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방법은 곤충생태환경과 식생의 상관에 관한 국내 외 관련연구 고찰을 통해 곤충생태환경 특성을 도출하고, 곤충생태의 직접조사를 통해 식물군집구조와 공간 환경을 파악하여 비오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8024
201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방법은 곤충생태환경과 식생의 상관에 관한 국내 외 관련연구 고찰을 통해 곤충생태환경 특성을 도출하고, 곤충생태의 직접조사를 통해 식물군집구조와 공간 환경을 파악하여 비오톱...
연구방법은 곤충생태환경과 식생의 상관에 관한 국내 외 관련연구 고찰을 통해 곤충생태환경 특성을 도출하고, 곤충생태의 직접조사를 통해 식물군집구조와 공간 환경을 파악하여 비오톱지도를 작성한다. 지도화 기준은 생태계 기초단계의 곤충과 양서류, 파충류 등 먹이사슬 관계(먹이사슬 계층도)와 식생분포 및 군집에 따른 녹지축 형성연구하고 도시의 공간디자인 측면에서의 활용방안 및 연계성 제시한다.
전체 비오톱유형 조사는 곤충생태계 현장조사 방법으로 진행하며, 도시와 인접한 녹지공간, 수공간, 도시녹지공간(근린공원, 소공원) 최소 30곳 이상에서 함정트랩과 유아등 채집, 흡충관 등을 중심으로 곤충생태 현황을 조사 분석한다.
비오톱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곤충서식유형을 분석하고 곤충과 식생분포의 관계를 파악하며, 먹이사슬 관계(먹이사슬 계층도)를 파악하여 비오톱지도를 제작한다. 지금까지 대다수의 연구가 비오톱조사시 현장조사에 의한 식생구분 에 대한 유형분석을 연구하여 왔으나, 향후 비오톱지도는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계 기초단계의 연구가 더욱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현장조사 중심의 곤충생태 비오톱지도 연구결과를 환경디자인 측면에서 활용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점적, 선적, 면적 비오톱 공간디자인 형성과 활용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점점 비오톱지도는 근린공원, 인공습지 등의 공간디자인
선적 비오톱지도는 완충녹지, 생태통로, 에코브리지, 하천 수공간 등의 공간디자인
면적 비오톱지도는 도시에서의 대단위 도시공원, 생태공원 등의 공간디자인
주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곤충생태계 현장 조사방법에 의한 실질적 비오톱지도 제작(30곳 이상 조사)
○ 생태계 기초단계의 곤충과 양서류, 파충류 등 먹이사슬 관계(먹이사슬 계층
도)와 식생분포에 따른 녹지축 형성연구(관련 연구 고찰)
○ 도시의 공간디자인 측면에서의 활용방안 제시(점, 선, 면적 비오톱 공간자인)
○ 사례 연구를 통한 연구 대상지 선정(도농 복합도시 충청북도 충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