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한국 내에서 세대 간 창의성의 암묵적 지식을 조사한다. 1차 년도에서는 기초가 되는 선행자료 및 최신자료에 대한 철저한 검토를 통해서 이론적 토대를 보완한 후 이를 바탕으로 역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7678
2009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첫째, 한국 내에서 세대 간 창의성의 암묵적 지식을 조사한다. 1차 년도에서는 기초가 되는 선행자료 및 최신자료에 대한 철저한 검토를 통해서 이론적 토대를 보완한 후 이를 바탕으로 역사...
첫째, 한국 내에서 세대 간 창의성의 암묵적 지식을 조사한다. 1차 년도에서는 기초가 되는 선행자료 및 최신자료에 대한 철저한 검토를 통해서 이론적 토대를 보완한 후 이를 바탕으로 역사적․사회적으로 서로 다른 경험을 가진 세대를(10대-50대) 계층표집한 후 설문조사(부록 예시)를 실시할 것이다. 창의성의 암묵적 지식에 차이가 나는 세대들은 무엇이며, 그 차이의 원인은 무엇인지를 조사할 것이다. 아울러 설문지에서 얻어진 자료를 중심으로 다차원척도법 (Multi-Dimensional Scaling)을 이용하여 한국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창의성의 하위요인을 밝혀낼 것이다. 이러한 하위요인은 2차 년도에는 동양에서 수집된 자료들과 3차 년도에는 서양에서 수집된 자료들과 비교 분석되어 질 것이다. 아울러 top down 창의성에 대한 자료를 위해서는 일반 사람들이 한국에서 창의적으로 성공한 사람, 혹은 창의적인 사람이라고 지목된 인물들을 snowball sampling방법을 이용해서 선정할 것이다. 2~3차 년도에서는 지목된 인물들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인터뷰를 진행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과정은 한국 내에 존재하는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다양한 각도(bottom up, top down)에서 전반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둘째, 한국에서 수행된 연구모형과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문화적으로 다른 배경을 가진 여러 국가들에서도 이에 대응하는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이러한 비교 문화적 연구를 통해서 창의성의 암묵적 지식의 차이가나는 이유를 더 나아가서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창의성의 개념을 분명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1차 년도에서는 아시아의 대표적 국가인 중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그리고 2차 년도에서는 일본과 중국의 본 연구를 마치고 대표적인 영어문화권 국가인 미국과 창의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이 오랫동안 강조되어진 유럽국가인 네덜란드를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3차 년도에는 미국과 네덜란드의 본 연구를 완성하고 연구종료시점에서는 중국, 일본 미국, 네덜란드, 한국 5개국의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한국창의성의 개념을 좀 더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일본 고베대학, 중국 북경사범대학 그리고 미국 Claremont대학, 네덜란드 Leiden대학과 공동연구를 위한 의견을 교류하고 있다.