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진출을 위한 떡볶이 브랜드 디자인 개성의 현지화에 관한 연구 - 한중 소비자간 문화차이를 중심으로 - = Study on the Design Personality of Tokpoki Brand to enter Chinese Market-Focusing on the cultural differences of consumer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1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apid expansion of the Chinese consumer market attracts large quantities of overseas-funded enterprises to develop in China. With the friendly relationship of South-Korea and Chinese governments, varieties of preferential policies aimed at enterprises and frequent cultural communication compose the perfect environment where South-Korean enterprises can enter the Chinese market. Under such tendency, the South-Korean catering industry floods into the Chinese market, but until now there has no brand of Tokpoki.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when the brands of Tokpoki enter the Chinese market, they carry out the specific directions of differing and localize the brand, this research surveys and analyses the consumer preferences of Top-5 South-Korean brands of Tokpoki. In order to examine the brand personality, this research will classify the scale of examining the brand personalities, as well as Aaker sorting out the scale of brand personalities factors. We select three elements catering to the brand personalities of Tokpoki, which are “honest”, “active” and “capable”. We base the assumption on the theories of brand identity, brand personality and the consumer attitude. Then we will deal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brands of Tokpoki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analyze the importance of enterprise brand personality.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due to the cultural differences, th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brand personality differ. In regard to Chinese aspect, following the homogeneity of culture show on logo, the attitude towards brand personality rises. We also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the attitudes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franchise chain conveys the brand personality to the consumers correctly. The Chinese differ in the personal elements of `convincing` and `original`.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the South-Korean brand of Gukdae Tokpoki has the best impression of `original`, `homeliness` and `convincing`.
      As a result, when the brand of Tokpoki enters the Chinese market, it needs to localize the brand personality by color, shape and character. In order to improve the attitudes towards brand personalities, they need to consider the shape according to the Chinese taste, and design the symbols of food, choosing key words. Finally, I look forward that this research can be a basic data of that a differential、unique and local brand competitive strategy even in China.
      번역하기

      The rapid expansion of the Chinese consumer market attracts large quantities of overseas-funded enterprises to develop in China. With the friendly relationship of South-Korea and Chinese governments, varieties of preferential policies aimed at enterpr...

      The rapid expansion of the Chinese consumer market attracts large quantities of overseas-funded enterprises to develop in China. With the friendly relationship of South-Korea and Chinese governments, varieties of preferential policies aimed at enterprises and frequent cultural communication compose the perfect environment where South-Korean enterprises can enter the Chinese market. Under such tendency, the South-Korean catering industry floods into the Chinese market, but until now there has no brand of Tokpoki.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when the brands of Tokpoki enter the Chinese market, they carry out the specific directions of differing and localize the brand, this research surveys and analyses the consumer preferences of Top-5 South-Korean brands of Tokpoki. In order to examine the brand personality, this research will classify the scale of examining the brand personalities, as well as Aaker sorting out the scale of brand personalities factors. We select three elements catering to the brand personalities of Tokpoki, which are “honest”, “active” and “capable”. We base the assumption on the theories of brand identity, brand personality and the consumer attitude. Then we will deal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brands of Tokpoki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analyze the importance of enterprise brand personality.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due to the cultural differences, th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brand personality differ. In regard to Chinese aspect, following the homogeneity of culture show on logo, the attitude towards brand personality rises. We also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the attitudes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franchise chain conveys the brand personality to the consumers correctly. The Chinese differ in the personal elements of `convincing` and `original`.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the South-Korean brand of Gukdae Tokpoki has the best impression of `original`, `homeliness` and `convincing`.
      As a result, when the brand of Tokpoki enters the Chinese market, it needs to localize the brand personality by color, shape and character. In order to improve the attitudes towards brand personalities, they need to consider the shape according to the Chinese taste, and design the symbols of food, choosing key words. Finally, I look forward that this research can be a basic data of that a differential、unique and local brand competitive strategy even in Chin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명수,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브랜드 개성 차원에 대한 비교 연구" 한성대학교 2011

      2 송영욱, "한국과 일본의 원산지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브랜드 개성 지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2501-2524, 2009

      3 최인영, "패스트푸드 로고의 인지와 브랜드 개성에 관한 연구 - 국내 치킨 전문점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0 (10): 155-168, 2012

      4 김혜정, "브랜드 확장 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BI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안 : 호텔농심 BI 리뉴얼 제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5 손일권, "브랜드 아이덴티티" 경영정신 2003

      6 유은경, "브랜드 개성(Brand Personality) dl B.I(Brand Identity)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국대학교 조형연구소 146 : 2001

      7 농림수산식품부, "발효고기떡볶이의 해외시장 현지화를 위한 메뉴개발과 마켓테스트 및 소비자 기호도조사" 2012

      8 김흥련, "문자디자인" 미진사 1998

      9 디트news24, "매콤달콤 그 참을 수 없는 유혹"

      10 김정열, "떡볶이 브랜드디자인이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6 (16): 21-30, 2013

      1 강명수,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브랜드 개성 차원에 대한 비교 연구" 한성대학교 2011

      2 송영욱, "한국과 일본의 원산지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브랜드 개성 지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2501-2524, 2009

      3 최인영, "패스트푸드 로고의 인지와 브랜드 개성에 관한 연구 - 국내 치킨 전문점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0 (10): 155-168, 2012

      4 김혜정, "브랜드 확장 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BI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안 : 호텔농심 BI 리뉴얼 제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5 손일권, "브랜드 아이덴티티" 경영정신 2003

      6 유은경, "브랜드 개성(Brand Personality) dl B.I(Brand Identity)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국대학교 조형연구소 146 : 2001

      7 농림수산식품부, "발효고기떡볶이의 해외시장 현지화를 위한 메뉴개발과 마켓테스트 및 소비자 기호도조사" 2012

      8 김흥련, "문자디자인" 미진사 1998

      9 디트news24, "매콤달콤 그 참을 수 없는 유혹"

      10 김정열, "떡볶이 브랜드디자인이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6 (16): 21-30, 2013

      11 David Aaker, "데이비드 아커의 브랜드 경영" 비즈니스 북스 2003

      12 데이비드 아커, "데이비드 아커의 브랜드 경영" 225-, 2003

      13 王丹, "當代中國色彩意象文化及其數字化產品設計研究" 北京郵電大學 2012

      14 吳軼博, "方塊字內的形與意" 吉林藝術學院設計學院 37-46, 2009

      15 鄒薇, "傳統圖形造形特征在現代標誌設計中的運用" 湖南師範大學 2014

      16 "http://www.sindduk.com"

      17 "http://www.kukde.co.kr"

      18 "http://www.jawsfood.co.kr"

      19 "http://www.alltokk.co.kr"

      20 "http://www.addal.co.kr"

      21 Aaker, J. L.,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34 : 352-, 1987

      22 Fournier, Susan, "Consumer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34 : 234-249, 1998

      23 Aaker, D. A, "Advertising Management" Prentice Hall 254-, 1992

      24 디지털밸리뉴스, "5천만의 국민 간식 신당동 떡볶이 골목"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