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종교폭력(religious violence)에 대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반도 분단체제 생성기에 종교폭력으로서 나타난 전투적 반공주의를 평가한 것이다. 국내에 구체적으로 소개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83913
2020
Korean
205
KCI등재
학술저널
91-127(3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교폭력(religious violence)에 대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반도 분단체제 생성기에 종교폭력으로서 나타난 전투적 반공주의를 평가한 것이다. 국내에 구체적으로 소개된 ...
본 연구는 종교폭력(religious violence)에 대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반도 분단체제 생성기에 종교폭력으로서 나타난 전투적 반공주의를 평가한 것이다. 국내에 구체적으로 소개된 적이 없는 대표적 종교폭력이론가들인 마크저겐스마이어와 스콧 애플비가 주장하는 폭력의 발생 원인이나 확증자로서 종교의 역할에 대한 주장들을 정리하며 비판적 성찰을 한다. 이들은 세계 도처에서 종교가 폭력을 조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종교가 세속의 이념이나 제도들과 달리 역사와 지역을 초월해 인간을 충동적으로 만들며 좀 더 폭력을 촉진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들을 거부하며 이를 위해 한국전쟁 전후 한국개신교가 행한 종교폭력으로서 전투적 반공주의를 검토할 것이다. 한국교회의 전투적 반공주의는 분단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종교폭력이 발생하였음을 강조할 것이다. 분단체제의 비극은 하나의 민족에서 두 신생국가가 탄생함으로써 시작된다. 국가의 폭력과 희생의 요청에 한국개신교는 생존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냉전체제의 구조적 압박과 무신론-공산주의와 종교자유-자본주의라는 이항대립적 세계관의 형성은 기독교와 반공주의가 선택적 친화성으로 결합하게 만들었고 전투적 반공주의가 발현되게 하였다. 미소냉전의 이념 차이로 발생한 한국전쟁은 한반도를 선과 악의 종말론적 싸움으로 채색시킨 우주적 전쟁터로 만들었다. 한국교회는 분단체제로부터 폭력으로의 요청을 강요받았고 생존과 이익을 위해 합리적으로 이 기회를 적극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신의 뜻으로 행한 종교폭력은 세속적 폭력과의 다양한 관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종교는 폭력을 조장하지 않는다. 냉전과 분단체제에 의해 요청되고 허용되었던 특별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종교에 의한 시연적 폭력이 발생했던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a sociological study of militant anti-communism that propagated religious violence during the Korean War. The Cold war system brought out a divis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1940s and 50s. According to religious viole...
This study provides a sociological study of militant anti-communism that propagated religious violence during the Korean War. The Cold war system brought out a divis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1940s and 50s. According to religious violence theory, religion has a peculiarly dangerous inclination to promote violence. After being exiled from communist North Korea, North Korean Christian defectors vigilantly served for South Korean military with militant, anti-communism during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they were often involved with anti-communist terrors under the Korean government. Korean churches adopted this militant anti-communism from the defectors that came from up North. Furthermore, they became the leading group and the majority power of South Korean Church. By evaluating anti-communism as religious violence by the Korean Church, the Church did not promote violence. What I challenge is the argument that the Korean Church was more inclined toward violence than were both governments of the two new Korean states during war time. This study reveals that, rather, two Korean governments coercively required the killing and sacrifice of their people. It is evident that North Korea Christian defectors were raised as militant, anti-communist warriors against communist North Korea during Korean war. I would help us to see that they were the scapegoat of the divis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constructed by the Cold Wa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인철,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327-395, 1995
2 서정민,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396-419, 1995
3 김흥수,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420-450, 1995
4 윤정란, "한국전쟁과 기독교" 한울아카데미 2015
5 박정신, "한국의 기독교사의 새로운 이해" 도서출판 새길 2008
6 강인철, "한국의 개신교와 반공주의: 보수적 개신교의 정치적 행동주의" 중심 2006
7 강인철, "한국 기독교회와 국가, 시민사회 1945-196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8 유대영, "한국 근현대사와 기독교" 푸른역사 2009
9 갈퉁, 요한(Galtung, Johan),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벽 2000
10 이형규, "크리스천 스미스의 인격주의 사회이론 연구: 종교사회학을 위한 사회존재론" 한국인문사회과학회 43 (43): 69-98, 2019
1 강인철,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327-395, 1995
2 서정민,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396-419, 1995
3 김흥수,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420-450, 1995
4 윤정란, "한국전쟁과 기독교" 한울아카데미 2015
5 박정신, "한국의 기독교사의 새로운 이해" 도서출판 새길 2008
6 강인철, "한국의 개신교와 반공주의: 보수적 개신교의 정치적 행동주의" 중심 2006
7 강인철, "한국 기독교회와 국가, 시민사회 1945-196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8 유대영, "한국 근현대사와 기독교" 푸른역사 2009
9 갈퉁, 요한(Galtung, Johan),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벽 2000
10 이형규, "크리스천 스미스의 인격주의 사회이론 연구: 종교사회학을 위한 사회존재론" 한국인문사회과학회 43 (43): 69-98, 2019
11 이형규, "종교적 이념과 주권(Sovereignty) 형성과 도전: 다니엘 필팟(Daniel Philpott) 의 이론을 중심으로" 86 (86): 303-334, 2016
12 기독교교회협의회 정의평화위원회와 인권센터, "제주4・3 70년, 아픈 역사의 정의로운 화해와 상생을 위하여"
13 박재환,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 한울 2009
14 박영신, "인간의 한계와 굴대 문명의 재귀 : 지식 행위를 새김" 한국인문사회과학회 41 (41): 16-43, 2017
15 백낙청, "이중과제론: 근대적응과 근대극복의 이중과제" 창비 2009
16 최태육,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가: 학살의 문화에 대한 어느 목회자의 수기" 작가들 2018
17 황석영, "손님" 창작과비평사 2001
18 옷토, 루돌프(Otto, Rudolf), "성스러움의 의미: 신관념에 있어서의 비합리적 요소 그리고 그것과 합리적 요소와의 관계에 대하여" 분도출판사 1987
19 김병로, "분단폭력: 한반도 군사화에 관한 평화학적 성찰" 아카넷 29-64, 2016
20 백낙청, "분단체제 변혁의 공부길" 창작과 비평사 1994
21 김성민, "분단의 아비투스와 남북소통의 길" 경진출판 43-96, 2015
22 서보혁, "분단 폭력" 아카넷 65-100, 2016
23 이기홍, "로이 바스카" 카뮤니케이션스북스 2017
24 김성건, "글로벌 사회와 종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25 배재성, "광복 직후 소련군 만행 폭로…故 한경직 목사 ‘비밀청원서’ 발견돼"
26 Cavanaugh, William, "The Myth of Religious Violence: Secular Ideology and the Roots of Modern Conflict"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7 Appleby, Scott, "The Ambivalence of the Sacred: Religion, Violence, and Reconciliation" Rowman and Littlefield 2000
28 Juergensmeyer, Mark, "Terror in the Mind of God: The Global Rise of Religious Viol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29 Appleby, Scott, "Religious Violence: the Strong, the Weak, and the Pathological" 5 (5): 1-25, 2012
30 Bellah, Robert Neelly, "Religion in Human 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31 Marvin, Carolyn, "Religion and Realpolitik: Reflections on Sacrifice" 15 (15): 522-535, 2014
32 Casanova, Jóse, "Public Religions in the Modern Worl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33 Owen, Wilfred, "Poems" Viking Press 1921
34 Musser, Micah, "Jóse Casanova: Profile of a Global Scholar"
35 Juergensmeyer, Mark, "Global Rebellion: Religious Challenges to the Secular State from Christian Militias to al Qaed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36 Casanova, Jóse, "Europas Angst vor der Religion" Berlin University Press 2009
37 Marvin, Carolyn, "Blood Sacrifice and the Nation: Totem Rituals and the Fla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8 Marvin, Carolyn, "Blood Sacrifice and the Nation: Revisiting Civil Religion" 64 (64): 767-780, 1996
39 김성건, "21세기 종교학" 다산출판사 3-43, 2013
개신교 계통 중등학교 연구: 인천과 서부 경기지역(부천/시흥/안산)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