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유경제의 협력적 소비 촉진요인에 관한 연구 : 중국 차량공유서비스 앱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45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공유경제의 주요 소비행태인 협력적 소비를 촉진하여 실질 소비참여가 이루어지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협력적 소 비를 촉진하는 요인들로 개인 혜택, 사회적 혜택, 사회적 영향을 선정하였으며, 지각된 사 용유용성을 매개하여 협력적 소비로의 참여과정을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 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 혜택, 사회적 혜택, 사회적 영향 모두 지각된 사용유용성을 매개로 협력적 소비에 참여하는데 정(+)의 영향력을 갖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개인 혜택은 가 장 중요한 요인이며, 사회적 혜택은 환경보호 차원에서 지속 홍보가 필요한 요인으로 밝혀 졌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공유경제의 주요 소비행태인 협력적 소비를 촉진하여 실질 소비참여가 이루어지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협력적 소 비를 촉진...

      본 연구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공유경제의 주요 소비행태인 협력적 소비를 촉진하여 실질 소비참여가 이루어지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협력적 소 비를 촉진하는 요인들로 개인 혜택, 사회적 혜택, 사회적 영향을 선정하였으며, 지각된 사 용유용성을 매개하여 협력적 소비로의 참여과정을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 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 혜택, 사회적 혜택, 사회적 영향 모두 지각된 사용유용성을 매개로 협력적 소비에 참여하는데 정(+)의 영향력을 갖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개인 혜택은 가 장 중요한 요인이며, 사회적 혜택은 환경보호 차원에서 지속 홍보가 필요한 요인으로 밝혀 졌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key factors in promoting collaborative consumption, the main consumption pattern, actually participating in consumption behavior in the brand-new sharing economy. Based on prior research, the key factors to promote collaborative consumption are selected as individual benefit, social benefit and social influence. Perceived usefulness is a medium used to analyze the actual participation proces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benefit, social benefit and social influence have positive (+)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through media perceived usefulness. In particular, individual benefit is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and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should be continuously promoted in social benefit. At las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velatory and policy proposals were put forward.
      번역하기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key factors in promoting collaborative consumption, the main consumption pattern, actually participating in consumption behavior in the brand-new sharing economy. Based on prior research, the key factor...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key factors in promoting collaborative consumption, the main consumption pattern, actually participating in consumption behavior in the brand-new sharing economy. Based on prior research, the key factors to promote collaborative consumption are selected as individual benefit, social benefit and social influence. Perceived usefulness is a medium used to analyze the actual participation proces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benefit, social benefit and social influence have positive (+)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through media perceived usefulness. In particular, individual benefit is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and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should be continuously promoted in social benefit. At las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velatory and policy proposals were put forwar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공유 경제
      • 2. 협력적 소비의 개념 및 특징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공유 경제
      • 2. 협력적 소비의 개념 및 특징
      • 3. 협력적 소비에의 영향 요인
      • Ⅲ. 가설 설정 및 연구모형
      • Ⅳ. 실증분석결과
      • 1. 데이터 수집 및 표본의 특성
      • 2. 변수의 신뢰도 및 타당성
      • 3. 가설 검증 및 분석
      • Ⅴ.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