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공유경제의 주요 소비행태인 협력적 소비를 촉진하여 실질 소비참여가 이루어지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협력적 소 비를 촉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45445
2018
Korean
학술저널
1-20(20쪽)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공유경제의 주요 소비행태인 협력적 소비를 촉진하여 실질 소비참여가 이루어지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협력적 소 비를 촉진...
본 연구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공유경제의 주요 소비행태인 협력적 소비를 촉진하여 실질 소비참여가 이루어지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협력적 소 비를 촉진하는 요인들로 개인 혜택, 사회적 혜택, 사회적 영향을 선정하였으며, 지각된 사 용유용성을 매개하여 협력적 소비로의 참여과정을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 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 혜택, 사회적 혜택, 사회적 영향 모두 지각된 사용유용성을 매개로 협력적 소비에 참여하는데 정(+)의 영향력을 갖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개인 혜택은 가 장 중요한 요인이며, 사회적 혜택은 환경보호 차원에서 지속 홍보가 필요한 요인으로 밝혀 졌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key factors in promoting collaborative consumption, the main consumption pattern, actually participating in consumption behavior in the brand-new sharing economy. Based on prior research, the key factor...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key factors in promoting collaborative consumption, the main consumption pattern, actually participating in consumption behavior in the brand-new sharing economy. Based on prior research, the key factors to promote collaborative consumption are selected as individual benefit, social benefit and social influence. Perceived usefulness is a medium used to analyze the actual participation proces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benefit, social benefit and social influence have positive (+)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through media perceived usefulness. In particular, individual benefit is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and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should be continuously promoted in social benefit. At las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velatory and policy proposals were put forward.
목차 (Table of Contents)
대안적 소득보장제도로서 기본소득의 도입 가능성과 도입 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재가시설과 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 의료제공서비스 책임주체 인식에 대한 연구 : 사회신뢰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