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기업의 여성 리더로의 성장 잠재력을 갖춘 여성 관리자들의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작용 모델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32621
2020
-
370
KCI등재
학술저널
67-100(3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기업의 여성 리더로의 성장 잠재력을 갖춘 여성 관리자들의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작용 모델을...
이 연구는 기업의 여성 리더로의 성장 잠재력을 갖춘 여성 관리자들의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작용 모델을 채택하여 11개의 하위 요소들을 개발 과정에서 유연하게 적용하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여성 관리자들이 갖추어야 할 리더십 역량 22개를 도출하였고, 국내 공공기관, 대학, 민간 교육 기업에서 운영하는 여성리더십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여성 관리자 11명과 여성 리더 6명을 대상으로 리더십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설문조사하여 여성 관리자와 여성 리더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리더십 역량과 현재 수행 수준에 대해 파악하였다. 1:1 인터뷰를 통해서는 리더십 역량 프로그램에 바라는 요구사항을 파악하였고, 최종적으로 리더십 역량 16개를 도출하였다. 이 그 결과를 토대로 여성 관리자를 위한 리더십 역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Intro>, <Self-leading>, <Work-leading>, <Organization-leading>, <Team-leading>, <Outro> 총 6개의 모듈로 구성하였고, 각 모듈에는 주요 리더십 역량을 강조하고, 조별 활동, 자기 진단, 발표 등 다양한 교수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상호작용 모델의 이론적 영역을 확장하고, 국내 여성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을 새롭게 도출하여, 사회적 요구에 따른 리더십 역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o strengthen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female managers with the potential for growth as female lead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dopted an interactive model of program planning and developed a program with ...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o strengthen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female managers with the potential for growth as female lead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dopted an interactive model of program planning and developed a program with 11 sub-elements flexibly appli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We extracted 22 leadership competencies for female managers from the literature. We analyzed the case of female leadership programs operated by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private education companies. In addition, we surveyed 11 female managers and 6 female leaders to identify the leadership competencies and current performance levels that they considered important. Through one-on-one interviews, we confirmed the requirements for the leadership competency program. Finally, we identified 16 leadership competencies and based on these findings, developed a leadership competency program for female managers. The program consists of six modules, <Intro>, <Self-leading>, <Work-leading>, <Organization-leading>, <Team-leading>, and <Outro>, and various teaching techniques such as presentations, facilitation, and self-testing. This research extends the theoretical domain of the interactive model of program planning and indicates the current status of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Korean female managers. In addition, we developed a leadership competency program to meet social needs. Finally, the paper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여성경제인협회"
2 "한국능률협회"
3 전영민, "한국기업에서 본 여성인재의 문제, 글로벌 인재포럼 발표 자료"
4 "피에스아이(PSI) 컨설팅"
5 우성미,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내 여성리더십 연구 동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1 (101): 5-34, 2019
6 정희수, "조직문화와 리더십 역량, 영향력 수단이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1 (21): 141-169, 2019
7 이상화, "젠더관점에 기반한 여성리더십교육의 과제와 방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27-636, 2018
8 "정책발표자료, 매출액 500대 기업 여성임원 비율 3.6%"
9 "정책발표자료, 공공부문 여성관리자 지속 증가, 올해 목표치 조기 달성 가망"
10 "인코칭"
1 "한국여성경제인협회"
2 "한국능률협회"
3 전영민, "한국기업에서 본 여성인재의 문제, 글로벌 인재포럼 발표 자료"
4 "피에스아이(PSI) 컨설팅"
5 우성미,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내 여성리더십 연구 동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1 (101): 5-34, 2019
6 정희수, "조직문화와 리더십 역량, 영향력 수단이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1 (21): 141-169, 2019
7 이상화, "젠더관점에 기반한 여성리더십교육의 과제와 방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27-636, 2018
8 "정책발표자료, 매출액 500대 기업 여성임원 비율 3.6%"
9 "정책발표자료, 공공부문 여성관리자 지속 증가, 올해 목표치 조기 달성 가망"
10 "인코칭"
11 "이화리더십개발원"
12 강성애, "여성인적자원의 활용과 국가경쟁력과의 관계 연구: OECD국가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7 (7): 175-208, 2008
13 "여성인재아카데미"
14 여성가족부, "여성인력 관련 주요 통계,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15 박민아, "여성의 리더십역량이 직무 및 조직생활 만족, 경력경로 개발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89-299, 2011
16 오경희, "여성리더십교육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P기관의 성인학습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5 (15): 127-150, 2012
17 강영희, "여성리더십 연구의 현황과 향후 과제" 여성학연구소 11 (11): 105-144, 2018
18 강민정, "여성관리자의 승진과 퇴직 : 경력사건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19 송민수, "여성관리자 현황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18
20 강혜련, "여성과 조직리더십" 학지사 2005
21 김양희, "여성, 리더 그리고 여성리더십" 삼성경제연구소 2006
22 김혜숙, "여성 리더의 특성과 효율성:조직의 성차별 문화의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3 (23): 33-54, 2009
23 한수진, "여성 관리자의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력열망 그리고 멘토링/교육훈련의 효과" 대한경영학회 31 (31): 743-760, 2018
24 "아주대학교 평생교육원"
25 김양희, "성공하는 조직의 리더십 모델" 이새 2017
26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7 신선미, "미래여성인재 육성정책 개선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28 김시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본 여성리더의 리더십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3 (93): 71-107, 2017
29 홍용기, "남성리더십과 여성리더십 스타일과 리더십 효율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정보학회 29 (29): 187-205, 2010
30 미디어오늘, "기업임원 남자 97%, “여성할당제 없으면 불변”"
31 이명숙,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창업자, 예비창업자, 비창업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99-134, 2013
32 임희정, "기업 특성이 여성 경영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4 (74): 45-77, 2008
33 강민정, "기업 내 여성임원 비율 학대를 위한 전략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34 임희정, "관리자 및 부하의 성별, 조직문화에 따른남녀관리자의 리더십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6 (96): 119-145, 2018
35 이동수, "공무원의 리더십과 리더유효성에 대한 자타평가의 남녀차이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6 (86): 137-174, 2014
36 노경란, "공공주도형 청년층 경력개발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Caffarella의 상호작용모형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293-321, 2010
37 임지현, "고령사회를 대비한 예비퇴직자의 생애재설계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과정 연구 -Caffarella의 프로그램개발 상호작용모형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원 13 (13): 267-295, 2015
38 Kalaitzi, Stavroula, "Women leadership barriers in healthcare, academia and business" 36 (36): 457-474, 2017
39 Eagly, A. H., "When passionate advocates meet research on diversity, does the honest broker stand a chance?" 72 (72): 199-222, 2016
40 Post, C., "When is female leadership an advantage? Coordination requirements, team cohesion, and team interaction norms" 36 (36): 1153-1175, 2015
41 Eagly, A. H., "Through the labyrinth : The truth about how women become leader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7
42 Eagly, A. H., "The female leadership advantage : An evaluation of the evidence" 14 (14): 807-834, 2003
43 Eagly, A. H., "The Oxford Handbook of Gender in Organizations" Oxford University 153-174, 2014
44 Richard, O. C., "The Impact of visible divers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Disclosing the contents in Pandora’s black box" 8 (8): 265-291, 2002
45 Eagly, A. H., "Role congruity theory of prejudice toward female leaders" 109 (109): 573-598, 2002
46 Catalyst, "Pyramid: Women in S&P 500 Companies"
47 Caffarella, R. S., "Planning programs for adult learners: A practical guide" John Wiley & Sons 2013
48 Siegel, J., "Multinational firms,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nd the capture of outsider’s advantage by exploiting the social divide" 64 (64): 370-397, 2019
49 Gentry, W. A., "Managerial skills : What has changed since the late 1980s" 29 (29): 167-181, 2008
50 Müller, R., "Leadership competency profiles of successful project managers" 28 (28): 437-448, 2010
51 Yoon H. J., "Leadership competency inventory : A systematic process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 leadership competency scale" 4 (4): 39-50, 2010
52 Powell, G. N., "Leader evaluations : A new female advantage?" 23 (23): 156-174, 2008
53 Cho Yonjoo, "Korean Women in Leadership" 2018
54 Vecchio, R. P., "In search of gender advantage" 14 (14): 835-850, 2003
55 백평구, "IT 서비스 기업 맥락에서 여성적 리더십에 대한 주관성 분석"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1 (11): 77-105, 2016
56 Drucker, P. F., "Harvard business review on knowledge management" Harvard Business Press 1998
57 Carli, L. L., "Handbok of Gender and Work" Sage 203-222, 1999
58 Paustian-Underdahl, S. C., "Gender and perceptions of leadership effectiveness : A metaanalysis of contextual moderators" 99 (99): 1129-1145, 2014
59 Yusuf, M, S., "From female leadership advantage to femlale leadership deficit : A developing country perspective" 20 (20): 273-292, 2015
60 Barton, T. R., "Feminist leadership : Building nurturing academic communities" 21 : 1-8, 2006
61 Eagly, A. H., "Female leadership advantage and disadvantage : Resolving the contradictions" 31 (31): 1-12, 2007
62 O’Leary, V. E., "Encyclopedia of women and gender: Sex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 impact of society on gender" Elsevier Science & Technology 2001
63 Mackensy & Company, "Delivering through diversity, Mackensy Report"
64 Gentry, W. A., "Competencies for leadership development : What’s hot and what’s not when assessing leadership—Implications for organization development" 25 (25): 37-46, 2007
65 Spenser, L. M., "Competence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Wiley 1993
66 Zenger, J., "Are women better leaders than men" 15 : 80-85, 2012
67 McDonald, M. L., "Access denied : Low mentoring of women and minority first-time directors and its negative effects on appointments to additional boards" 56 (56): 1169-1198, 2013
68 Post, C, "A Female Leadership Trust Advantage in times of crisis : Under what conditions?" 43 (43): 215-231, 2019
69 Xie, M., "A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Chinese and American Female Leadership in Nonprofit Organizations" 14 (14): 30-41, 2018
70 Gentry, W. A., "A Convergence/Divergence Perspective of Leadership Competencies Managers Believe are Most Important for Success in Organizations : A Cross-Cultural Multilevel Analysis of 40 Countries" 27 (27): 15-30, 2012
71 강형철, "21세기 여성 리더십모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2006
72 김난주, "2016 여성관리자 패널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관계적 학습(Connected Learning)에 의한 관계지향적(relational)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직무 재창조가 객관적.주관적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영업 관리자 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8-1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기업교육연구 -> 기업교육과인재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 ![]() |
2009-07-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orporate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8 | 1.58 | 1.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3 | 1.6 | 2.16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