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금까지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에 국한되어 온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KOSPI200 ETF시장, KOSPI200 선물시장, KOSPI200 현물시장간의 정보전이과정과 차익기회 분석을 통해 KINDEX...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4037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금까지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에 국한되어 온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KOSPI200 ETF시장, KOSPI200 선물시장, KOSPI200 현물시장간의 정보전이과정과 차익기회 분석을 통해 KINDEX...
본 연구는 지금까지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에 국한되어 온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KOSPI200 ETF시장, KOSPI200 선물시장, KOSPI200 현물시장간의 정보전이과정과 차익기회 분석을 통해 KINDEX200, KODEX200, KOSEF200, TIGER200 등 KOSPI200 ETF시장의 상대적 효율성을 비교검토하고, 또한 KINDEX200, KODEX200, KOSEF200, TIGER200 등 KOSPI200 ETF시장의 유동성이 가격결정과 정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과 전자매체로 통한 금융거래의 발전은 금융시장의 가격결정과 정보 효율성을 증대시켜 왔다. 효율적인 시장은 새로운 정보가 유입될 때, 그 정보를 공정하고 신속하게 처리한다. 특히 관련자산 시장에서 가장 효율적인 시장이나 자산은 다른 관련 시장이나 자산보다 먼저 반응하고 이에 따라 관련자산시장과의 괴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차익거래가 유발되어 관련자산시장의 반응이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시장의 가격결정과 정보효율성은 관련자산시장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자산운용회사에 따라 각기 설정된 KINDEX200, KODEX200, KOSEF200, TIGER200 등 KOSPI200 ETF시장의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상장지수펀드(ETF, Exchange Traded Fund)는 특정주가지수와 연동되는 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펀드로서 현물주식 바스켓으로 설정 및 해지되며,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를 말한다. 상장지수펀드는 시장참여자에게 소액의 자금으로 인덱스 바스켓을 매매하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자본제약이 있는 시장참여자에게 차익거래 기회를 제공한다.
상장지수펀드는 1989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이후, 현재 전 세계시장에서 상장되어 거래될 정도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한국거래소(ETF monthly 2011년 12월, p.5)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10월 처음으로 KOSPI200 지수를 추종하는 KODEX200과 KOSEF200 ETF 등이 상장된 이후 레버리지, 인버스, 채권 등 다양한 ETF상품의 상장으로 10년 남짓한 역사에도 불구하고 3000억원대로 출발한 ETF시장의 규모는 2011년 11월 현재 10조원에 달할 정도로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14개 자산운용사의 107개 ETF 종목을 상장하고 있다.
미국 주식시장의 시장지수 ETF는 S&P500지수를 추종하는 SPDRs(Standard & Poor's Depositary Receipts),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를 추종하는 DIAMONDS, 나스닥100지수를 추종하는 QQQ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미국 주식시장은 각 시장지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시장지수 ETF만을 설정하여 상장하고 있다.
이와 달리 국내의 경우 시장지수 ETF는 동일한 KOSPI200 현물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가 자산운용회사에 따라 각기 설정되어 현재 5종이 상장 거래되고 있다. 2002년 10월 삼성자산운용의 KODEX200과 우리자산운용의 KOSEF200이 상장된 이후, 2008년 4월과 8월에 각각 미래에셋맵스운용의 TIGER 200과 한국투자산운용의 KINDEX200이 상장되었고, 2011년 10월에는 KB자산운용의 KSTAR 200이 상장되었다. 이는 해외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사례로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들 간에 현저한 유동성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ETF monthly 2011년 12월, p.8). 이러한 유동성 차이는 이들 시장의 가격결정과 정보효율성에 대한 상대적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KOSPI200 현물 인덱스 바스켓 매매에 따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KOSPI200 ETF시장, KOSPI200 선물시장, KOSPI200 현물시장 간의 정보전이 과정과 차익기회의 조사를 통해 이들 시장의 가격결정과 정보효율성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KINDEX200, KODEX200, KOSEF200, TIGER200 등 KOSPI200 ETF시장의 유동성이 이들 시장의 가격결정과 정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동일한 거시경제 정보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관련자산시장간의 정보처리능력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KOSPI200 인덱스 바스켓매매를 이용하여 차익을 추구하는 차익거래자(arbitrageur)에게 차익거래 시 KINDEX200, KODEX200, KOSEF200, TIGER200 등 KOSPI200 ETF의 상대적 효율성과 관련된 실증적의미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재무문헌에 기여하며, 투자자 및 실무담당자에게 교육적 담론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