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의 분화된 합리성과 개인의 유일무이한 비합리성 = Differentiated Rationality of Society and Unique Irrationality of Individu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2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20세기 후반 사회철학에서 그어졌던 계몽 대 반계몽, 이성 대 반이성, 합리주의 대 해체주의, 모던 대 포스트모던 등의 대립을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학적 계몽의 성과에 기초하여 재정식화하고자 한다. 루만은 사회와 개인의 관계와 사회의 하위체계들의 관계를 끊어 밝힘으로써 사회의 분화된 합리화 메커니즘들과 그로부터 뚜렷이 구별되는 개인의 유일무이한 비합리성을 밝혀냈다. 그리고 여러 사회적 체계들에 대한 루만의 연구로부터 우리는 연애, 예술 등 개인의 비합리성을 독려하는 사회적 체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를 때, 오늘날 이성비판의 대립은 사회의 분화된 합리성을 동력으로 하는 합리적 이성비판과 개인의 유일무이한 비합리성을 동력으로 하는 비합리적 이성비판의 대립으로 재정식화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20세기 후반 사회철학에서 그어졌던 계몽 대 반계몽, 이성 대 반이성, 합리주의 대 해체주의, 모던 대 포스트모던 등의 대립을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학적 계몽의 성과에 기초하여 ...

      이 논문은 20세기 후반 사회철학에서 그어졌던 계몽 대 반계몽, 이성 대 반이성, 합리주의 대 해체주의, 모던 대 포스트모던 등의 대립을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학적 계몽의 성과에 기초하여 재정식화하고자 한다. 루만은 사회와 개인의 관계와 사회의 하위체계들의 관계를 끊어 밝힘으로써 사회의 분화된 합리화 메커니즘들과 그로부터 뚜렷이 구별되는 개인의 유일무이한 비합리성을 밝혀냈다. 그리고 여러 사회적 체계들에 대한 루만의 연구로부터 우리는 연애, 예술 등 개인의 비합리성을 독려하는 사회적 체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를 때, 오늘날 이성비판의 대립은 사회의 분화된 합리성을 동력으로 하는 합리적 이성비판과 개인의 유일무이한 비합리성을 동력으로 하는 비합리적 이성비판의 대립으로 재정식화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troversy of rationality in the late 20th century has been formulated by the opposition between enlightenment and antienlightenment, reason and anti-reason, rationalism and irrationalism, modern and postmodern. I have tried to reformulate this opposition on the basis of sociological enlightenment by Niklas Luhmann. Luhmann has distinctly cleared the relation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 between subsystems of society. From the result of his distinctly clearing (Abklärung), I have distinguished between differentiated rationality of society and unique irrationality of indivisual. On this point of view, the controversy in critique of reason could be reformulated by the opposition between rational critique of reason and irrational critique of reason.
      번역하기

      The controversy of rationality in the late 20th century has been formulated by the opposition between enlightenment and antienlightenment, reason and anti-reason, rationalism and irrationalism, modern and postmodern. I have tried to reformulate this ...

      The controversy of rationality in the late 20th century has been formulated by the opposition between enlightenment and antienlightenment, reason and anti-reason, rationalism and irrationalism, modern and postmodern. I have tried to reformulate this opposition on the basis of sociological enlightenment by Niklas Luhmann. Luhmann has distinctly cleared the relation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 between subsystems of society. From the result of his distinctly clearing (Abklärung), I have distinguished between differentiated rationality of society and unique irrationality of indivisual. On this point of view, the controversy in critique of reason could be reformulated by the opposition between rational critique of reason and irrational critique of reas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서론
      • 2. 사회와 개인을 끊어밝힘
      • 3. 사회의 분화된 합리성
      • 4. 사회의 생태학적 합리성에 대한 촉구 가능성
      • 논문개요
      • 1. 서론
      • 2. 사회와 개인을 끊어밝힘
      • 3. 사회의 분화된 합리성
      • 4. 사회의 생태학적 합리성에 대한 촉구 가능성
      • 5. 개인의 유일무이한 비합리성과 그것을 독려하는 사회적 체계들
      • 6. 결론: 사회의 분화된 합리성에 근거한 합리적 이성비판과 개인의 유일무이한 비합리성에 근거한 비합리적 이성비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종현,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2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질문에 대한 답변: 포스트모던이란 무엇인가, In 지식인의 종언" 문예출판사 1993

      3 김진수, "우리는 왜 지금 낭만주의를 이야기하는가" 책세상 2001

      4 정성훈, "열정으로서의 사랑" 새물결 출판사 2009

      5 Luhmann, Niklas, "사회의 사회" 새물결 2012

      6 정성훈, "사랑 이후 혹은 현대 이후의 힘겨움" 문학과지성사 (96) : 2012

      7 박민수, "볼프강 벨쉬: 우리의 포스트모던적 모던 (상하권)" 책세상 출판사 2001

      8 정성훈, "루만의 다차원적 체계이론과 현대 사회 진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9 정성훈, "루만(N. Luhmann)과 하버마스(J. Habermas)의 대립구도에 관한 하나의 이해" (40) : 2009

      10 최문규, "독일 낭만주의"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1 백종현,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2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질문에 대한 답변: 포스트모던이란 무엇인가, In 지식인의 종언" 문예출판사 1993

      3 김진수, "우리는 왜 지금 낭만주의를 이야기하는가" 책세상 2001

      4 정성훈, "열정으로서의 사랑" 새물결 출판사 2009

      5 Luhmann, Niklas, "사회의 사회" 새물결 2012

      6 정성훈, "사랑 이후 혹은 현대 이후의 힘겨움" 문학과지성사 (96) : 2012

      7 박민수, "볼프강 벨쉬: 우리의 포스트모던적 모던 (상하권)" 책세상 출판사 2001

      8 정성훈, "루만의 다차원적 체계이론과 현대 사회 진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9 정성훈, "루만(N. Luhmann)과 하버마스(J. Habermas)의 대립구도에 관한 하나의 이해" (40) : 2009

      10 최문규, "독일 낭만주의"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11 장춘익, "도덕의 반성이론으로서의 윤리학 - 루만의 도덕이론에 대하여"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4) : 161-190, 2012

      12 정성훈, "니클라스 루만으로의 초대" 갈무리 2008

      13 정성훈, "구별, 일반화, 기능적 분석-체계이론의 비교 연구 방법에 관한 고찰" 철학사상연구소 (28) : 379-419, 2008

      14 Foucault, Mischel, "What is Enlightenment?, In The Foucault Reader" Vintage Books 1984

      15 Welsch, Wolfgang, "Vernunft" Suhrkamp 1996

      16 Luhmann, Niklas, "Soziologische Aufklärung, In Soziologische Aufklärung 1권"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05

      17 Luhmann, Niklas, "Soziologie des Risikos" Walter de Gruyter 2003

      18 Luhmann, Niklas, "Soziale Systeme" Suhrkamp 1984

      19 Schlegel, Friedrich, "Kritische Friedrich-Schlegel- Ausgabe Ⅰ권" Schöningh Paderborn 1981

      20 Luhmann, Niklas, "Individuum, Individualität, Individualismus, In Gesellschaftsstruktur und Semantik 3권" Suhrkamp 1989

      21 Luhmann, Niklas, "Ethik als Reflexionstheorie der Moral, In Gesellschaftsstruktur und Semantik 3권" Suhrkamp 1989

      22 Luhmann, Niklas, "Die operative Geschlossenheit psychischer und sozialer Systeme, In Soziologische Aufklärung 6권"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05

      23 Luhmann, Niklas, "Die Wissenschaft der Gesellschaft" Suhrkamp 1990

      24 Habermas, Jürgen, "Die Moderne - ein unvollendete Projekt" Reclam- Verlag Leipzig 1990

      25 Luhmann, Niklas, "Die Kunst der Gesellschaft" Suhrkamp 1995

      26 Luhmann, Niklas, "Die Autopoiesis des Bewußtseins, In Soziologische Aufklärung 6권" 2005

      27 Kneer, Georg, "Bestandserhaltung und Reflexion. Zur kritischen Reformulierung gesellschaftlicher Rationalität, In Kritik der Theorie sozialer Systeme" Suhrkamp 1992

      28 Luhmann, Niklas, "Beobachtung der Moderne"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ocial Philosoph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6 학술지등록 한글명 : 사회와 철학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83 1.65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