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선후기 불교의 심성 논의에 있어, 17세기 후반에 간행된 운봉 대지의 『심성론』에 나타난 규봉 종밀의 영향을 새롭게 분석해 보는 데 의의를 두었으며, 총 4장 으로 구성하였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88000
2017
-
220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83-108(2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후기 불교의 심성 논의에 있어, 17세기 후반에 간행된 운봉 대지의 『심성론』에 나타난 규봉 종밀의 영향을 새롭게 분석해 보는 데 의의를 두었으며, 총 4장 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 불교의 심성 논의에 있어, 17세기 후반에 간행된 운봉 대지의 『심성론』에 나타난 규봉 종밀의 영향을 새롭게 분석해 보는 데 의의를 두었으며, 총 4장 으로 구성하였다. 대지는 『심성론』에서 심성의 요체와 역할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법장의 『대승기신론의기』 내용을 다수 인용하였다. 그런데 『대승기신론의기』를 축약해서 종밀이 저술한 『대승기신론소』의 인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에서 아직 언급된 적이 없다. 필자는 종밀이 『대승기신론소』의 저술에 있어서 주로 법장의 『대승기신론 의기』 내용을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심성론』에 직접 인용된 문헌이 종밀의 『대승기신론소』일 수 있는 가능성의 근거를 밝히는 내용으로 하나의 장(章)을 썼다. 또다른 장에서는 운봉 대지의 『심성론』 전반에 나타난 종밀의 영향을 내용적으로 분석하 였는데, 『대승기신론』 관련 1절과 『선원제전집도서』 관련 1절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대승기신론』은 종밀 자신의 불교 이해와 사상 형성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대지는『심성론』에 이러한 점을 잘 반영하였다. 그 대표적인 내용으로 ‘五重의 本末說’과 ‘寂知의 體用觀’을 꼽을 수 있다. 2절에서는 『선원제전집도서』의 내용이 대지가 이해한 심성의 내용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선원제전집도서』의 인용에 나타난 本覺眞心의 속성에 대해 ‘空寂靈知’의 개념과 관련지어 ‘一心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 킴과 동시에 본각진심의 뜻을 더 명확히 究明하였다. 또한, 『선원제전집도서』에 나타난 돈오점수설의 교리적 기반으로 『원각경』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은 ‘禪敎一致’와 맥락을 같이 하는데, 『심성론』에서 대지가 돈오점수의 수행과 교학에의 연찬을 함께 강조했다는 점과 관련지어 조선후기 ‘禪敎兼修’ 지향에 녹아있는 종밀의 영향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Guifeng Zongmi ( 圭峰宗密 )’s influence on a book titled Simseongron (『心性論 』) written by Woonbong Daeji ( 雲 峰大知 ) in the late 17th century. This paper consists of four chapters. Introduc...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Guifeng Zongmi ( 圭峰宗密 )’s influence on a book titled Simseongron (『心性論 』) written by Woonbong Daeji ( 雲 峰大知 ) in the late 17th century. This paper consists of four chapters. Introducing the role and key factor of the nature of the mind( 心性 ), Daeji quotes Dashengqixinlun-yiji (『大乘起信論義記』) written by Fazang ( 法藏 ) in many places. However, this study first attempts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Daeji is actually quoting Zongmi’s Dasheng-qixinlun-shu (『大乘起信論疏』), which is a condensed version of Fazang’s Dasheng-qixinlun-yiji. To analyze the influence of Zongmi on Woonbong Daeji’s Simseongron, Chapter III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explicates Dasheng-qixin-lun (『大乘起信論』), and the second part deals with Seonwon jejunjip doseo (『禪源諸詮集都序 』).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Zongmi comprehends Dasheng-qixin-lun and how this is clearly reflected in Daeji’s Simseongron. This study also aims to illuminate how Daeji’s comprehension of the nature of mind ( 心 性 ) corresponds to the key factor of ‘intrinsically enlightened true mind ( 本覺眞心 ).’ It is noteworthy that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圓覺經』) is utilized in order to understan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 頓悟漸修 ),’ which appeared in Seonwon jejunjip doseo. This helps to understand a climate of theory and practice that respects ‘the joint study of Zen and Non-Zen Buddhism ( 禪敎兼 修 )’ in the late Joseon perio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규봉 종밀, "화엄과 선" 정우서적 2010
2 김방룡, "지눌 선사상 형성에 미친 중국불교의 영향" 불교학연구회 23 : 7-52, 2009
3 기무라 기요타카, "중국화엄사상사" 민족사 2005
4 方立天, "중국불교철학 심성론(상)" 한국학술정보(주) 2010
5 조윤호, "종밀의 『원각경』해석에 보이는 제 사상의 수용" 범한철학회 45 (45): 77-98, 2007
6 김천학, "종밀의 『대승기신론소』와 원효" 불교문화연구원 (69) : 61-90, 2014
7 박인석, "종밀의 ‘知’ 사상의 문헌적 기원과 사상적 전개 -寂知의 體用觀을 중심으로-" 한국선학회 (27) : 11-39, 2010
8 김천학, "종밀에 미친 원효의 사상적 영향 - 『대승기신론소』를 중심으로" 불교문화연구원 (70) : 41-62, 2015
9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10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心性 인식과 그 사상사적 의미" 한국사상사학회 (32) : 403-434, 2009
1 규봉 종밀, "화엄과 선" 정우서적 2010
2 김방룡, "지눌 선사상 형성에 미친 중국불교의 영향" 불교학연구회 23 : 7-52, 2009
3 기무라 기요타카, "중국화엄사상사" 민족사 2005
4 方立天, "중국불교철학 심성론(상)" 한국학술정보(주) 2010
5 조윤호, "종밀의 『원각경』해석에 보이는 제 사상의 수용" 범한철학회 45 (45): 77-98, 2007
6 김천학, "종밀의 『대승기신론소』와 원효" 불교문화연구원 (69) : 61-90, 2014
7 박인석, "종밀의 ‘知’ 사상의 문헌적 기원과 사상적 전개 -寂知의 體用觀을 중심으로-" 한국선학회 (27) : 11-39, 2010
8 김천학, "종밀에 미친 원효의 사상적 영향 - 『대승기신론소』를 중심으로" 불교문화연구원 (70) : 41-62, 2015
9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10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心性 인식과 그 사상사적 의미" 한국사상사학회 (32) : 403-434, 2009
11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2010
12 박현주, "조선후기 雲峰 大智의 「心性論」연구" 동국대 2016
13 손성필, "조선시대 불교사 자료의 종류와 성격" 불교학연구회 39 : 367-413, 2014
14 규봉 종밀 현담, "원각경・현담" 정우서적 2013
15 운봉 대지, "운봉선사심성론"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16 조윤호, "여래장사상의 중국적 수용과 전개 --원각경과 그 주석서들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16 : 137-156, 2007
17 이종수, "숙종 7년 중국선박의 표착과 백암성총의 불서간행" 불교학연구회 21 : 259-295, 2008
18 규봉 종밀, "선원제전집도서" 법공양 2010
19 아라키 겐고, "불교와 유교" 예문서원 2000
20 조윤호, "동아시아불교와 화엄사상" 초롱 73-103, 2003
21 조윤호, "동아시아 불교와 화엄사상" 초롱출판사 2003
22 신규탁, "규봉 종밀과 법성교학" 올리브그린 2013
23 大智, "雲峯禪師心性論 (「韓佛全」 9)"
24 전해주, "禪源諸詮集都序에 대한 考察 Ⅰ-韓國 流通本 都序의 文獻學的 接近-"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원 34 : 225-249, 1997
25 宗密, "禪源諸詮集都序 (「大正藏」 48)"
26 조명제, "栢庵性聰의 佛典 편찬과 사상적 경향" 부산경남사학회 (68) : 89-114, 2008
27 박재현, "宗密의 本源과 會通 논의에 대한 연구" 불교학연구회 28 : 157-188, 2011
28 曺潤鎬, "宗密「大乘起信論疏」の成立について" 日本印度學佛敎學 235-237, 1994
29 宗密,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 (「大正藏」 39)"
30 法藏, "大乘起信論義記 (「大正藏」 44)"
31 宗密, "大乘起信論疏 (「乾隆藏」 141)"
32 眞諦, "大乘起信論 (「大正藏」 32)"
33 宗密, "圓覺經大疏鈔 (「卍新續藏」 9)"
34 宗密, "圓覺經大疏釋義鈔 (「卍新續藏」 9)"
35 宗密, "圓覺經大疏 (「卍新續藏」 9)"
36 宗密, "原人論 (「大正藏」 45)"
37 양유중, "元曉“和諍”論與宗密“圓融”說" 불교문화연구원 (60) : 85-120, 2011
38 이병욱, "『운봉선사 심성론』의 사상적 특징" 한국선학회 (24) : 131-164, 2009
산스크리트 복합어(samāsa)의 어순에 관한 고찰 -upasarjana, pūrvanipāta 개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9-06-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
2019-06-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
2019-06-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47 | 0.937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