅史" 이화여대 출판부 1985

      41 金壽泰, "新羅中代政治史硏究" 一潮閣 1996

      42 末松保和, "新羅の郡縣制, 特にその完成期の二・三の問題" 21 : 1979

      43 조이옥, "新羅 聖德王代 唐外交政策 硏究" 19 : 1990

      44 조범환, "新羅 中代 聖德王代의 政治的 動向과 王妃의 交替" 신라사학회 (22) : 99-133, 2011

      45 이영호, "新羅 中代 王室寺院의 官寺的 機能" 43 : 1983

      46 "新唐書"

      47 "文苑英華"

      48 崔國述本, "孤雲先生文集"

      49 "唐會要"

      50 木村誠, "古代朝鮮の國家と社會" 吉川弘文館 2004

      51 鈴木靖民, "古代對外關係史の硏究" 吉川弘文館 1985

      52 "全唐文"

      53 "三國史記"

      54 金恩淑, "8세기의 新羅와 日本의 關係" 29 : 1991

      55 조이옥, "8세기 중엽 발해와 일본의 관계" 한국고대사학회 25 : 171-192,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